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희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6)
사전(142)
- 유희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유희춘(1513-1577) 1513(중종 8)∼1577(선조 10). 조선 중기의 문신. 글씨는 ≪근묵≫에서.이칭별칭 인중(仁仲)| 미암(眉巖)| 문절(文節)
- 柳希春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375 柳希春 인물 登第, 正言, 鄕人, 密旨, 誘脅, 變色, 不交, 壁書之禍, 溫雅, 博問, 強記, 學問, 侍經, 資憲, 副提學 乙巳, 今上初 善山 仁仲, 眉巖, 我中廟, 林百齡 D_12_04_04 대동운부군옥 12...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4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최상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군 영(潁)이며, 어머니는 현감 송구(宋駒)의 딸이다.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이다. [내용] 1576년(선조 9) 사마시에 합격하고, 1589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되었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도원수 권율(權慄)의 계...이칭별칭 여후(汝厚)| 미능재(未能齋)
- 미암일기(판목포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ㆍ문신 유희춘(柳希春)의 친필 일기초(日記草). [내용] 11책. 행ㆍ초서체. 보물 제260호. 매 책마다 크기가 다르나 평균 39.5×31.5㎝이다. 원래는 14책이었으나 실본으로 11책이 남아 있다. 그 일기의 일부는...
- 박광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업하였고, 1568년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유희춘(柳希春)이 감사(監司)였을 때 천거되어 경기전참봉(慶基殿參奉)이 되었고, 다시 헌릉참봉(獻陵參奉)으로 옮겼으나 곧 그만두었다. 1581년 왕자의 사부(師傅)가 되었고, 함열(咸悅)‧...이칭별칭 현재(顯哉)| 죽천(竹川)| 문강(文康)
고서·고문서(74)
- 九月。 柳希春棄官南歸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九月。 柳希春棄官南歸 29_207_159.jpg ○九月。 柳希春棄官南歸。 李珥謂人曰: “柳公雖無才, 讀書之人也。 李季眞、金重晦練達時務, 明習典故, 不可去朝也。” 乃議于同僚, 上箚請留三人, 上不從。 于時沈、金旣有分黨之迹, 而金...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1574년 유희춘(柳希春) 일기(日記) 초록(抄錄)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574년(선조7)에 유희춘(柳希春)이 작성한 일기를 1790년대 유복삼(柳復三)이 이지남(李至南)과 관련된 부분만 뽑아서 기록한 것이다. 이언침(李彦忱)은 1546년유희춘과 같은 시기에 귀양을 간 사람으로, 귀양지에서 죽었다. 왕이 바뀌어서 다른 사람들은 유배에서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일기 | 현소장처곡성 선산유씨 연운당
- 五月, 副提學柳希春進 六書附錄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五月, 副提學柳希春進 六書附錄 29_207_008.jpg ○五月, 副提學柳希春進《六書 書: 대규에는 “經”.附錄》, 上嘉獎之。 希春多讀古書成誦, 而實無眞知。 且於世務茫然無識見 見: 대규에는 없음., 所上附錄亦非切要之言, 只可...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속몽구분주(續蒙求分註)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신증유합(新増類合)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기초학문(3)
- 眉巖 柳希春의 학문활동과 『治縣須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호훈, 게재일 : 200740841 정호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사학회 2007 眉巖 柳希春의 학문활동과 『治縣須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07
- 眉巖 柳希春 시문의 수사적 표현 기법 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명희, 게재일 : 201351556 박명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시가문학회 2013 眉巖 柳希春 시문의 수사적 표현 기법 양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3
- 日記를 이용한 조선중기 양반관료의 여행 연구- 柳希春의 眉巖日記를 중심으로_pre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치영02692 정치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日記를 이용한 조선중기 양반관료의 여행 연구- 柳希春의 眉巖日記를 중심으로_pre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신문·잡지(4)
- 本人이廟洞笠房柳熙春許에推次銅貨二十元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人이廟洞笠房柳熙春許에推次銅貨二十元標路中遺失얏스니誰某拾得야도休紙施行홈 麻洞李熙正 告白게재일1906년 5월 29일 | 기사분류광고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과 일화를 소개한 글 남치근(南致勤), 서림(徐林), 백인걸(白仁傑), 김식(金湜), 조광조(趙光祖), 인순왕후(仁順王后), 윤임(尹任), 윤원형(尹元衡), 민제인(閔齊仁), 김광준(金光準), 송희규(宋希奎), 박광우(朴光佑), 유희춘(柳希春), 이황(李滉), 허자...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1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식량과농업_1959_03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62 해외 농업 소식 편집실 166 설당과 인체에 미치는 효용 유희춘 169 가정약으로서의 약초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9
- 신가정_1936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온돌은 어떻게 개량할가 (1) 이만학 69 유희춘의 박학과 그 부인의 문예 김원근 72 소상 유치환 76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6
기타자료(3)
- 유희춘;柳熺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9197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39 83면 1. 3. 각 과별 졸업생;19) 제19회 졸업생 (1937년 3월 졸업);(2) 상과 유희춘;柳熺春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유희춘;柳熺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0115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40 88면 1. 3. 각 과별 졸업생;19) 제19회 졸업생 (1937년 3월 졸업);(2) 상과 유희춘;柳熺春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유희춘;柳熙春;류천굉일;柳川宏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8530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회원명부(소화16년 12월) 1941―12 104면 유희춘;柳熙春;류천굉일;柳川宏一 경성부 사간정 115 제38회 194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
조선시대 전라도의 출판문화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김소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3 | 국내 | 경기
-
공동체와 공유의 인류사 : 21세기의 비상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오항녕 | 전주대학교 | 2024 | 국내 | 전북
주제어사전(17)
-
유희춘 / 柳希春 [종교·철학/유학]
1513(중종 8)∼1577(선조 10). 조선 중기의 문신. 양수의 증손, 할아버지는 공준, 아버지는 계린, 어머니는 최부의 딸이다. 처부는 송준, 김인후와는 사돈간이다. 김안국·최두산의 문인으로 1538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정언, 장령, 전라도관찰사
-
어록해 / 語錄解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남이성(南二星) 등 편, 목판본, 불분권 1책(46장). 1669년 왕명으로 성리학 서적에 나오는 어록에 대하여 이황(李滉)과 유희춘(柳希春) 등이 각자 주석한 것을 1657년에 정양(鄭瀁)이 간행한 책인 원간《어록해(語錄解)》에서
-
의암서원 / 義巖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향교리에 있었던 서원. 1607년(선조 4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희춘(柳希春)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9년(현종 10)에 ‘의암(義巖)’이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
-
국조유선록 / 國朝儒先錄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 유희춘이 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 등 사현(四賢)의 행적을 모아 1570년에 편찬한 전기. 5권 4책. 목활자본. 1570년(선조 3) 선조의 명을 받아 당시 부제학이었던 유희춘(柳希春)이 편찬하였다. 권두에 이후백(李後白)의 서(序)가 있고 발문은
-
강철호 / 姜哲鎬 [역사/근대사]
일제에 의해 나라의 주권이 빼앗기자 제주의 유생들과 함께 나라를 구할 뜻을 세우기도 하였다. 1930년 대정면 어업조합장이 되었다. 그 뒤 제주 영주음사(瀛州吟社)의 회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36년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이 배향된 대정향교의 직원으로서 향교 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