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윤봉구” 에 대한 검색결과 1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4)

사전(9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호락논의 분파는 이간과 한원진에게서 심화되어 심성론(心性論)의 한 줄기를 형성하는데,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이 서로 같다는 이간의 학설은 뒤에 이재(李縡)와 박필주(朴弼周)에 이어져 ‘낙론(洛論)’이라 불리고, 인성과 물성은 서로 다르다는 한원진의 주장은 와...
    이칭별칭 서응(瑞膺)| 병계(屛溪), 구암(久菴)| 문헌(文獻)
  • 송명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57(영조 33)∼1793(정조 17).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경회(景晦), 호는 학천(學川)ㆍ강촌(綱村). 아버지는 목(霂)이며, 어머니는 밀양박씨로 참봉 휘정(彙正)의 딸이다. ()의
    이칭별칭 경회(景晦)| 학천(學川), 강촌(綱村)
  • 심건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37(영조 13)∼1784(정조 8).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백고(伯高), 호는 한계(寒溪). 아버지는 유진(維鎭)이다. ()ㆍ김원행 金元行)의 문인으로 일찍이 두 스승으로부터 위기(爲己)...
    이칭별칭 백고(伯高)| 한계(寒溪)
  • 김규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처음 한원진(韓元震)에게 글을 배웠고, 한원진이 죽은 뒤에 ()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이우보(李雨普)가 박세채(朴世采)의 신원소(伸寃疏)를 올리면서 의 말을 인용한 것에 반대하여 항소(抗疏)를 올렸고, 가 쓴 화양서원(華陽書院)의 원정비문(...
    이칭별칭 경휴(景休)| 최와(最窩)
  • 무기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이이(李珥)ㆍ김장생(金長生)ㆍ송시열(宋時烈) 등의 성리설에 관한 글을 모아 편집한 책. [내용] 1책. 필사본. 편자는 내용으로 미루어 ()나 그 학인으로 추정되며, 연기는 미상이다.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이 책은

고서·고문서(44)

  • 1753(癸酉) 2월 8일에 尹鳳九가 韓元震의 再朞일에 드리는 제문이다. 윤봉구는 수암 문하의 남당 한원진과 더불어 강문팔학사 중의 하나이다.
    분야문학 | 유형문헌
  • 1751(辛未) 4월 18일에 屛溪 尹鳳九가 南塘 韓元震의 영전에 드리는 제문이다. 병계 윤봉구는 한원진과 더불어 遂菴 權尙夏의 문인으로 강문팔학사의 한분이다.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가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頃復迨慰 卽日寒雨餘 兄歡侍德履何如 弟善山從兄 以今初十 以宿患竟不起 慟割何極 顧吾同堂義兼師友 而死生之際 不得相訣 尤不勝其寃酷矣 破舊陵後 尙不承安否 臣民紆慮 不能已已 板橋去書幷冊紙付呈 幸卽傳之也 舍弟近來會 可幸 多少不宣 兄照之 拜上候狀 辛亥八月卄二 服弟 鳳九 頓
    분야문학 | 유형문헌
  • ㆍ봉오가 한원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癸卯四月卄日 緦服弟 鳳九鳳五等頓 此來距仙庄 較玉溪又遠 一莽蒼悵瞻之中 未及候問 意外奴星帶華札而至 披審多少狀 欣慰何可量也 承有德鄕之行 亟欲造迓以叙阻懷 方立馬將發 室憂猝生 不可遠捨 而卄四日 則乃彦明家葬日 亦不可不赴會 溪上之約 不免墮虛 極令人悵歎 兄如無大段事故 則未可拖過 此中...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가 한원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癸卯五月十七日 疏上 南塘 僉孝廬 省式 絶然不承聞 近日炎盛 僉哀候如何支持 向聞村患薰熾 而坐在裏許 深以爲念 其終無杞上之患否 此中一切憂患悶擾 且値秧事日忙 久不得送人相問 係悵不可已也 鳳九旬前菫還宅 而奴子又痛出 憂患固支離 而及至麥熟 則其歉又不啻昨秋之凶 所收不能支此月 口腹...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8)

  • 표지 및 목차 朝鮮インテリゲンチャ論 鄭鎭石 2 在日朝鮮靑年の進路 11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47
  • 元容德 20 (座談會)國體等規正令の陰謀を衝く 河田 廣, 靑柳盛雄, 布施辰治, 李殷直, 瀧內禮作, , 平野義太郞 36 東北紀行 ユン‧ボング ...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50
  • 중간에서 전부 략취해 먹었다. 결과에 시외선 고장은 하로에 30여□씩 발생하였다. 원쑤놈들은 6월 28일 시의 선롲망을 파괴하였다. 그러나 중전만은 로동자들의 애국적 열성으로 수호하였다. ◇중앙전신국 나는 직접 인민군대와 함께 7월 3일 ○○방면으로 나갔다. 원...
    대표표제어해방일보_1950_0812_02
  • 중한 시기에 있어서 인민공화국 깃발 아래 굳게 뭉쳐 나가 싸우자. 한 덩어리로 굳게 뭉쳐 돌격 또 돌격 앞으로 나가 싸우자!」 씨의 이와 같은 외침에 만장은 박수소리와 󰡔옳소!」 󰡔싸우자!」는 고함소리로 진동하였다. 동대문 전화국 기계과 직장위원회에 근무하...
    대표표제어조선인민보_1950_0810_02_01
  • 모형제들이 비등하게 쓰러지고 있으며 귀중한 생산시설과 문화시설들이 파괴되고 있습니다. 복구 □□ 투쟁에서 싸우는 중앙전선국 서□건□□ 유동문 최덕용 동무들이 놈들의 기총소사에 □□을 당했으며 중화 김웅식 리영재 두 동무는 농들의 총탄에 쓰러졌습니다. 우리들은...
    대표표제어해방일보_1950_0818_02

주제어사전(11)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681∼1767). 권상하의 문인으로, 한원진·이간 등과 함께 강문팔학사의 한 사람으로 불리며, 인성·물성에 대한 이동을 논한 호락논쟁에서 인물성이론을 주장해 호론에 속했다. 천거되어 대사헌·지돈령·공조판서 등에 이르렀다. 저서로《병계집》이

  • 호장엄흥도전 / 戶長嚴興道傳 [문학/고전산문]

    고전산문. 강원도 영월에 귀양살이를 하던 단종이 세조에 의하여 죽자 당시 호장이었던 엄흥도(嚴興道)가 시신을 거두어 장례를 치뤘다. 1685년(숙종 11) 사림에서 엄흥도를 육신사(六臣祠)에 배향할 것을 논의하였는데, ()는 엄흥도를 사당에 육신과 나란히

  • 노강서원 / 老江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송곡리에 있는 서원. 1712년(숙종 3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시열(宋時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권상하(權尙夏)·한원진(韓元震)·()·송환기(宋煥箕)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

  • 이제삼 / 李齊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6∼1773). 이석형의 후손이다. 한원진, 이간, 등과 친하게 지냈다. 1723년(경종 3) 계묘 증광시 진사 3등 39위로 합격하였다. 영조 37년(1761)에 침랑에 제수되었고, 80세에는 중추부사가 되었다.

  • 채지홍 / 蔡之洪 [종교·철학/유학]

    1683년(숙종 9)∼1741년(영조 17).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영용, 어머니는 유승주의 딸이다. 권상하의 문인으로 강문팔학사 중 한 사람이다. 권상하의 문하에서 수학, 동문인 한원진··이간·윤혼 등과 교유하며 학문을 강론하였다. 저서로는『봉암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