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윤봉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9)
사전(22)
- 윤봉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윤봉조(1680-1761) 윤봉조(1680-1761) 1680-1761. 조선 후기의 문신. 문장에 능하였...이칭별칭 명숙(鳴叔)| 포암(圃巖)
- 시식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눈으로 보고 코로 숨쉰다는 뜻으로 겨우 살아있다는 의미로 쓰임. 鳳朝頑然視息 去月奄經大祥, 윤봉조(尹鳳朝), 22-25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고자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아버지가 돌아가신 경우에 자신을 가리키는 말. 어머니가 돌아가신 경우에는 애자(哀子)라고 하고, 부모님이 모두 돌아가신 경우에는 고애자(孤哀子)라고 함. 孤子尹鳳朝 疏上, 윤봉조(尹鳳朝), 22-25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지덕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태종의 아들 양녕대군(讓寧大君)과 지덕사(至德祠)에 관한 기록. [내용] 5권 2책. 목판본. 1876년 후손 극선(克善)이 처음 간행하였고, 1911년 윤봉조(尹鳳朝)가 중간하였다. 권1에는 1876년에 쓴 임헌회(任憲晦)...
- 동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김시민(金時敏)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목판본. 1761년(영조 37) 아들 만행(晩行)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윤봉조(尹鳳朝)와 한계진(韓啓震)의 서문 2편이 있고, 권말에 신경(申暻)ㆍ김원...
고서·고문서(46)
- 계유년 윤봉조(尹鳳祚)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진주 단목 진양하씨 단지 종택
- 무진년 윤봉조(尹鳳祚)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진주 단목 진양하씨 단지 종택
- 계해년 윤봉조(尹鳳祚)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진주 단목 진양하씨 단지 종택
- 임신년 윤봉조(尹鳳祚)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진주 단목 진양하씨 단지 종택
- 경오년 윤봉조(尹鳳祚)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진주 단목 진양하씨 단지 종택
기타자료(1)
- 윤봉조;尹鳳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0067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35면 윤봉조;尹鳳祚 경북 경산군 고산면 매호동 741 제12회 4257년 3월 22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윤봉조 / 尹鳳朝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0∼1761). 유건 증손, 할아버지는 비경, 아버지는 명원, 어머니는 이경창의 딸이다. 1713년 암행어사가 되었으며, 부제학으로 있을 때에 실록도청당상을 겸하여 《경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특히 소차에 능하였다. 저서
-
순암집 / 順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병성의 시문집. 6권 3책. 활자본. 형 병연과 아들 도중이 수집한 것을 1741년(영조 17) 이질인 유엄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어유봉과 윤봉조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유수·유엄·유최기의 발문이 있다. 권1∼4에 시 718수, 권5·6에
-
포암집 / 圃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윤봉조의 시문집. 22권 11책. 목판본. 권1∼6에 시 690편 1,080여 수, 권7·8에 소 25편, 권9에 소 17편, 차·계·의 각 1편, 권10·11에 서 68편, 권12에 서 23편, 권13에 기 20편, 제발 20편, 권14에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