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윤노동”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
사전(7)
- 윤노동(尹魯東)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534 인물 윤노동(尹魯東) 윤노동 尹魯東 1753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성담(聖膽), 호는 용서(蓉西). 1789년 진사시에, 1790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양산군수(梁山郡守)‧사간원유형분류인물
- 다나카 쇼자에몬(田中所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守)였다. 윤노동(尹魯東)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 조선에 왔다.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http://db.itkc.or.kr/);対外関係史総合年表編集委員会,『対外関係史総合年表』, 吉川弘文館, 2026.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http://...유형분류인물
- 의행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기쁨이 여전함. 阻際頃晤 雖極悤擾 .切依幸, 윤노동(尹魯東), 02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별금도왜(別禁徒倭)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만들고 동래부사 유강(柳焵)이 이 일을 사역원(司譯院)에 논보(論報)하였는데, 이때 별금도왜의 경우 땔나무 130속(束) 중에 70속을 감하고, 숯 13섬[石] 중 7섬을 감하였다. 1810년 10월 9일 동래부사 윤노동(尹魯東)이 올린 장계에 의거하면, 별금도왜가 1...유형분류제도
- 비선(飛船)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를 늘림으로써 무역품 수송력의 증대를 꾀하기도 하였다. [용례] ① 東萊府使尹魯東狀啓 倭飛船一隻到館 卽爲間情 則別禁徒倭言內 貴國信行 明年入來弊州 故自今年條萬松院送使 至明年條一特送使停止事 弊州奉行事等 所呈書契 俺順付持來云[『순조실록』 10년 10월 9일] ②...관련어격왜(格倭), 두왜(頭倭), 취허(吹噓)
고서·고문서(52)
- 1793년 정조(正祖) 호서어사봉서(湖西御史封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봉서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봉서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1582 B07158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9年 1月 6日_010 ○備邊司薦望, 以尹魯東爲東萊府使。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932 B016932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純祖實錄 二十一年(1821) 六月 순조실록_12106005_002 ○以尹魯東爲江華府留守。출처전거純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292 B076292 동래 東萊 정치행정 純祖實錄 九年(1809) 春正月 순조실록_10901006_002 ○以尹魯東爲東萊府使。출처전거純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1419 B07141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12年 4月 18日_014 ○李錫夏, 以備邊司言啓曰, 東萊府使尹魯東仍任之後, 連有身病, 呈狀乞遞, 病狀旣如此, 則有難强令察任, 改差, 何如? 傳曰, 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윤노동 / 尹魯東 [종교·철학/유학]
1753년(영조 29)~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윤세량, 조부는 윤광, 부친은 윤득수이다. 외조는 송징래, 처부는 조재홍이다. 1789년(정조 13) 식년시 진사 3등 56위에 합격, 1790년(정조 14) 증광시 갑과 3위에 문과 급제하였다. 1792년(정조
-
호서어사봉서 / 湖西御使封書 [정치·법제]
1973년(정조 17). 정조가 윤노동에게 옥천, 영동, 석성지역을 암행어사로 보내면서 내려준 봉서. 이 문서는 암행어사의 직무를 충실히 수행할 것을 하명하면서 특히 진정과 곡부에 유념하라는 등의 당부를 하고 있다.
-
호서암행어사봉서 / 湖西暗行御史封書 [정치·법제]
1793년(정조 17) 4월. 정조가 이조원을 충청도 지역에 암행어사로 보내면서 내려준 봉서. 이 봉서에는 충청도의 서산, 해미, 결성 지역에 암행어사의 직무를 충실히 수행할 것을 하명하면서 진정과 곡부에 유념하라고 당부하였다. 이 문서는 호서어사 윤노동, 영남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