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육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3)
사전(83)
- 육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말한다. 친영은 신랑이 직접 신부집에 가서 신부를 맞이하는 의식으로 오늘날 결혼예식에 해당된다. 육례의 의식은 중국 주(周)나라의 주공(周公)이 지은 것으로 알려진 ≪의례 儀禮≫ 사혼례(士昏禮)에서 비롯되어 주대 이후 행해지던 것이었으나 송대에 이르러서는 그대로...
- 육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왕실 혼례의 주요 절차인 납채(納采), 납징(納徵), 고기(告期), 책비(冊妃), 친영(親迎), 동뢰연(同牢宴)의 여섯 가지 의식. 왕실의 혼례를 납비의(納妃儀) 또는 납빈의(納嬪儀)라고 하는데 납채, 납징, 고기, 책비, 친영, 동뢰의의 육례로 구성되어 있다. 납채...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六禮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2_J_0003 六禮 혼례 奔則爲妾, 聞命, 先王, 制禮, 仲春, 奔者, 不禁, 失時, 淫奔 禮 J_05_02_04 지봉유설 5권 2장 4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5권 2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육례수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송준필(宋浚弼)이 관례‧혼례‧상례‧제례‧사상견례(士相見禮)‧향음주례(鄕飮酒禮) 등 육례에 관하여 고례(古禮)와 우리나라 선유들의 설을 모아 엮은 책. [내용] 총목(總目) 10권. 합 6책. 목판본. 1932년에 간행되...
- 육례의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오선생예설(五先生禮說)』 육례의집 조선 후기의 학자 박세채가 사례 및 향례 등에 관한 제설을 뽑아 집대성한 책. 간행연대 미상.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단행본(1)
- (조선왕실의 행사 2) 왕실의 혼례식 풍경 [왕실의 행사 | 단국대학교]저자 : 신병주(건국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 박례경(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송지...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3.01.14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령과 간택 (2) 별궁의 활용 (3) 육례의 절차 (4) 음악과 의장 3. 조선 왕실의 시기별 혼례식 (1) 조선 왕실 혼례식의 개관 (2)
고서·고문서(152)
- 4 第四統統首私奴六禮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87년_청양면(靑良面) 1687년 청양면(靑良面) 第五靑松坊 4 第四統統首私奴六禮 統第一戶 病人私奴六禮年伍拾肆甲戌本蔚山父私奴武仁祖私奴春卜曾祖正兵八孫外祖正兵梁世哲本蔚山母良女召史上典京居 正兵梁己龍妻私婢栗進年伍拾戊寅本蔚山父私奴己卜祖私奴末叱致曾祖正兵應克...연도_면이름1687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五靑松坊
- 嘉言 “六禮”, 出《王制》云“冠、昏、喪、祭、()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HCLL_5:2:5 “六禮”, 出《王制》云“冠、昏、喪、祭、鄕、相見”, 鄭《註》云“鄕, 鄕飮酒、鄕射”. 蓋飮、射, 均而不可闕, 一也. 今註去鄕射, 恐誤.서명소학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681]왕비가례등록(王妃嘉禮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숙종 7년(1681)에 행해진 숙종의 인현왕후와의 가례에서 간택과 육례에 관한 모든 과정을 계제사에서 날짜순으로 정리해놓은 등록이다. 이 자료는 목차가 없으며, 주제별 구분은 필자가 임의로 한 것이다. 「간택(揀擇)」은 숙종 7년 정월부터 3월 말까...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明倫 昏姻之禮, 必先使媒氏往來傳通, 然後始有六()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HCLL_2:3:1 昏姻之禮, 必先使媒氏往來傳通, 然後始有六禮. 六禮者, 先納采、次問名、次納吉、次納徵、次請期、次親迎. 旣納采擇之禮, 又問名而加諸卜, 則雖有行媒, 名不可遽相知也. 旣納幣, 又請期親迎, 而禮畢, 則雖受幣, 不可遽相交親也. 意者, 言“行媒”, 則凡媒价往來...서명소학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立敎 《周禮》: “荒年, 則仲春, 奔者不禁.” ()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HCLL_1:1:11 성호기념관본에는 이 단락이 위 단락과 이어져 있다. 《周禮》: “荒年, 則仲春, 奔者不禁.” 蓋年饑用乏, 不能具於禮幣, 故雖不聘而奔者, 亦不禁也. 然則不以六禮而往者爲妾.서명소학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기초학문(1)
