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윤득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1)
- 김종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시직(侍稷) 치만(致萬)이며, 어머니는 홍석보(洪錫輔)의 딸이다. 부인은 교리(校理) 윤득경(尹得敬)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68년(영조 44)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예조정랑, 부수찬(副修撰)을 지내고, 왕세손 필선(弼善)으...이칭별칭 정부(定夫)| 진솔(眞率), 몽오(夢梧)| 문충(文忠)
고서·고문서(8)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今日下敎如是, 此卿等使予發此下敎也。 今無他道, 不過一笑而罷而已。 卿何芥滯乎? 在魯曰, 今日聖敎皆至當, 小臣更有何達。 上曰, 吳命瑞必將不安, 而不得順赴, 且伊日被駁於尹得敬, 寧不如仍任東萊, 責成其已著之效也。 在魯曰, 若知有尹得敬, 則臣之仍任之請, 豈不姑置而徐爲之乎? 小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今日下敎如是, 此卿等使予發此下敎也。 今無他道, 不過一笑而罷而已。 卿何芥滯乎? 在魯曰, 今日聖敎皆至當, 小臣更有何達。 上曰, 吳命瑞必將不安, 而不得順赴, 且伊日被駁於尹得敬, 寧不如仍任東萊, 責成其已著之效也。 在魯曰, 若知有尹得敬, 則臣之仍任之請, 豈不姑置而徐爲之乎? 小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5084 B035084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32年 7月 24日_013 ○又以刑曹言啓曰, 謹依判下, 京囚殺獄罪人李完伊·李允得·咸命得·田朔不里, 鬪敺殺罪, 減一等, 各決杖一百後, 李完伊平安道碧潼郡, 李允得慶尙道南海縣, 咸命得咸鏡道富寧府, 田朔不里全羅...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5677 B035677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8年 2月 5日_009 ... 溥爲執義, 金光世爲正言, 李德壽爲禮曹判書, 鄭羽良爲右尹, 曺命敎爲工曹參議, 柳壽垣爲軍資正, 尹得敬爲校理, 元景淳爲副校理, 趙尙圭爲尙瑞副直長, 李明坤爲忠原縣監, 金濰爲洪州牧...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擧行云矣。 但內局事, 提調之病如此, 副提調又出外, 爲可悶云矣。 上曰, 然則內局提調許遞, 姑使之調理, 可也。 出擧條 上曰, 承旨書之, 答正言尹得敬疏曰, 省疏具悉。 處分之後, 若是陳章, 事體寒心。 儒臣補外, 國無國則已, 若綱有綱, 則亦豈已乎? 其相譏詆於銓地, 于今痼弊, 而...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윤득경 / 尹得敬 [종교·철학/유학]
1702년(숙종 28~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윤계, 조부는 윤세기, 부친은 윤식이다. 외조부는 박필하, 처부는 송요좌이다. 숙부로 윤급이 있으며, 동생으로 윤득민‧윤득서가 있다. 1736년(영조 12) 알성시에 장원급제하였다. 관직은 부수찬‧교리‧지평‧사서‧
-
김종수 / 金鍾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권신(1728∼1799). 할아버지는 참판 희로, 아버지는 치만, 어머니는 홍석보의 딸이다. 부인은 윤득경의 딸이다. 영조가 죽자 행장찬집당상이 되었고, 승지·경기도관찰사·평안도관찰사를 거치고, 규장각이 정비되면서 제학에 임명되었다. 사도세자를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