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윤덕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0)
사전(15)
- 윤덕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군선경수 / 윤덕희 1685(숙종 11)∼1776(영조 52). 조선 후기의 화가. 마상부인 / 윤덕희 윤덕희(조선, 1685~1776) 그림. 1736년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이칭별칭 경백(敬伯)| 낙서(駱西), 연옹(蓮翁), 연포(蓮圃), 현옹(玄翁)
- 참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참최복(斬衰服)을 입는 상(喪). 3년 동안 입음. 臘月 卄二 斬制民 尹德熙 拜手, 윤덕희(尹德熙), 48-13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양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美術館) 소장의 <사자나한도 獅子羅漢圖>가 알려져 있는데, 어진제작에 참여할 정도의 뛰어난 필력은 찾을 수 없으나 묘사력과 화격(畵格)은 갖추었다. 윤두서(尹斗緖)와 윤덕희(尹德熙)의 도석인물화풍(道釋人物畵風)의 영향이 엿보인다. 承政院日記
- 수성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략하는 동양화의 화법)의 수묵선종화풍(水墨禪宗畫風)이, 후기에는 채색풍이 성행하였다. 대표작으로는 일본에 있는 김명국의 「수노인도」, 간송미술관에 소장된 윤덕희(尹德熙)의 「남극성도」,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김홍도(金弘道)의 「수성도」 등이 있고 민화풍의 그림...이칭별칭수노인도|노인성도|남극성도|남극노인도
- 김덕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등과 함께 활약했으며, 이때 윤덕희(尹德熙)는 감조관(監造官)으로 참여하였다. 유작으로 1744년 아버지와 함께 그린 「사계산수도권(四季山水圖卷)」(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이 전한다. 사계절의 경치와 풍속이 ‘도리원호흥경(桃李園豪興景)’과 ‘전원행렵승회(田園行獵勝會...
고서·고문서(41)
- 1767년 윤덕희(尹德熙)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767년(英祖43) 1월에 윤덕희를 가의대부에 임명한 문서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767년 윤덕희(尹德熙)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767년(英祖43) 5월에 윤덕희를 가의대부 동지중추부사에 임명한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763년 윤덕희(尹德熙)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763년(英祖39)에 윤덕희를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에 임명한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763년 윤덕희(尹德熙)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763년(英祖39) 1월에 윤덕희를 통정대부에 임명한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766년 윤덕희(尹德熙)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766년(英祖42) 9월에 윤덕희를 가선대부에 임명한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기초학문(1)
- 민주적 통일사회의 형성 방안: 남한의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덕희, 게재일 : 199906581 윤덕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명지대학교 북한연구소 1999 민주적 통일사회의 형성 방안: 남한의 과제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유형논문 | 게재일1999
기타자료(3)
- 윤덕희;尹德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8355 일본 奈良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一覽 大正14年度 1925―09―05 168면 윤덕희;尹德喜학교소재지역奈良 | 학교명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윤덕희;尹德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8362 일본 奈良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一覽 大正15年度 1926―11―20 169면 윤덕희;尹德喜학교소재지역奈良 | 학교명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윤덕희;尹德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8373 일본 奈良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一覽 昭和2年度 1927―09―10 168면 윤덕희;尹德喜학교소재지역奈良 | 학교명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윤덕희 / 尹德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화가(1685∼1776). 아버지 윤두서의 화풍을 전수받아, 도석인물·산수인물·말 그림을 잘 그렸다. 산수화 등의 작품은 보수적이면서도 남종화풍을 비교적 깊게 수용한 면모를 지니고 있다. 정릉현감을 지냈고, 작품으로《해남윤씨 가전고화첩》·《산수도첩》·《미
-
수발집 / 溲勃集 [종교·철학/유학]
해남윤씨의 입향조인 어초은공파의 8대 후손인 낙서 윤덕희의 유고이다. <수발집>은 그의 나이 21세(1705년)부터 82세(1766년)까지 쓴 총 545편 818수의 시와 산문 10편을 싣고 있으며, 서문과 발문이 없는 필사본이다. 이 문집은 연대별로 되어 있어 생애
-
십이봉전환기 / 十二峯─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중국에서 유실된 작품으로 알려져 있는 청나라 초기 소설 『십이봉(十二峯)』 20회를 번안한 작품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4권 4책이 유일본이다. 윤덕희(尹德熙)의 『자학세월(字學歲月)』과 「소설경람자(小說經覽者)」에 서목이
-
잔당오대연의 / 殘唐五代演義 [문학/고전산문]
하지 않다. 『잔당오대연의』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조선에 유입되어 읽혔다. 허균(許筠, 1563∼1618)의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홍만종(洪萬宗, 1643∼1725)의 『순오지(旬五志)』, 윤덕희(尹德熙)의 「소설경람자(小說經覽者)」, 완산 이씨(完山李氏)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