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윤두서” 에 대한 검색결과 8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3)

사전(6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969) 韓國繪畵史(安輝濬, 一志社, 1980) 恭齋 行狀(李乙浩, 美術資料 14, 國立中央博物館, 1970.12.) 恭齋 의 繪畵(李東洲‧崔淳雨‧安輝濬, 韓國學報 17, 一志社, 1979. 冬) 恭齋 의 繪畵...
    이칭별칭 효언(孝彦)| 공재(恭齋)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문인이며 화가인 의 자화상. [내용] 종이바탕에 담채. 세로 38.5㎝, 가로 20.5㎝. 국보 제240호. 전라남도 해남 윤형식 소장. 우리나라의 자화상은 문헌상으로 보면 이미 고려시대에도 있었던 듯 「공민왕조경자사도(...
    연계항목윤두서상(尹斗緖像)
  • 윤세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47(인조 25)∼1712(숙종 38).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중강(仲綱), 호는 용포(龍浦).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 두수(斗壽)의 현손이며, 휘(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면지(勉之)이고, 아버지...
    이칭별칭 중강(仲綱)| 용포(龍浦)| 효헌(孝獻)
  • 해남고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에 있는 ()의 고택. [내용] 중요민속자료 제232호.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 1587∼1671)가 큰 아들인 윤인미(尹仁美)를 분가시키고 자신도 거처하기 위하여 이 집을 지었...
    연계항목해남윤두서고택(海南尹斗緖古宅)
  • 자화상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보 제240호. 조선 후기 문인이며 화가인 윤두서(尹斗緖, 1668-1715)의 자화상.
    정의국보 제240호. 조선 후기 문인이며 화가인 윤두서(尹斗緖, 1668-1715)의 자화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Yun Du-seo Jahwasang | MR표기Yun Tu-sŏ Chahwas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17)

  • 가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昨日連承 良慰良慰 虛舟畵 不是得 意筆 比頃示望 畵不及多矣 示馬 家兒爲過祀 方在衿川 其還 當在明日午間 卽回 斗緖 肅昨日連承 良慰良慰 虛舟畵 不是得意筆
    분야문학 | 유형문헌
  • 1689년 () 교첩(敎牒)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689년(肅宗15) 9월에 임금의 명을 이조에서 받들어 를 통덕랑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702년 ()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703년 ()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693년 () 시권(試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시권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시권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기초학문(2)

  • 恭齋 의 國內外 地理認識과 地圖作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차미애, 게재일 : 2011
    50762 차미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역사민속학회/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恭齋 의 國內外 地理認識과 地圖作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해남윤씨 가문의 음악적 삶과 교유 − 공재(恭齋) 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은자, 게재일 : 2012
    42918 김은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온지학회 2012 해남윤씨 가문의 음악적 삶과 교유 − 공재(恭齋) 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

연구과제(1)

  • 조선 후기 전각(篆刻) 예술의 보편성과 특수성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성인근 | 경기대학교 | 2023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68(현종 9)∼1715(숙종 41). 조선 후기의 선비 화가. 정약용의 외증조이자 윤선도의 증손이다. 장남인 덕희와 손자인 용도 화업을 계승하여 3대가 화가 가정을 이루었다. 정선·심사정과 더불어 조선 후기의 삼재로 일컬어졌다. 집안이 남인 계열이었고 당쟁의 심

  • 윤덕희 / 尹德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화가(1685∼1776). 아버지 의 화풍을 전수받아, 도석인물·산수인물·말 그림을 잘 그렸다. 산수화 등의 작품은 보수적이면서도 남종화풍을 비교적 깊게 수용한 면모를 지니고 있다. 정릉현감을 지냈고, 작품으로《해남윤씨 가전고화첩》·《산수도첩》·《

  • 동국여지지도 / 東國輿地之圖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문인화가 가 한반도 전체를 그린 지도.고지도. 장지에 그린 채색필사본으로 지도의 크기는 세로 112㎝, 가로 72.5㎝이다. 「동국여지지도」는 정척(鄭陟)과 양성지(梁誠之)가 1463년(세조 9) 세조에게 바쳤던 「동국지도」 계열의 지도를 토대로 오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