- 釜山과 對馬島의 産育禮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436769 한국연구재단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4 釜山과 對馬島의 産育禮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5)
- 嘉禮節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금번황 가례시 륙례일시와 습의날과진하에 죵친 문무관이 례일로 쟝례원에셔 상쥬하얏데 일은 음력십일월이십일손시(진간)에 랍고 문명은 동월이십칠일손시오 랍길은 동월이십팔일손시오 납징은 십이월쵸십일 뎡시오 고긔 동월십일일 병시오 비봉영는날에 죵...게재일1907년 1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출판경찰보 113호 신중화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日艦) 학살 하의 육풍(陸豊) 어업”이라는 제목의 기사는 「지나사변외출금지표준(支那事變外出禁止標準) 3의 (4)」에 해당함.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선문대학교 문한별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13호 신중화보 | 출판물명신중화보 (新中華報) 1937년 12월 22일
- 남문밧 쟈암 사 권승규가 평동 유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남문밧 쟈암 사 권승규가 평동 유경식의 의게 금년 팔월에 륙례를갓츄어 쳐가사리쟝가를들엇더니 불과 긔일에 그 계집이 졍파의 기를 쳥나 듯지아니 엿더니 쟝모되 죠소가 칼을 가지고 달녀들어 구차놈 쥰거시 한이로라고 며 외노릇슬 그만 라고 며 박대...게재일1899년 12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풍속량론) (一) 녀의 가 허 일 (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던 풍속을 치지못이니 참 탄바이로다 이풍속을버리고 인의복을 엇고져진 샤회의 션각자와 대부의 집에셔 몬져 밧게 다른 도가 업슬지니 그 례졀은 남가 과갓치 녀의 가도 륙례 갓초와 이 가다노라 혹쟈ㅣ 말호 륙례갓초와...게재일1907년 10월 10일 | 기사분류논설
- 사의흥망은 텬도 슌히고 거리 잇슴이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명령로 슌죵이다가 급기 나히 쟝셩야 소위 시집이라고 가에 평민과갓치 륙례갓츄고 왓다갓다며 신랑에집이잇다거나 싀부모가잇셔 며나리니 이니며 사스러온일 한가지업고 다만 언으 구종별갓흔 하등인으로 혼인이라고 뎡후에 신부가 싀집을가거시안이라 신랑명이...게재일1905년 11월 25일 | 기사분류논설
기타자료(1)
- 육예수;陸禮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7930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9면 육예수;陸禮洙 제2회 1935-03-24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7)
-
육례 / 六禮 [정치·법제]
왕실 혼례의 주요 절차인 납채, 납징, 고기, 책비, 친영, 동뢰연의 여섯 가지 의식. 왕실 혼례는 육례로 구성되어 있다. 납채는 국왕이 혼인을 청하는 것, 납징은 성혼의 징표로 예물을 보내는 것, 고기는 혼인의 날짜를 정하는 것이다. 책비는 왕비로 책봉하는 의식,
-
문명 / 問名 [사회/가족]
육례(六禮) 중 하나로 신부 어머니의 성씨를 묻는 혼례의식. 육례(六禮)의 하나이다. 육례 중의 하나인 납채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신부 어머니의 성씨를 묻는 절차이다. 흔히들 문명이 신부의 이름을 묻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전통혼례에 있어서는 신부의 이름보다
-
빈조현 / 嬪朝見 [정치·법제]
국혼에서 혼례를 마친 세자빈이 국왕과 왕비 등 시댁의 어른에게 인사하는 의식. 국혼의 절차는 크게 본의식인 육례와 육례후의 식후 의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육례는 납채, 납징, 고기, 책비(책빈), 친영, 동뢰 등을 가리킨다. 동뢰연을 마치면 신부가 시댁의 어른에게
-
사위 / [사회/가족]
≫에는 15세 이상의 남자와 12세 이상의 여자는 혼례를 올릴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중매인(중신애비·중신할미)에 의하여 혼담이 진행되고 양가의 합의가 이루어지면 육례(六禮)를 갖추어 혼례를 치르게 된다. 육례는 ① 납채(納采), ② 문명(問名), ③ 납길(納吉)
-
납길 / 納吉 [사회/가족]
주대(周代) 여섯 가지 혼례의식[六禮] 중의 하나. 육례란 납채(納采)·문명(問名)·납길·납징(納徵)·청기(請期)·친영(親迎)을 말하는데, 실제에 있어서는 주자의 『가례』에 따라서 의혼(議婚)·납채·납폐(納幣)·친영의 사례(四禮)를 통용하여 왔다. 납길은 가묘에서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