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윤근수” 에 대한 검색결과 2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9)

사전(131)

  • 월정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이자 성리학자(性理學者)인 ()의 문집(文集). [내용] 4권 2책. 활자본. 월정(月汀)은 의 호로 1773년 6세손 윤관(尹觀)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에 의하면, 이 별집은 원래 비장(...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明宗實錄 宣祖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典故大方 月汀集 淸陰集 象村集 (1537-1616) 1537(중종 32)∼1616(광해군 8...
    이칭별칭 자고(子固)| 월정(月汀)| 문정(文貞)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을미년 9월에 김덕령의 명성이 높아지자, 덕령을 모함하여 잡아들이지만 백성들이 상소를 하여 풀어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한국 조선 중종~광해군 이현숙 이범직 2012 자고(子固) 월정(月汀) 문정(文貞) 양반 남자 1537년(중종 32)...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6533 인물 () 1537 1616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자고(子固), 호는 월정(月汀). 1558년 문과에 급제, 1590년 예조 판서가 되어 광국공신(光國功臣...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56)

신문·잡지(1)

  • (精米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精米所) 개성 精米所 西本町 96 - - 정미업 - - -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尹根秀(尹根秀精米所)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정미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기타자료(1)

  • 윤상훈;尹商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개성부 서본정 정미소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연행록 정본화 및 DB 구축 (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희목 | 성균관대학교 | 2018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0)

  • / [종교·철학/유학]

    1537(중종 32)∼1616(광해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계정 증손, 할아버지는 희림, 아버지는 변, 어머니는 현윤명의 딸이다. 영의정 두수의 동생이다. 김덕수·이황의 문인으로 1558년(명종 13)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권지부정자에 임용된 뒤 홍문

  • 조익 / 趙翼 [종교·철학/유학]

    1579(선조 12)∼1655(효종 6). 조선 중기의 문신. 안국 증손, 할아버지는 간, 아버지는 영중이다. 어머니는 의 딸이다. 장현광·의 문인이다. 정포만호,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위의 논술 외에 문집으로 ≪포저집≫ 35권 18책

  • 이정구 / 李廷龜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35(인조 13).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 석형 현손, 아버지는 계, 어머니는 김표의 딸이다. 의 문인이다. 1590년(선조 23)에는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병조판서, 예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시문집으로는 그

  • 조경 / 趙絅 [종교·철학/유학]

    1586(선조 19)∼1669(현종10). 조선 후기의 문신. 수곤 증손, 할아버지는 현, 아버지는 익남이다. 어머니는 유개의 딸이다. 의 문인이다. 1626년(인조 4) 정시문과에 장원, 정언·교리·헌납, 대제학, 형조판서, 회양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 경인갱운첩 / 庚寅賡韻帖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대신 및 공신의 후예들과 나눈 창화시를 수록하여 1770년에 간행한 시집. 1첩. 필사본. 1590년(선조 23) 명나라 역사책에 조선왕조인 이씨세계(李氏世系)를 잘못 기록한 점을 고치게 된 뒤 그 공으로 () 등 19인에게 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