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윤급” 에 대한 검색결과 2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6)

사전(3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근암집≫‧≪근암연행일기≫ 등이 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英祖實錄 國朝榜目 典故大方 淸選考 槿域書畵徵 司馬榜目 영정 1697...
    이칭별칭 경유(景孺)| 근암(近庵)| 문정(文貞)
  • 목시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격으로서 정자 이섭원(李燮元), 교리 () 등과 함께 문과중시(文科重試)에 을과로 뽑혔다.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성호문...
    이칭별칭 사헌(士憲)| 이계(伊溪)
  • 근대신어 : 레딩(累多)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3151 레딩 라항 累多 英累多發電新聞據云 영국 런던과 레딩에서 온 신문에 의하면 伊佛地震 漢城周報 54 博文局 1887 2 20 7 행정지명
    출전漢城周報[博文局] | 계통분류 [과학지식] 행정지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변호(변호)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2715 변호 바항 변호 로형을 변호지 아시오? 노형을 변호한지 아시오? 李光洙 無情 新文館 1918 109 유의어 辯論 변론 若失此機會, 不爲辯止, 則後雖悔之...
    출전無情[新文館] | 계통분류 [예술감각] 행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변호(변호)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초기의어휘, 106면 유의어 辯論 변론 若失此機會, 不爲辯止, 則後雖悔之, 亦已無及.(宣祖實錄 28년 3월 4일) 만일 이 기회를 잃고 변론하여 막지 못한다면 뒤에 가서 아무리 후회해도 어찌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한) 辯...
    출전대한매일신보 | 계통분류 [예술감각] 행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220)

  • 禫不計中月禫之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ws_00024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五 喪禮_禫祭 禫不計中月禫之義 禫不計中月禫之義 이익(李瀷, 1681~1763) 答仲暉別紙 DRAC_5:1:1:23 《公羊傳》“喪以閏數”, 《註》曰“恩殺云云”, 《疏》曰: “《鄭志》曰: ‘居喪之禮...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848년 () 등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부여 은산 함양박씨
  • 러시아 병륜(兵輪)과 선상(船上)의 러시아인이 도망할 수 없도록 마땅히 중국 정부가 엄격하게 관리를 해아야 함
    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대만중앙연구원근대사연구소 | 발신일光緒30年11月07日;1904-12-13
  • 6520 일본 고문서 鎌倉遺文 433 원종(元宗) 10 1269 12 8 鎌倉遺文14 日蓮立正安國後[日蓮聖人遺文] 文應元年[太歲庚申]勘之 正嘉自始之文應元年勘畢 去見正嘉元年[太歳丁巳]八月廿三日戌亥之尅大地震 勘之 其後以文應元年[太...
    국가일본 | 서명鎌倉遺文 | 왕대원종(元宗)  10
  • 1651년 승 자운(自雲) 소지(所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흥사 스님 자운이 남평의 이생원에게서 사들여 오랫동안 경작해 온 논을, 이 윤경담에게 팔고 윤경담이 다시 김인복에게 팔았다. 결국 이 일은 과 이생원 간의 송사로 이어져 이생원이 소송에서 이겼다. 그러나 윤경담이 김인복에게 논값을 돌려주지 않자, 애꿎은 스님...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신문·잡지(10)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한셩판윤 박의병씨난 진만군항디의 범입디단을답샤로 삼작일에 발얏난 금번특파대수원으로 뎡에 그긔가 대단춍급야 금이십오일에난 불가불 회환다더라
    게재일1906년 11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민세안재홍전집 : 六月의世界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032 1924 7 15 1 1 一記者 六月의世界 잡지 개벽 49호 105쪽 동정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言集會壓迫抗拒實行委員 B19240715개벽01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現今敎育の弊を敍し其の改善點にす 鎌塚扶 17 泰西思想紹介-ジョンデュウィの敎育說 (5) 京城帝國大學敎育學硏究室 31 광고1...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1
  • 朝鮮工業の現勢 賀田直治 58 西比利と北日本 菊地愛二 63 利び賃銀論(二) 石津 漣 71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1
  • 南仙生 17 畜産獎勵意見 月田藤三郞 23 官制改正及地方官改正 齋藤 實 26 利...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1

