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윤심덕” 에 대한 검색결과 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초의 소프라노 가수로 데뷔하였다. 이때부터 서울에서 열리는 모든 음악회 프로에는 항상 을 넣을 만큼 일약 스타가 되었다. 양악이 수입된 지 얼마 되지 않은데다가 제대로 성악을 공부한 사람이 드물었기 때문에 명성을 얻을 수 있었다. 그녀의 풍부한 성량과 당...
    이칭별칭 수선(水仙)
  • 임배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미국에 유학한 현제명(玄濟明)ㆍ이유선(李宥善) 등을 도운 일이 있으며, 도미 이전에는 감리교 찬미가에 「금주가(禁酒歌)」를 작사, 작곡하여 기독교와 금주운동의 캠페인에 기여하였다. 같은 시대의 소프라노가수 ()과 임배세는 대칭적인 음악가로서 양악 유입기에 기...
  • 사의찬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 작사, 이바노비치 작곡, 노래의 1920년대 번안가요. [내용] 은 1920년 동경음악학교를 관비생으로 졸업하고 돌아와 음악활동과 교편생활을 하였다. 1925년 극단 토월회(土月會) 회원으로 신극운동에 참여하...
  • 근대신어 : 솔로(솔로)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0424 솔로 사항 솔로 Solo 獨奏 독주 [참고] 양의“쏠로“(獨唱)이라순서가 씨여잇지 안엇든것이 별로히업섯스며(東亞日報, 1925.8.5. 2면) [참고] 양의 솔로(독창)라고 순서가 쓰여있...
    출전學生[開闢社] | 계통분류 [예술감각] 음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임종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발적인 친일이기보다는 억압에 의한 강제적 친일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흘러간 성좌≫에서는 한용운(韓龍雲)‧안창호(安昌浩)‧이상(李箱)‧권덕규(權悳奎)‧()‧신채호(申采浩)‧황석우(黃錫禹)‧홍난파(洪蘭坡) 등 일제치하의 문학예술가 및 사상가들을...

고서·고문서(3)

  • 노래, 잘부른다, 명가수, 나오지않는지, 이상, 생각, 태잎, 요구, 보내, 감사, 과거명가수, 전문태잎, 한태잎, 불어였는것, , 사의찬미, 가요반세기. 못바닷, 나, 옛노래, 즐겨, 부럿습니다, 여기서, 살수도
    대표표제어 | 성씨
  • 歌謠曲撰集 第一輯 목차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 8 追憶 (G. F. Root 作曲, 獨孤璇 作歌) 9 어엽분 색시 (J. A. Arne 曲, 譯) 10 녯 집을 버서나 (蘇格蘭古 曲, 獨孤璇 歌) 11 小波 (Giuseppi Giordani 曲, 獨孤璇 譯) 12 트로비아타 (G. Verdi 作曲,...
    구분창가 | 편저자獨孤璇
  • 09696 창가 歌謠曲撰集 第一輯 22188 1928 獨孤璇 彰文堂書店 獨孤璇 金晉桓 定價金八拾錢 어엽분 색시 〈a〉 譯〈/a〉 〈co〉ARNE〈/co〉 〈mn〉오선보〈/mn〉 〈m〉allegretto grazioso〈/...
    구분창가 | 편저자獨孤璇

구술자료(1)

  • 송경복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 부산, 경상남도 김해, 황해도 토성, 개성, 김옥길, 김활란, 이태희, 김보배, 김복희, 천일엽, 김잔화, 한양순, 한인화, , 박현숙, 허발, 송명관, 이수교, 백낙준, 농지개혁, 1.4후퇴, 스케이트, 보국대 한글 연세대학교
    구술자송경복 | 직업전 평안남도부녀회장 | 지역평양

신문·잡지(6)

기타자료(6)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2765 일본 東京 東京音樂學校 東京音樂學校卒業生氏名錄 1926―10―08 40면 ; 조선 1923년 3월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音樂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2827 일본 東京 東京音樂學校 東京音樂學校一覽 大正9年~大正10年 1920―09―29 71면 ; 조선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音樂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2832 일본 東京 東京音樂學校 東京音樂學校一覽 大正10年~大正11年 1921―10―12 74면 ; 조선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音樂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2837 일본 東京 東京音樂學校 東京音樂學校一覽 大正11年~大正12年 1922―09―12 76면 ; 조선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音樂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4275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27면 (학과)사범과 ; 4회 1918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 [예술·체육]

    1897년∼1926년. 우리나라 최초의 성악가·배우. 평양여자고등보통학교와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사범과를 졸업, 관비유학생으로 일본 우에노 음악학교 성학과에서 수업받았다. 1922년 음악학교를 졸업하고 조교생활 1년을 마친 뒤, 1923년 6월 종로 중앙청년회관에서 독

  • 백조회 / 白鳥會 [예술·체육/연극]

    1926년 토월회의 간부였던 김을한, 등이 토월회의 지도부에 반발하여 만든 극단. 지도부가 돈에만 신경을 쓰고 신극운동을 제대로 하지 않아서 반발하여 이백수, 김기진, 김복진 등이 발족시켰다. 이상적인 신극운동을 해보겠다고 조직된 백조회는 1926년 2월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