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육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57)
사전(1,015)
- 참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육조의 정3품 관직. [내용] 정원은 이‧호‧예‧병‧형‧공조에 각 1인씩 총 6인이다. 각 조의 차차석 관원으로 참판과 함께 판서를 보좌하는 좌이관(佐貳官)이었다. 지금의 차관보에 해당한다. 그러나 단순한 보좌관이 아니라 각 조...
- 육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995년에 상서육부(尙書六部)로 개칭하면서 성립되었다. 이후 근대적인 관제로 개편되는 1894년(고종 31)까지 사사(四司)‧육조(六曹)‧삼부(三部)‧육부(六部)‧육사(六司) 등으로 변천, 계승되었다. 육조의 변천은 [표]와 같다. [표] 육조의 변천...
- 육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한 달이 흘렀음을 나타내는 말. ‘육(.)’은 그믐에 동쪽 하늘에 뜨는 달이며, ‘조(.)’는 초하루에 서쪽 하늘에 뜨는 달이다. 書出 月有.. 更伏請淸和 經體僉旺 .輸溯禱之私, 정운오(鄭雲五), 37-14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육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에 정책의 입안(立案), 서정(庶政)의 집행을 나누어 분담하던 이조‧호조‧예조‧병조‧형조‧공조의 총칭.정의조선시대에 정책의 입안(立案), 서정(庶政)의 집행을 나누어 분담하던 이조‧호조‧예조‧병조‧형조‧공조의 총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Yukjo | MR표기Yukch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육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의 위진 남북조 시대 때, 남쪽에서 건국한 위, 진, 송, 제, 양, 진의 여섯 왕조정의중국의 위진 남북조 시대 때, 남쪽에서 건국한 위, 진, 송, 제, 양, 진의 여섯 왕조 | 문광부표기Yukjo | MR표기Yukch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3)
- 정본 여유당전서 28-목민심서 2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정치‧법제 | 유형단행본1.禮典六條 2.兵典六條 3.刑典六條
- 정본 여유당전서 29-목민심서 3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정치‧법제 | 유형단행본1.工典六條 2.賑荒六條 3.解官六條
- 정본 여유당전서 27-목민심서 1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정치‧법제 | 유형단행본1.赴任六條 2.律己六條 3.奉公六條 4.愛民六條 5.吏典六條 6.戶典六條
고서·고문서(1,063)
- 粥朝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00 與猶堂全書補遺○竹欄遺蛻集 ITKC_MP_0597A_1600_000_0350 粥朝衣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竹欄遺蛻集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六條啓【癸未】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八 啓 22 六條啓【癸未】 08_055_036.jpg 六條啓【癸未】 我朝昇何已久, 恬嬉日甚, 內外空虛, 兵食俱乏, 小醜犯邊, 擧國驚動, 儻有大寇侵軼, 則雖智者無以爲計。 古語有之, 先爲不可勝, 以待敵之可勝。 今之國事, 無一可恃, 敵至必敗。 言念及此,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人事門2_六曹郞兼任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六曹郞兼任 古不擇諫官, 凡百工無非當諫者也. 後世特置其位, 則不在其職, 皆有侵越之嫌, 而言路壅塞矣. 今世近侍, 弘文館主經筵、輔導, 司憲府主法制、綱紀, 司諫院主獻替、箴規. 至論議時務, 則無其名. 此雖宰相之任宰相之任: 와세다대본에는 없다. , 宰相之所不及, 庶僚宜有掇拾敷陳...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壇經)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제목없음(2)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동하고 화류춘퓽 바람해옥져소 쳥아하여 져소리 동랑하여 운소애 사친이 누가안이 주려하야십만장안 덜는드라 양단학을 다시하고 이삽 반취한후 이젼애 진최한이옥당애 하림이요 금장애 자슈다 리호례병 형공잔셔 륙조판셔 다시고만륙십애 삼공고 칠십애 시자하야가사유형교훈가류 | 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시대해방이전
구술자료(1)
- 한국전쟁 참전기와 제대 후 생활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그 때요?] [청중 : 예, 너무 너무 고생했어. 우리 조서도 일찍하고 나는 조서도 그때 한 열 몇 살에 조 서도 일찍했어, 성땀영 두를려고, 성땀영 두르나 일조대, 이조대, 삼조대, 사조대, 오조대, 육조대, 칠조대, 십조대 그 초소들도 다 빙하게 성가에 들어가면 그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2년 2월 6일
기초학문(24)
- 六朝時期的感應思想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220280 한국연구재단 北京大學宗敎文化硏究院 2012 六朝時期的感應思想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유형논문 | 게재일2012
- 六朝시기 해상 교역과 상업, 국가 재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석우, 게재일 : 201655499 김석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6 六朝시기 해상 교역과 상업, 국가 재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육조 ‧ 당 ‧ 송 문인시의 문예심미관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오태석, 게재일 : 200008572 오태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중국어문학회 2000 육조 ‧ 당 ‧ 송 문인시의 문예심미관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유형논문 | 게재일2000
