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윤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61)
사전(152)
- 윤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선인물호보(朝鮮人物號譜)』 『귤정유고(橘亭遺稿)』 윤구(1495-?) 1495(연산군 1)∼? 조선 중기의 문신. 글씨는 ≪한국역대명인필적≫에서.이칭별칭 형중(亨仲)| 귤정(橘亭)
- 윤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06(선조 39)∼1637(인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군평(君平). 영의정 두수(斗壽)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 방(昉)이고, 아버지는 신지(新之)이며, 어머니는 선조의 딸 정혜옹주(貞惠...이칭별칭 군평(君平)
- 윤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사천 땅에 사는 재상이다. 나라에 죄를 지은 후 벼슬을 물리고 고향으로 돌아와 농업에 힘쓰며 부요하게 지내다가, 제석신장의 습격을 받고 놀라서 죽는다. 유광 덕분에 다시 살아나자 딸 윤혜연을 아내로 맞이하기를 청한다. 나중에 황제에게 죄를 용서받고 예부상서가 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尹衢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356 尹衢 인물 亨仲, 橘亭 中宗朝, 己卯 海南 爲義帝發喪論 D_03_01_20 대동운부군옥 3권 1장 2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3권 1장 2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윤구①(尹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윤구① 윤구① 尹衢 인물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한국 조선 종종 이기순 이범직 2013 [총론] [1495년(연산군 1)∼? = ?]. 조선 중기 종종(中宗) 때의 문신. 춘추관(春秋館)
고서·고문서(375)
- 尹穀赴池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三綱行實圖 三綱行實忠臣圖 尹穀赴池 권채(權採), 설순(偰循) 105 進士尹穀潭州人德祐乙亥差知衡州待次家居潭被元兵城將陷知事不可爲乃爲二子行冠禮人曰今何時行此迂闊事穀曰正欲令兒曺冠帶見先人於地下耳旣畢禮具衣冠望闕再拜謂其弟岳秀曰可急去不可使尹氏無後吾受國厚恩義當死岳秀曰兄旣死弟將安往願俱...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윤구(尹衢)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7 第七統統首尹九沙里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01년_대현면(大峴面) 1801년 대현면(大峴面) 第十四新里里 7 第七統統首尹九沙里 第一戶 驛吏尹九沙里年肆拾肆戊寅本坡平父聖文祖喆好曾祖末叱方外祖林錫植本羅州妻 崔姓年肆拾參己卯本慶州父通政孟守祖通政元善曾祖通政逸生外祖李進鶴本慶州母林 姓年陸拾肆戊午等戊午戶口...연도_면이름1801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十四新里里
- 自在旅至因論口將言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kh_00051 문화‧생활 작품 조선 근사록질서(近思錄疾書) 卷十 自在旅至因論口將言 自在旅至因論口將言 이익(李瀷, 1681~1763) HCRT_10:3:1 無意味, 無實也. “光”者, 實之發見也. HCRT_10:3:2 “過恭”、“過哀”、“過儉”, 皆非禮也....서명근사록질서(近思錄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822년 윤구(尹榘)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진주 단목 진양하씨 단지 종택
구술자료(16)
- 양양 윤구병과 강릉 이통천이 돈 자랑하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날 눈이 많이 내려 운전을 하며 다니기에는 다소 불편하였으나 오전에 죽정2리 경로당에서 한방자로부터 많은 노래를 들었다. 차분히 더 많은 것을 여쭤보려고 하였으나 오히려 같은 마을에 있는 윤옥란을 추천해 주었다. 윤옥란 댁은 경로당에서 200여 미터 거리에 위치하고...조사일시2010. 1. 22(금) | 조사장소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죽정2리 3반 윤옥란 댁 | 제보자윤옥란(#)
- 송만갑 유적지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A면 박대양노인과 김윤구노인의 증언이다.B면 신원미상 노인의 증언으로 송만갑의 옛 집터를 현장답사하면서 대담하였다. A-167 송만갑 유적지 대담_.pdf pdf A-167.jpg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윤구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미상 미상 32:36 29:52 A면 1) 긴산유화(06:20) 소리 이병호 윤구방 서재덕 조택구2) 산유화가(15:56) 소리 박흥남3) 긴덩어리소리, 자진덩어리소리(18:13) 소리 박흥남4) 바심소리, 솔비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윤구방
- 송만갑 유적지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A면 박대양노인과 김윤구노인의 증언이다.B면 신원미상 노인의 증언으로 송만갑의 옛 집터를 현장답사하면서 대담하였다. A-167 송만갑 유적지 대담_.pdf pdf A-167.jpg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대양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미상 미상 32:36 29:52 A면 1) 긴산유화(06:20) 소리 이병호 윤구방 서재덕 조택구2) 산유화가(15:56) 소리 박흥남3) 긴덩어리소리, 자진덩어리소리(18:13) 소리 박흥남4) 바심소리, 솔비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병호
기초학문(7)
- 한국에서의 헤겔 연구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윤구, 게재일 : 200005920 김윤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철학회 2000 한국에서의 헤겔 연구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a1f유형논문 | 게재일2000
- 국적차별금지조항의 기원과 현재적 의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윤구, 게재일 : 201349527 전윤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노동법학회 2013 국적차별금지조항의 기원과 현재적 의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노동법의 과제로서의 근로자 인격권 보호(Ⅱ) - 인격권침해의 방어수단으로서 작업거절권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윤구, 게재일 : 201552339 전윤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영법률학회 2015 노동법의 과제로서의 근로자 인격권 보호(Ⅱ) - 인격권침해의 방어수단으로서 작업거절권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유형논문 | 게재일2015