기타자료(4)

  • 백제에서 대별왕이 왜로 귀국하고 경론과 선사를 대동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元亨釋書󰡕 20) 【원문】 六年 十月 遣百濟使大別王自百濟歸 百濟王附貢經禪師等六人 館難破大別王寺(󰡔元亨釋書󰡕 20)
    대표표제어백제에서 대별왕이 왜로 귀국하고 경론과 선사를 대동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77년(丁酉/신라 진지왕 2/고구려 평원왕 19/백제 위덕왕 24/陳 大建 9/倭 敏達 6)
  • 백제로 보낸 사자 대별왕이 왜로 귀국하면서, 경론과 선사를 대동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亨釋書』 20) 【원문】 六年 十月 遣百濟使大別王自百濟歸 百濟王附貢經禪師等六人 館難破大別王寺 (『元亨釋書』 20)
    대표표제어백제로 보낸 사자 대별왕이 왜로 귀국하면서, 경론과 선사를 대동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577년(丁酉/신라 진지왕 2/고구려 평원왕 19/백제 위덕왕 24/陳 宣帝 太建 9/倭 敏達天皇 6)
  • 백제가 왜에 경론과 승려 공인 등을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禁師造佛工造寺工 六人 遂安置於難波大別王寺 (󰡔日本書紀󰡕 20 敏達紀) 【원문】 六年 冬十有一月 百濟國 貢佛經禪師律師比丘尼及咒禁師佛工寺匠 (󰡔元亨釋書󰡕 20)
    대표표제어백제가 왜에 경론과 승려 공인 등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77년(丁酉/신라 진지왕 2/고구려 평원왕 19/백제 위덕왕 24/陳 大建 9/倭 敏達 6)
  • 백제가 왜에 경론과 승려, 공인 등을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人 遂安置於難波大別王寺 (『日本書紀』 20 敏達紀) 【원문】 六年 冬十有一月 百濟國 貢佛經禪師律師比丘尼及咒禁師佛工寺匠 (『元亨釋書』 20)
    대표표제어백제가 왜에 경론과 승려, 공인 등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577년(丁酉/신라 진지왕 2/고구려 평원왕 19/백제 위덕왕 24/陳 宣帝 太建 9/倭 敏達天皇 6)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7∼1770). 이재·박필주의 문인으로, 예문제학·대사헌·좌우참찬·판의금부사·한성판윤, 형조·예조·이조·형조의 판서 등을 역임했다. 영조의 탕평책을 반대하며, 자주 파직·좌천되기도 했다. 글씨에 뛰어나 독특한 서체를 이룩하였고, 저서로는《근암집》

  • 김좌명 / 金佐明 [종교·철학/유학]

    1616(광해군 8)∼1671(현종 12). 조선 후기의 문신. 비 증손, 할아버지는 참봉 흥우, 아버지는 영의정 육, 어머니는 의 딸이다. 1644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이조좌랑, 대사헌, 경기도관찰사,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귀계유고≫가

  • 윤득경 / 尹得敬 [종교·철학/유학]

    1702년(숙종 28~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윤계, 조부는 윤세기, 부친은 윤식이다. 외조부는 박필하, 처부는 송요좌이다. 숙부로 이 있으며, 동생으로 윤득민‧윤득서가 있다. 1736년(영조 12) 알성시에 장원급제하였다. 관직은 부수찬‧교리‧지평‧사서

  • 조중회 / 趙重晦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1∼1782). 정언으로 왕의 사묘 참례와 사행의 폐를 논박해 삭탈되었고, 탕평에 반대한 을 변호하여 파직됐으나, 곧 기용돼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사도세자 죽음의 부당함을 극간하여 무장에 유배되었고, 홍국영 사후 이조판서에 임명되

  • 국조속오례의 / 國朝續五禮儀 [종교·철학/유학]

    『국조오례의』의 속편. 5권 4책. 목판본. 1744년(영조 20)에 완성하였다.『국조오례의』를 토대로 다시 다듬고 손질해 만든 책으로『경국대전』의 속편인『속대전』과 함께 같은 때 찬집되었다. 권두에 의 서문, 찬집하게 된 동기와 경위를 적은 이종성 등의 전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