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윤선도” 에 대한 검색결과 5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70)

사전(2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자연성(自然觀)」(윤성근, 『문화비평』7‧8, 1970) 「윤고산론(尹孤山論)」(정병욱, 『월간문학』9, 1969) 「고려말(高麗末)‧이조초(李朝初)의 어부가(漁父歌)」(이우성, 『성균관대학교논문집』9, 1964) 「...
    이칭별칭 약이(約而)| 고산(孤山), 해옹(海翁)| 충헌(忠憲)
  • 보길도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부황리에 있는 관련유적. [내용] 사적 제368호. 지정면적 83,532㎡. 보길도는 완도에서 남쪽으로 32㎞, 해남반도의 남단에서는 12km 떨어진 외딴섬이다. 이 섬에서 제일 높은 봉...
    연계항목보길도윤선도유적(甫吉島尹善道遺蹟)
  • 보길도 원림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승 제34호.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부황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유적.
    정의명승 제34호.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부황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유적.[두산백과] | 문광부표기Bogildo Yun Seon-do Wollim | MR표기Pogilto Yun Sŏn-do Wŏlli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일모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42년(인조 20) ()가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작자의 문집인 『고산유고(孤山遺稿)』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가 56세 되던 해인 1642년에 유배지인 영덕에서 돌아와, 문소동(聞簫洞)‧금쇄...
  • 일민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윤이후(尹爾厚)가 지은 가사. [구성 및 형식] 작자의 친필일기인 『지암일기(支庵日記)』 제3권 1698년(숙종 24) 무인 6월 26일조에 ‘일민가 62구’라는 제목 아래에 적혀 있으며, 그 끝에는 시조 1수도 있다. 본문은...

단행본(1)

  • 해남 윤씨 문중문헌 해제 2 [호남지역 주요 문중문헌 조사 및 연구 | 전남대학교]
    저자 : 김대현(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책임교수), 박명희(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공동연구... | 출판사 : 정미문화사 | 출판일 : 2012.08.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서문 1.《해남윤씨문헌》 2.《棠岳遺事》 3.《支庵日記》 4.《恭齋遺稿》 5.《溲勃集》 6. 孤山 의《私稿詩》集

고서·고문서(178)

  • () 전지(傳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교명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교명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649년 () 소장전답문권(所藏田畓文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전답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고산(孤山)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660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628년 () 녹패(祿牌)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628년(인조6) 4월에 병조에서 에게 발급한 녹봉 지급 문서이다. 바깥면에는 녹패 주인의 관직과 이름이, 안쪽면에는 녹패 본문이 적혀 있다. 또한 안쪽면 좌측에 매번 녹봉을 지급받을 때마다 광흥창에서 관리의 서명과 관인을 찍은 것이 남아 있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녹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녹패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구술자료(1)

  • 머니 있는데, 큰어머니야, 큰어머니. 큰어머니가 해남 윤씨 그쪽에서 오셨잖아요? 그 그 후손이 인제 오 셨는데, 딱 그 종부감이에요. 자기 며느리가 미우니까, 자기 아들이 미우니까, 전부 자기 고생이잖 아요. 그 7남매, 아들 다섯에 딸 둘 칠남매를 낳아만 낳았
    조사지역전남 순천 | 조사일2014년 7월 11일

기초학문(4)

  • 고산 시조의 미적 성치와 그 가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학성, 게재일 : 2008
    25728 김학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고산 시조의 미적 성치와 그 가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와 바쇼오(芭蕉)에 끼쳐진 두보(杜甫)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은경, 게재일 : 2000
    12393 신은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문학연구회 2000 ()와 바쇼오(芭蕉)에 끼쳐진 두보(杜甫)의 영향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고산 원림의 풍수경관과 세계유산적 가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68501 한국연구재단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2 고산 원림의 풍수경관과 세계유산적 가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에게 있어서의 ‘理想鄕’의 의미 작용 연구-杜甫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은경, 게재일 : 2006
    41767 신은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문학회 2006 에게 있어서의 ‘理想鄕’의 의미 작용 연구-杜甫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9)

멀티미디어(50)

