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윤보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8)
사전(52)
- 윤보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의 가시밭길』, 『외로운 선택의 나날』이 있다. 『장면‧윤보선‧박정희』(한국학중앙연구원, 백산서당, 2001) 『외로운 선택의 나날』(尹潽善, 東亞日報社 1991) 『사실(事實)...이칭별칭 해위(海葦)
- 윤보선전대통령생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신항리에 있는 조선 말기의 주택. [내용] 중요민속자료 제196호. 윤보선 전 대통령의 생가인데 1907년 윤치소(尹致昭)가 건립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바깥사랑채는 건축양식으로 미루어볼 때 1920년대...연계항목윤보선전대통령생가(尹潽善前大統領生家)
- 윤보선 전대통령 생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요민속문화재 제196호. 충청남도 아산군 둔포면 신항리에 있는 윤보선 전 대통령의 생가.정의중요민속문화재 제196호. 충청남도 아산군 둔포면 신항리에 있는 윤보선 전 대통령의 생가.[두산백과] | 문광부표기Yun Bo-seon Jeon Daetongnyeong Saengga | MR표기Yun Po-sŏn Chŏn Taet’ongnyŏng Saengg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국민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71년에 창당되었던 정당. [내용] 1971년 1월 6일 윤보선(尹潽善)‧박기출(朴己出)‧장준하(張俊河) 등이 중심이 되어 창당하여 1972년 10‧17 대통령특별조치로 활동이 중단되기까지 존립하였다. 1970년대 초의 정국은 여당인...
- 민중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것이었다. 야당통합으로 발족된 ‘민중당’은 제3공화국에서 야당제도의 터전을 마련하게 되었지만, 지도위원의 선출을 둘러싸고 민정당계의 윤보선(尹潽善)계와 민주당계의 박순천(朴順天)계 간의 갈등을 드러냈다. 그리고 양파간의 갈등은 민중당이 존속하는 동안 계속 노출되...
구술자료(3)
- 정근모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만 대통령이 하야하게 되는데, 최치환 공보비서관은 그때의 상황에 대하여 매우 잘 알고 있다. 4․1혁명 이후 허정 정부, 윤보선 대통령, 장면 총리를 거쳐 박정희 대통령이 5․16군사정변을 일으켜 집권하게 되었다. 이후 5․16군사정변 당시 군부세력들이 서울시장, 장분야경제‧산업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경제외교
- 강인덕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윤덕선, 윤보선, 윤영민, 이경석, 이극로, 이기영, 이동복, 이동화, 이선근, 이완천, 이웅평, 이원순, 이정식, 이정욱, 이정원, 이정훈, 이종찬, 이철주, 이태준, 이호, 이후락, 임화, 장면, 장준하, 정영석, 정인형, 정일권, 정홍진, 조만식, 조봉식, 조일환구술자강인덕 | 직업장관 | 지역평안도
- 다리부상으로 살려준 목숨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지고 다 목살시키 불라고 한거 거든, 그 저 이승만이 말고 그 뒤에 누구야 있어. 저저 아이고 이름 잊어버렸다. 그 부 부대통령. 이승만이 말아 [조사자1: 윤보선] 윤보선 말아. 그 있어. 제주도에 원자탄을 터트리려는 그 양반이 있어. [조사자1: 아. 어머]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4년 1월 21일
신문·잡지(58)
- 인터뷰 윤보선 시국혼미는 정치일정 불확실에서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6) 민주화 투쟁, 계엄철폐, 정치일정 완결요구 인터뷰 윤보선 시국혼미는 정치일정 불확실에서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80년 3월 31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4 윤보선 전대통령은 시국이 어지럽고 모든 것이 유동적이고대표표제어인터뷰 윤보선 시국혼미는 정치일정 불확실에서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윤보선, 개헌, 정치일정완결요구
- 2. 대통령 후반시절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9) 1961-62년 각종 법안 제정 관련 2. 대통령 후반시절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91년 윤보선 『외로운 선택의 나날:윤보선회고록』(동아일보사, 1991)(pp.57-98) 회고/전기 42 이 글은 제2공화국의 대통령이었...대표표제어2. 대통령 후반시절 | 자료유형회고/전기 | 집필자윤보선 | 출처『외로운 선택의 나날:윤보선회고록』(동아일보사, 1991)(pp.57-98) | 키워드제2공화국, 윤보선, 5·16, 박정희,민정이양, 국민심판
- 새벽3시 비상전화 : 내가 겪은 5·16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정치가평론 새벽3시 비상전화 : 내가 겪은 5·16 정치·법제 문헌 현대 1970년 4월 윤보선 월간중앙 25호 평론 13 윤보선이 처음 대통령이 되는 일에서부터 5.16 이후 하야까지의 일을 서술한 글의 첫 번째 편이다. 이 글에...대표표제어새벽3시 비상전화 : 내가 겪은 5·16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윤보선 | 출처월간중앙 25호 | 키워드윤보선 대통령, 제2공화국, 민주당, 신파, 구파, 내각책임제, 국무총리, 내각
