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윤동수” 에 대한 검색결과 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74(현종 15)∼1739(영조 15).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사달(士達) 또는 대원(大源), 호는 경암(敬庵). 선거(宣擧)의 증손자로 자교(自敎)의 아들이다. 처음 부모의 명에 따라 과시(科試)준비...
    이칭별칭 사달(士達), 대원(大源)| 경암(敬庵)
  • 이의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라남도 강진(康津)에서 태어나 ()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어려서부터 구속되기를 싫어하여 집착함이 없이 돌아다니다 그의 나이 27세에 뜻을 고쳐 공부를 시작, 문하의 손꼽는 사대(四大) 제자가 되었다. 1743년(영조 19) 암행어사(暗行御史)의 천...
    이칭별칭 경호(景浩)| 동강(桐岡), 우락당(憂樂堂)
  • 경암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12권 6책. 목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으나, 다만 묘지명에 따라 조카 광소(光紹)와 손자 명기(命基) 등이 편집, 간행한 것으로 추측될 뿐이다. 규장각 도서와 국사편찬위원회에 있다...
  • 이희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않았다. ()의 문생인데, 는 윤증(尹拯)의 아우 추(推)의 손자로 영조 때 동부승지로 특별히 배수되었던 사람이다. [평가] 여러 가지 이설이 있기는 하나 『청야만집(靑野謾集)』의 편자로 일컬어진다. 이 책은 규장각본 서문에 의하면 173...
    이칭별칭 사명(士鳴)| 기기옹(棄棄翁)
  • 속은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ㆍ금영택(琴英澤) 등의 시에 화운(和韻)하였다. 서(書)는 순조 초반 영남 지방의 향교를 둘러싼 향전(鄕戰)에 대해 이의수(李宜秀) 등과 의견을 주고받은 것, 향현사(鄕賢祠) 이봉(移奉)을 둘러싼 의견의 대립을 조정하기 위해 유태좌(柳台佐)와 오천김...

고서·고문서(24)

  • 경암선생유고(敬庵先生遺稿)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57063 B057063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純祖 8年 閏5月 3日_015 ○持平啓曰, 請正法罪人鏔, 亟施孥戮之典。 措辭見上 請黑山島島配罪人若銓, 康津縣定配罪人若鏞, 濟州牧島配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5835 B055835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純祖 8年 5月 16日_019 ○持平啓曰, 請正法罪人鏔, 亟施孥戮之典。 措辭見上 請黑山島島配罪若銓, 康津縣定配罪人若鏞, 濟州牧島配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6508 B056508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純祖 8年 5月 29日_018 ○持平啓曰, 請正法罪人鏔, 亟施孥戮之典。 措辭見上 請黑山島島配罪人若銓, 康津縣定配罪人若鏞, 濟州牧島配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5955 B055955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純祖 8年 5月 17日_016 ○持平啓曰, 請正法罪人鏔, 亟施孥戮之典。 措辭見上 請黑山島島配罪人若銓, 康津縣定配罪人若鏞, 濟州牧島配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법부쥬 홍죵한洪鍾翰 륙품 뎡만교丁晩...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법부쥬 홍죵한洪鍾翰 륙품 뎡만교丁晩教로 시강원쥬를 임고 현릉참봉 졍식 갈닌에 구품 신호영申昊永으로임고 슝션뎐참봉 김용희갈닌에 김죵두金鍾斗로 임고 소경원참봉 리두로 갈닌에 셔호 徐호로임고 뎐환국쥬 박명근朴命根으로 동항경무관을임고 윤동슈 김희슈...
    게재일1902년 6월 18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3)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6298 일본 東京 학교(집합) 金剛杵 25호(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 1941―12―10 105면 2. 조선불교동경유학생 회원일람(1941년 9월 현재);2)舊 회원 ;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2202 일본 東京 학교(집합) 金剛杵 23호(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 1939―01―15 95면 1. 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 회원일람(무순) ;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5853 일본 東京 학교(집합) 金剛杵 24호(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 1940―07―30 73면 1. 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 회원일람(1940년 5월 현재, 가나다순) ; 大森區 南千束町 3 中...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74(현종 15)∼1739(영조 15). 조선 후기의 학자. 선거의 증손자로 자교의 아들이다. 처음 부모의 명에 따라 과시준비를 하였으나, 얼마 뒤 그 뜻을 버리고 성리학 공부에 전념하였다.1706년(숙종 32) 우의정 최석정의 추천으로 내시교관에 제수되고 승정원동

  • 이희겸 / 李喜謙 [문학/구비문학]

    며, 1743년을 전후하여 양덕현감을 역임하면서 병이 들어 파직을 청하는 계(啓)를 올렸으나 윤허가 내리지 않았다. ()의 문생인데, 는 윤증(尹拯)의 아우 추(推)의 손자로 영조 때 동부승지로 특별히 배수되었던 사람이다. 여러 가지 이설이 있기는 하나

  • 원옹집 / 園翁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의승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오도일에 의하여 수집, 그의 문집과 함께 오도일의 아들이 1728년(영조 4) 간행하였고, 그 뒤 1796년(정조 20) 저자의 증손 재항이 중간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두에 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