- 六祖法寶壇經諺解의 한자음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장재웅, 게재일 : 200730144 장재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연구회 2007 六祖法寶壇經諺解의 한자음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교육조직의 문화적 리더십이 갖는 예술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허병기, 게재일 : 200820767 허병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행정학회 2008 교육조직의 문화적 리더십이 갖는 예술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83)
- -(株式會社 北陸組)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株式會社 北陸組) 서울 - 株式會社 北陸組 岡崎町 7 청부업 주식회사 토목 청부 180.9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株式會社 北陸組) | 지역서울 | 품목청부업 | 영업종목토목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육조대사법보단경요해(六祖大師法寶壇經要解)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육조대사법보단경요해(六祖大師法寶壇經要解) 六祖大師法寶壇經要解 육조대사법보단경요해 형태서지 壇經記 亘璇 要解 朝鮮 韓國 筆寫本 白羊 淸流庵 [1910...대표표제어육조대사법보단경요해(六祖大師法寶壇經要解) | 대표서명六祖大師法寶壇經要解 | 한글서명육조대사법보단경요해 | 서지형태형태서지
- 육조대사법보단경해설(六祖大師法寶壇經解說)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육조대사법보단경해설(六祖大師法寶壇經解說) 六祖大師法寶壇經解說 육조대사법보단경해설 형태서지 六祖壇經 [著者未詳] [未詳] [韓國] 筆寫本 [刊寫年未詳] ...대표표제어육조대사법보단경해설(六祖大師法寶壇經解說) | 대표서명六祖大師法寶壇經解說 | 한글서명육조대사법보단경해설 | 서지형태형태서지
- 륙조압 기로소에 잇 존셩 소쳥 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륙조압 기로소에 잇 존셩 소쳥 사들이 학부에 쳥원기를 소쳥부비가 과다니 십삼도에 훈령야 각각 슈렴야 소쳥 부비를 게여 달나고 시고을 각향교 근쳐에 투쟝 분묘를 져져히 굴이게 여 달나 엿다더라게재일1898년 10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해당 제목 없음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작품명_원문해당 제목 없음 | 게재일19181117 | 게재판기 | 게재면02 | 게재단3-4
멀티미디어(1)
- 사 전 전경.jpg s1-0187_#4 유구 사진 8. 시굴조사 시 발견된 육조거리 토층(1 트렌치) 2015-02-25_0.8942224_사진 8. 시굴조사 시 발견된 육조거리 토층(1 트렌치).jpg s1-0187_1 유물 사진 16제목서울 광화문광장 조성사업 부지 내 문화재 정밀 발굴조사 약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67)
- 김덕육조;金德六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6221 남한 경남 일신여자고등보틍학교 2-49 졸업대장(1928-1948) n.r. 44면 김덕육조;金德六兆 제10회 4271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일신여자고등보틍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교육조선건설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조선건설론 교육조선건설론 敎育朝鮮建設論 교육 문헌 현대 교육행정 교육개혁 교육기회확대 의무교육 교육행정 교...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극로 | 사료철명신교육건설
- 교육조례제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조례제정 교육조례제정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 자치법규 문서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담양군교육장 | 사료철명조례규칙원본
- 교육조례번호부여통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조례번호부여통보 교육조례번호부여통보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 자치법규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전라남도장성군 | 사료철명조례
- 교육조례개정공포통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조례개정공포통보 교육조례개정공포통보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 자치법규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목포시교육장 | 사료철명조례
주제어사전(75)
-
육조 / 六曹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국가의 정무를 나누어 맡아보던 여섯 조에 대한 총칭. 즉 이조·호조·예조·병조·형조·공조를 일컫는다. 육조의 법제적인 기능은 고려시대, ≪경국대전≫ 이전, ≪경국대전≫ 이후의 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경국대전≫에 의하면 육조는 국왕에게 직접
-
교육조서 / 敎育放送 [교육/교육]
學)을 세우고, 1895년 1월에 선포한 <홍범14조 洪範十四條>의 제11조에서 외국유학과 새로운 학문에 관해 언급하였으나, 전국민을 상대로 해서 새로운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한 것은 교육조서가 최초이다. 특히, 이 조서는 학제의 정신적 기반을 실학사상에 두고
-
육조단경 / 六祖壇經 [종교·철학/불교]
혜능이 쓴 저서. 혜능은 중국 선종의 법맥을 이어받았다. 중국 선종은 달마를 초조로 삼고 6대조인 혜능에게로 전해졌다. 이 육조단경은 선정의 본질로서 견성성불과 돈오를 강조하고 남종선의 관점에서 신수를 조사로 하는 북종선의 점수의 수행법을 비판한다. 여기서 돈오는 순
-
목민심서 / 牧民心書 [언론·출판]
저자 정약용(1762-1836). 필사본. 3권 1책(결질). <목민심서> 48권 가운데 권7에서 권9에 해당하는 낙질본이다. <목민심서>의 권7부터 권9까지의 부분이다. 권7에는 봉공육조의 선화, 수법, 예제, 권8에는 봉공육조의 문보, 공납, 왕역, 권9에는 애민
-
문선사 / 文選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관의 인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이조 소속의 관서. 1405년(태종 5) 3월 태종의 왕권강화도모와 직결된, 육조가 중심이 되어 국정을 운영하는 육조직계제의 실시와 명나라의 속부제(屬部制) 및 청리사제(淸吏司制)가 연관되면서, 육조속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