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후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6)
사전(41)
- 유후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98(정조 22)∼1876(고종 13).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재가(載可), 호는 매산(梅山)ㆍ낙파(洛坡)ㆍ영매(嶺梅). 도정(都正) 심춘(尋春)의 아들이다. 1858년(철종 9) ...이칭별칭 재가(載可)| 매산(梅山), 낙파(洛坡), 영매(嶺梅)| 문헌(文憲)
- 연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계속 잘 지냄. 卽詢比熱侍奉動引連護 庇內均福 門中平安, 유후조(柳厚祚), 02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배독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편지를 받아서 읽음. 向來物安族人便拜讀 沒便稽謝 可勝歎., 유후조(柳厚祚), 02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족종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항렬이 같은 친족에 대하여 자기를 일컫는 말. .服族從 偶有落傷之厄 始謂不甚大端之漸矣, 유후조(柳厚祚), 02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동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안부. 동지(動止)와 같은 말. 卽詢比熱侍奉動引連護 庇內均福 門中平安, 유후조(柳厚祚), 02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45)
- 1888년 생질(甥姪) 유후조(柳厚祚) 제문(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고유문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68년 유후조(柳厚祚) 단계선생유고발(丹溪先生遺稿跋)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발 | 현소장처안동 송파 진주하씨 하위지 후손가
- 李衡敎를 洛坡 柳厚祚 상례 시 都執禮로 천거하는 문서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1387 0715_01 李衡敎를 洛坡 柳厚祚 상례 시 都執禮로 천거하는 문서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전 종가, 의례, 상례, 천장 한자 고문서 WL801.JPG 李衡敎를 洛坡 柳厚祚 상례 시 都執禮로 천거하는 문서 薦狀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이창희 기탁)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고종 연간 유후조(柳厚祚) 성균진사국담하공(成均進士菊潭河公) 묘갈명병서(墓碣銘幷序)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서 | 현소장처진주 단목 진양하씨 단지 종택
- 고종 연간 부재진양하공행장(復齋晉陽河公行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전기-행장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행장 | 현소장처진주 단목 진양하씨 단지 종택
주제어사전(6)
-
유후조 / 柳厚祚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8∼1876). 고종 때 이조참판, 공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지냈다. 주청사로 청나라에 다녀와 그곳 서양인들의 동정을 알렸는데, 병인양요 때 아들 주목에게 의병을 일으키게 하기도 하였다. 1872년에는 판중추부사로 퇴관하였다.
-
강해집 / 江海集 [종교·철학/유학]
람들이 문장에 대하여 말한 부분이 많다. 유후조(柳厚祚)에게 보낸 4편의 편지에서도 심상한 안부에 그치지 않고, 경서와 시문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 부분이 많다.
-
평창향교 / 平昌鄕校 [교육/교육]
45)과 1729년(영조 5)에 각각 중수되었다.1885년(고종 22)에 군수 유후조(柳厚祚)와 1915년에 군수 황의민(黃義民)이 중수하였으며, 1950년 6·25 때 건물 일부가 파괴되어 1953년에 중수하고 1977년에 보수하였다.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
-
북행가 / 北行歌 [문학/고전시가]
, 2·7조, 4·6조, 5·5조 등도 드물게 나타난다. 1866년(고종 3) 저자가 고종의 왕비 책봉가례를 청나라에 알리기 위한 주청사행(奏請使行)의 정사(正使) 유후조(柳厚祚)를 따라 연경(燕京)에 다녀와서 지은 것이다. 내용은 4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단인 기
-
연행가 / 燕行歌 [문학/고전시가]
1866년(고종 3) 가례주청사(嘉禮奏請使)의 서장관으로 북경(北京)에 다녀온 홍순학(洪淳學)이 지은 장편의 기행가사(紀行歌辭). 1866년 3월에 왕비 책봉을 청나라에 주청하기 위하여 우의정 유후조(柳厚祚)를 상사(上使), 서당보(徐堂輔)를 부사로 한 사행(使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