  • 한국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_01-1_1주차_1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시가에서 훈민의 노래와 연군의 시적 형상을 이해할 수 있다. 박인로의 가사에서 애국주의적 형상과 사족 존재현실의 면모를 이해할 수 있다. 의 시조에서 자연-사회의 변증법과 흥취의 미학이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6주차 김천택의 시조에서 사대부적 삶의
    강좌제목한국 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 | 강의자이형대, 이승은
  • 한국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_01-1_1주차_2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시가에서 훈민의 노래와 연군의 시적 형상을 이해할 수 있다. 박인로의 가사에서 애국주의적 형상과 사족 존재현실의 면모를 이해할 수 있다. 의 시조에서 자연-사회의 변증법과 흥취의 미학이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6주차 김천택의 시조에서 사대부적 삶의
    강좌제목한국 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 | 강의자이형대, 이승은
  • 한국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_01-1_1주차_3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시가에서 훈민의 노래와 연군의 시적 형상을 이해할 수 있다. 박인로의 가사에서 애국주의적 형상과 사족 존재현실의 면모를 이해할 수 있다. 의 시조에서 자연-사회의 변증법과 흥취의 미학이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6주차 김천택의 시조에서 사대부적 삶의
    강좌제목한국 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 | 강의자이형대, 이승은
  • 한국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_01-1_1주차_4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시가에서 훈민의 노래와 연군의 시적 형상을 이해할 수 있다. 박인로의 가사에서 애국주의적 형상과 사족 존재현실의 면모를 이해할 수 있다. 의 시조에서 자연-사회의 변증법과 흥취의 미학이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6주차 김천택의 시조에서 사대부적 삶의
    강좌제목한국 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 | 강의자이형대, 이승은
  • 한국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_01-1_1주차_5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시가에서 훈민의 노래와 연군의 시적 형상을 이해할 수 있다. 박인로의 가사에서 애국주의적 형상과 사족 존재현실의 면모를 이해할 수 있다. 의 시조에서 자연-사회의 변증법과 흥취의 미학이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6주차 김천택의 시조에서 사대부적 삶의
    강좌제목한국 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 | 강의자이형대, 이승은

기타자료(1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1836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10면 ; 강원도 제2회 1918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6331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1 163면 46. 졸업생;22) 1923년 舊본과 졸업생 (24명) ; (원적)강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7175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2 163면 9. 졸업생;22) 1923년 舊본과 졸업생 (24명) ; (원적)강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9552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6 114면 37. 졸업생;22) 1923년 舊본과 졸업생 (24명) ; (원적)강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8851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5 108면 37. 졸업생;22) 1923년 舊본과 졸업생 (24명) ; (원적)강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3)

  • / [종교·철학/유학]

    1587(선조 20)∼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 아버지는 유심. 숙부 유기에게 입양됐다. 1628년(인조 6) 별시문과 초시에 장원으로 합격해 봉림대군·인평대군의 스승이 됐다. 문집『고산선생유고』에 한시문이 실려 있고, 별집에도 한시문과 35수의

  • 윤의미 / 尹義美 [종교·철학/유학]

    1612~1636. 의 둘째 아들이다. 1630년 진사가 되었는데, 25살의 짧은 삶을 살다 갔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재예가 뛰어났으며, 천성이 온량하고 효우가 남달랐다. 20살이 되기 전에 문학에 매진하여 의 총애를 받았다.

  • 야심요 / 夜深謠 [문학/고전시가]

    1642년(인조 20)()가 지은 시조. 1642년(인조 20) ()가 지은 시조. 은거지인 금쇄동(金鎖洞)에서 56세 때에 지은 「산중신곡 山中新曲」 18수 중 하나이다. 1798년(정조 22) 전라감사 서정수(徐鼎修)가 재판하여 지금까지 전하

  • 고산유고 / 孤山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 의 시문집. 6권 6책. 목판본. 1791년(정조 15) 전라감사 서유린이 왕의 명을 받고 간행하였다. 그 뒤 정조 22년 전라감사 서정수가 의 본가에 간직된 목판본을 대본으로 하여 개편, 간행한 것이 오늘날 전하고 있는 ≪고산유고≫이다.

  • 산중속신곡 / 山中續新曲 [문학/고전시가]

    1645년(인조 23) ()가 지은 연시조. 작자의 문집인 『고산유고 孤山遺稿』에 수록되어 있다. 「산중신곡」을 지은 3년 뒤에 전라남도 해남의 금쇄동(金鎖洞)에서 창작되었다. 「추야조 秋夜操」와 「춘효음 春曉吟」 각 1수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