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윤사국”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4)
사전(17)
- 윤사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순조실록(純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경산집(經山集)』 윤사국 초상 1728(영조 4)-1809(순조 9)....이칭별칭 빈경(賓卿)| 직암(直庵)
- 윤사국(尹師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556 인물 윤사국(尹師國) 윤사국 尹師國 1728 1809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빈경(賓卿), 호는 직암(直庵). 1759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에 들어갔고, 이어서 양호감...유형분류인물
- 사원제처제액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錦江亭)‧배견루(拜鵑樓)‧창절사(彰節祠)‧창절서원(彰節書院)은 1791년(정조 15) 윤사국(尹師國)이 쓴 것이며, 나머지 육신사(六身祠)‧상의재(尙義齋)‧구인재(求仁齋)는 1791년 박기정(朴基正)이 쓴 것이다. 윤사국의 글씨는 천부적이어서 청고함을 느낄...
- 윤사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년시절 종형(從兄) 사적(思迪)과 함께 학문에 매진하였으나 과거를 권유하는 아버지의 말을 거절하고서 『주역(周易)』의 연구에 몰두하여 명성을 얻었다. 1791년(정조 15) 강원감사(江原監司) 윤사국(尹師國)이 그의 행적과 저서인 『정관치설(井觀癡說)』ㆍ『통서연...이칭별칭 퇴보(退甫)| 황림(篁林)
- 지지대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 찬(撰)하고, 전판돈녕부사겸판의금부사(前判敦寧府使兼判義禁府使) 윤사국(尹師國)이 글씨를 쓰고, 수원부유수겸총리사(水原府留守兼總理使) 홍명호(洪明浩)가 비의 상단 전자(篆字)를 썼다. 숭정기원후일백팔십년정묘십이월일입(崇禎紀元後一百八十年丁卯十二月日立)이라는 사...연계항목지지대비(遲遲臺碑)
고서·고문서(67)
- 1890년 윤사국 시장(尹師國諡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시장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시장
- 1805년 모곡사(茅谷祠) 창건 축문(祝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현소장처영해 도곡 무안박씨
- 景祐宮(1896)_평안도 定州郡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54353 22033_0155 奎22033 景祐宮(1896) 평안도 定州郡 伊彦面 三里大垌 평안도 定州郡 伊彦面 三里大垌 35 35결 윤사국(尹士國) 윤사국(尹士國)자료번호22033_0155 [奎22033]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0774 B070774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4年 8月 21日_022 ○備邊司薦望, 以尹師國爲東萊府使。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大靜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7021 B047021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3年 3月 17日_019 ○洪樂純, 以義禁府言啓曰, 濟州牧大靜縣投畀罪人尹師國, 海南縣投畀事, 命下矣。 尹師國昨已倍道押送, 更爲發遣府羅將, 所到處, 仍令押送配所之意, 敢啓。 傳曰, 知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6)
-
윤사국 / 尹師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8∼1809). 관찰사 윤경룡의 아들로 뒤에 진사 윤경종에게 입양되었다. 1783년(정조 7) 사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나이 80세가 되자 숭록대부의 관계에 승진하여 판돈령부사가 되었다.
-
윤사국시장 / 尹師國諡狀 [정치·법제]
조선 후기의 문신 윤사국(尹師國)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890년(고종 27)에 정기회(鄭基會)가 지어서 봉상시에 올린 시장. 이 시장에서는 주로 그의 관력과 지조 등을 칭양하였으며, 특히 서법에 조예가 깊어 왕실의 중요 문서 등을 서사 하였음을 강조하였다.
-
자규루상량문 / 子規樓上樑文 [문학/고전산문]
상량문. 1791년(정조 15) 강원도관찰사 윤사국(尹師國)이 영월을 순시하다 자규루(子規樓)의 옛 터를 찾아 중건하였다. 중건 이후 왕의 전교를 받아 예문제학 홍양호(洪良浩)가 상량문(上樑文)을 찬술하였다.
-
자규루 / 子規樓 [예술·체육/건축]
관찰사 윤사국(尹師國)이 영월을 순시하다 그 터를 찾아 중건하였다.
-
자규루기 / 子規樓記 [문학/고전산문]
기문. 1791년(정조 15) 강원도관찰사 윤사국(尹師國)이 영월을 순시하다 자규루(子規樓)의 옛 터를 찾아 중건하였다. 중건 이후 왕의 전교를 받아 판중추부사 이복원(李福源)이 기문을 찬술하였다. 이 기문은 이복원의《쌍계유고(雙溪遺稿)》권10에 <중건자규루기(重建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