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육조단경” 에 대한 검색결과 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

사전(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수행방법은 선종의 요체이며, 그 근원은 바로 이 책에서 비롯된다. ≪≫에는 또한 남종(南宗)과 북종(北宗)의 대립에 대한 묘사가 나온다. 즉, 혜능을 중심으로 하는 남종선과 신수(神秀)를 정점으로 하는 북종선의 대립이 그것이다. 이 책은 남종선...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종(禪宗)의 제6대조인 혜능(慧能, 638-713)의 자서전적 일대기.
    정의선종(禪宗)의 제6대조인 혜능(慧能, 638-713)의 자서전적 일대기.[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Yukjo dan-gyeong | MR표기Yukcho tan’g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각해일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근대의 승려 백용성(白龍城)이 1930년에 대각교(大覺敎)를 창립하고 교전(敎典)으로 지은 책. [내용] 3권 1책. 권말에 『요역(要譯)』이 부록으로 첨부되어 있다. 1979년의 재판본에는 한문으로 된...
  • 성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거를 지냈다. 1965년 문경 김룡사(金龍寺) 하안거 때는 첫 대중법문으로, 『』, 『금강경』, 「증도가」 및 중도이론을 설법하였다. 1966년 해인사 백련암으로 옮겨가 주석하였고, 1967년에는 해인총림 초대 방장으로 취임하였다. 방장 취임의 임...
    이칭별칭 퇴옹(退翁)
  • 지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寺)에 머물면서 『()』을 열람하다가 그의 첫 번째 깨달음이 이루어진다. 그 뒤, 평생 동안 육조혜능(六祖慧能)을 스승으로 모셨다. 1185년 다시 예천의 하가산(下柯山)보문사(普門寺)로 옮겨 선종의 종지(宗旨)에 따라 수행하면서 교학을 병행하던...
    이칭별칭 목우자(牧牛子)| 불일보조(佛日普照)

고서·고문서(2)

기초학문(2)

  • 敦博本『』의 몇 가지 虛詞(1):副詞와 前置詞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인성, 게재일 : 2004
    34950 송인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연구회 2004 敦博本『』의 몇 가지 虛詞(1):副詞와 前置詞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敦煌本 󰡔󰡕 俗字例 考察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애영, 게재일 : 2009
    42337 김애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연구회 2009 敦煌本 󰡔󰡕 俗字例 考察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1)

  • 육조대사법보단경해설(六祖大師法寶壇經解說)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육조대사법보단경해설(六祖大師法寶壇經解說) 六祖大師法寶壇經解說 육조대사법보단경해설 형태서지 [著者未詳] [未詳] [韓國] 筆寫本 [刊寫年未詳] ...
    대표표제어육조대사법보단경해설(六祖大師法寶壇經解說) | 대표서명六祖大師法寶壇經解說 | 한글서명육조대사법보단경해설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불교]

    혜능이 쓴 저서. 혜능은 중국 선종의 법맥을 이어받았다. 중국 선종은 달마를 초조로 삼고 6대조인 혜능에게로 전해졌다. 이 은 선정의 본질로서 견성성불과 돈오를 강조하고 남종선의 관점에서 신수를 조사로 하는 북종선의 점수의 수행법을 비판한다. 여기서 돈오는 순

  • 각해일륜 / 覺海日輪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승려 백용성이 불교경전을 한글로 번역하여 1930년에 간행한 교리서. 근대의 독립운동가이자 승려였던 백용성이 저술한 한글로 쓰인 최초의 불교 교리서이자 대각교(大覺敎)의 이념서이다. 본문 3권과 부록인 「요역(要譯)」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