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육신사기” 에 대한 검색결과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릉지(莊陵誌)』 첩 숙종 때 송시열이 엮은 것으로 1791년(정조 15...
  • 박기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비(莊陵靈泉碑)‧관풍헌중수기(觀風軒重修記)‧() 등의 글씨가 전한다. 『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조선도서해제(朝鮮圖書解...
    이칭별칭 일여(一如)
  • 박기정(朴基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씨): 민효석(閔孝錫)의 딸 「장릉영천비(莊陵靈泉碑)」, 「관풍헌중수기(觀風軒重修記)」, 「()」 [총론] [1748년(영조 24)~미상]. 조선 후기 정조~순조 때 활동한 문신. 행직(行職)은 병조 참판(參...
  • 성근보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恩洞遷奉成先生神主記)」 3편이 있고, 이어 박태보(朴泰輔)의 「영월(寧越)」, 김상헌(金尙憲)의 「육신유고발(六臣遺稿跋)」이 실려 있다. 이러한 글은 충절의 대명사처럼 알려진 사육신의 한 사람으로서의 저자에 관한 유사(遺事)를 의리와 명분을 강조한 조선...
    이칭별칭매죽헌집

고서·고문서(1)

  • 한수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사사하여 송시열이 자식처럼 여겼는데 곧 정천의 부친이라고 하였다. 寧越後跋 (29) 영월에 있는 육신사의 기문에 쓴 글. 1685년(숙종 11)에 송시열이 기문을 짓고 六臣祠라고 쓴 大字를 문지방 사이에 걸어 놓았는데, 1689년 화가 일어나자 고을 수령...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 [문학/고전산문]

    사육신을 기리는 사당. 조선시대 단종에게 충절을 바친 육신(六臣)을 기리기 위해 1685년(숙종 11) 7월 강원도 영월에 육신의 사당이 건립되었다. 이에 송시열(宋時烈)이 기문(記文)을 지었다.《송자대전(宋子大全)》권144에 <영월군(寧越郡)>라는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