- 올것이 왔는가 : 내가 겪은 5·16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정치가평론 올것이 왔는가 : 내가 겪은 5·16 정치·법제 문헌 현대 1970년 5월 윤보선 월간중앙 26호 평론 22 월간중앙 4월호의 특집에서 연결되는 윤보선의 기고문이다. 윤보선은 두 번째 글에서 5.16 군사혁명을 보고받는대표표제어올것이 왔는가 : 내가 겪은 5·16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윤보선 | 출처월간중앙 26호 | 키워드윤보선 대통령, 장면 국무총리, 5.16 군사혁명, 박정희
- 4.19 만세와 피의 절규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27) 3.15 부정선거 및 4.19 4.19 만세와 피의 절규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6년 윤보선 『사실의 전부를 기술한다』 (서울: 희망출판사)(pp.296-297) 회고/전기 2 이 글은 4.19혁명 당시 윤보선의 회고...대표표제어4.19 만세와 피의 절규 | 자료유형회고/전기 | 집필자윤보선 | 출처『사실의 전부를 기술한다』 (서울: 희망출판사)(pp.296-297) | 키워드마산시위, 김주열 군 시신 발견, 공산당의 집단 난동, 4.9혁명, 애국시민의 의거, 민주주의로의 이행
멀티미디어(14)
- 제2공화국 초대 대통령 선거가 민‧참의원 합동회의에서 실시되었다. 윤보선 의원이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대통령 취임식 장면과 윤보선 대통령이 국군묘지를 참배하고, 4‧19 때 부상당한 학생들을 위문하는 장면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윤보선 대통령이 안국동 사저에서 경무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0년 8월 12일 | 제작공보처
- 1962년 3월 22일 윤보선이대통령직 사임 기자회견을 한 이후, 3월 24일 국가재건최고회의 본 회의에서는 윤보선 대통령의 사임허가를 의결하고 민정 이양 시까지 박정희 의장이대통령 권한을 대행하기로 하였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2년 3월 31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서울 시민회관 소강당에서 신민당 창당을 했고 대통령 후보에 윤보선, 당수에 유진오를 선출했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7년 2월 18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10월 15일 대통령 선거일과 투표결과를 알리는 영상이다. 박정희 후보가 윤보선 후보를 15만 6,028표차이로 누르고 470만 2,642표를 득표하여 제3공화국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영상에서는 박정희, 윤보선, 오재영, 변영태 후보들의 투표장면과 투표하기 위해 몰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3년 10월 15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6월 14일 시민회관에서 열린 민중당 창당대회 소식을 전하는 영상이다. 대표최고위원에 박순천, 최고위원에 허정, 서민호가 선출되었고, 윤보선은 고문으로 추대되었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5년 6월 15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1)
- 104. Memorial Work of Kemi Independent Declaration (Kemi Doklip Sunoun Kinium Sa-Of-Whe):기록자료, 1946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으로서 당시 위원장 윤보선이 1946년 5월 5일 직접 서명한 문서로서 대표자(당수) 생년월일, 출생지 등 인적사항을 포함. 1945년 12월 16일부터 25일까지 소련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미국, 영국, 소련 3개국 외상 회의에서 전후 처리문제를 논의하였는바, 7개 합...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주제어사전(4)
-
윤보선 / 尹潽善 [정치·법제/정치]
현대의 정치인(1897∼1990). 1948년 정부수립과 함께 서울시장으로 발탁되었고, 1949년 상공부장관이 되었다. 1957년 민주당 중앙위원회 의장에 선임되었다. 1960년 4·19혁명으로 이승만정부가 물러나면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5·16군사정변이
-
윤보선전대통령생가 / 尹潽善前大統領生家 [생활/주생활]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신항리에 있는 조선 말기의 주택. 중요민속자료 제196호. 윤보선 전 대통령의 생가인데 1907년 윤치소가 건립하였다고 한다. 이 집은 후대에 부분적으로 개조되었지만, 전형적인 중부지방의 평면구성을 잘 갖춘 상류주택이다.
-
제2공화국 / 第二共和國 [정치·법제/법제·행정]
대한민국의 두번째 공화헌정체제. 4월혁명으로 제1공화국이 붕괴된 후 6월 15일에 개정헌법이 통과되고 8월 민의원, 참의원 합동회의에서 대통령에 윤보선, 국무총리에 장면이 선출되어 1차내각이 이루어짐으로써 출범하여 1961년 5월 16일 군사쿠데타가 일어나기까지 민주
-
민정당 / 民政黨 [정치·법제/정치]
1963년 5월 14일 출범한 보수야당. 5.16 이후의 정치규제조치가 풀리면서 1963년 1월 27일 창당발기인대회를 거쳐 출범하게 되었다. 자유민주주의와 평화적 정권교체 실현을 기본노선으로 삼고, 대표최고위원에 김병로, 대통령후보에 윤보선을 선출했다. 196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