[전체] “윤심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0)
사전(16)
- 윤양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29(영조 5)∼1776(정조 즉위년).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유직(幼直). 명원(明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부사 봉소(鳳韶)이고, 아버지는 참판 심형(心衡)이며, 어머니는 황규하(黃奎河)의 딸이다...이칭별칭 유직(幼直)
- 윤심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報社, 1982) 윤심형(1698-1754) 1698(숙종 24)∼1754(영조 30). 조선 후기의 문신. 글씨는 ≪근묵≫에서.이칭별칭 경평(景平)| 임재(臨齋)| 청헌(淸獻)
- 이존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개월 뒤 다시 정의현으로 옮겨졌다가 1753년 풀려난 뒤 예조참의에 제수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낙향해 학문 연구에만 전심하면서 강직하게 살아갔다. 오원(吳瑗) 등과 사귀는 한편 특히 윤심형(尹心衡)ㆍ이태중(李太重) 등과는 더욱 친밀히 지냈다. 평소 강직하고 합리...이칭별칭 경이(敬以)| 척재(?齋), 하당(荷堂)
- 삼명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글피. 弟三明當發楸行, 윤심형(尹心衡), 05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교절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환절기. 弟.病當交節例有呻..蟄 了無佳緖 奈何, 윤심형(尹心衡), 6-198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44)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252 B07325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3年 12月 3日_022 ○趙漢緯, 以義禁府言啓曰, 前東萊府使尹心衡, 拿處事, 傳旨, 啓下矣。 尹心衡時在京畿坡州地云, 依例發遣府書吏, 拿來, 何如? 傳曰, 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4202 B07420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3年 10月 20日_017 ○備邊司東萊府使薦, 尹心衡·申宅夏·沈星鎭。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4348 B074348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3年 10月 20日_017 ○備邊司東萊府使薦, 尹心衡·申宅夏·沈星鎭。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1092 B061092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1年 5月 13日_087 ○成震齡·尹心衡所啓, 請尹恕敎拿問事。 上曰, 勿煩。 已喩於憲臣之批矣。 如此等說, 不忍更提, 故已令島配矣。 更勿煩瀆。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542 B07354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3年 10月 23日_019 ○又啓曰, 新除授 H010404]東萊府使尹心衡, 時無加資之命, 何以爲之? 敢稟。 傳曰, 特爲加資。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윤심형 / 尹心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8∼1754). 신임사화로 노론이 추방당할 때 삭직당하고 병계에 은퇴하였다. 1724년(영조 즉위) 노론의 집권으로 정언·교리·이조좌랑·헌납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728년 정미환국으로 작은아버지 봉조가 귀양가고 노론의 영수인 민진원 등 수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