- 노동법의 과제로서의 근로자 인격권 보호(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윤구, 게재일 : 201252340 전윤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2012 노동법의 과제로서의 근로자 인격권 보호(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차별금지에서 외국인근로자의 법적 지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윤구, 게재일 : 201367338 전윤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3 차별금지에서 외국인근로자의 법적 지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72)
- 金潤九(金潤九)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潤九(金潤九) 서울 金潤九 金潤九 本町 2-100 기타 - 식목 및 화초 소매 27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潤九(金潤九) | 지역서울 | 품목기타 | 영업종목식목 및 화초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定欵審議 議論區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定欵審議 議論區區 1931년 10월23일 서울 서울 조선상공회의소 창립총회는 3시에 재개되어 정관을 심의 가결했는데대표표제어定欵審議 議論區區 | 연월일1931년 10월23일 | 지역서울
- 석마하연론구필(釋摩訶衍論口筆)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석마하연론구필(釋摩訶衍論口筆) 1 釋摩訶衍論口筆 석마하연론구필 형태서지 釋論第六口筆一二 筆寫本 [日本] 江戶前期 袋綴裝 2冊 29.0x21.0 延文...대표표제어석마하연론구필(釋摩訶衍論口筆) 1 | 대표서명釋摩訶衍論口筆 | 한글서명석마하연론구필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석마하연론구필(釋摩訶衍論口筆)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석마하연론구필(釋摩訶衍論口筆) 2 釋摩訶衍論口筆 석마하연론구필 형태서지 釋論第七口筆第一.二.三 筆寫本 [日本] 江戶前期 袋綴裝 3冊 29.0x21.0 ...대표표제어석마하연론구필(釋摩訶衍論口筆) 2 | 대표서명釋摩訶衍論口筆 | 한글서명석마하연론구필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석마하연론구필(釋摩訶衍論口筆)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석마하연론구필(釋摩訶衍論口筆) 3 釋摩訶衍論口筆 석마하연론구필 형태서지 釋論第七八卷口筆 釋論第七八卷口筆 筆寫本 [日本] 1438年(永享 10) 1冊 永...대표표제어석마하연론구필(釋摩訶衍論口筆) 3 | 대표서명釋摩訶衍論口筆 | 한글서명석마하연론구필 | 서지형태형태서지
기타자료(39)
- 이윤구;李倫求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046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62면 이윤구;李倫求 경성광산전문학교 제22회 1939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윤구;金侖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8344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4면 김윤구;金侖九 제7회 1937-03-20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윤구;李潤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2969 남한 경성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1-19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 10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9) 제9회 43명(1913년 3월 졸업) 이윤구;李潤九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윤구종;尹球鍾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2075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儆新 창간호 1929 126면 ㅁ1. 동문회회원록;ㅁ23) 제22회 24명(1928) 윤구종;尹球鍾 황해 황주군 삼전면 용전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윤구;李倫求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갑종 강습과 수료자 이윤구;李倫求 (현주소)황해 海州第一普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4)
-
윤구 / 尹衢 [종교·철학/유학]
1495(연산군 1)∼?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경, 아버지는 효정이다. 1513년(중종 8) 사마양시에 합격하고, 1516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사가독서를 하였으며, 다음해 주서에 이어 홍문관의 수찬·지제교·경연검토관·춘추관기사관 등을 역임하였다. 15
-
이윤구전 / 李尹求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58장본이 있고, 사재동(史在東)이 110장본을 소장하고 있다. 고려시대를 배경으로 주인공이 고난을 극복하고 행복하게 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이 작품은 배경설정을 국내로 한 점, 여러 구전설화를 포함
-
박창원 / 朴昌元 [종교·철학/유학]
1683년(숙종 9)∼1753년(영조 29). 조선 후기의 시인. 부친은 흥준, 어머니는 진성수의 딸이다.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외조부에게 수학하였고, 이어 이동언을 따라 학문을 익혔다. 김원행·유척기 등 주로 노론계 인사들과 종유했다. 그의 문하에서는 시인 백윤구
-
윤홍중 / 尹弘中 [종교·철학/유학]
?~1572. 조선 중기 문신. 증조는 윤경, 조부는 윤효정, 부친은 윤구이다. 외조부는 임휴, 처부는 송홍이다. 1540년(중종 35) 식년시에 생원 3등 2위로 합격하였고, 1546년(명종 1) 증광시에서 병과 17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함경남도평사 및
-
이길 / 李洁 [종교·철학/유학]
1547(명종 2)∼1589(선조 22). 조선 중기의 문신. 달선 증손, 할아버지는 공인, 아버지는 중호, 어머니는 윤구의 딸이다. 발의 아우이다. 생원시에 올라 1577년(선조 10) 태묘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사인을 거쳐 벼슬이 응교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