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화” 에 대한 검색결과 3,9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74)

사전(802)

  • 배경당시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서지적 사항] 불분권 4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자세한 편집 경위는 알 수 없다. 효주하거나 다시 고쳐 쓴 부분이 많고 권점(圈點)이 표시된 곳이 있다. 1‧2책은 시집이고, 3‧4책은...
  • 수졸재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3권 3책. 목판본. 1834년(순조 34) 후손 정준(淀浚)ㆍ성양(聖養)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치규(宋穉圭)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법적으로는 광택, 반광택, 무광택 외에 붓놀림에 따른 화면의 재질감(마티에르) 등이 화가의 의도대로 이루어진다. 기원은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11∼12세기 이후 독일과 이탈리아에서 초기 기법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15세기 플랑드르에서...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유목화(油木靴). 이화(泥靴). 진땅을 걸어도 젖지 않도록 기름에 결인 가죽신. 且前日造惠 春間喪事紛擾中 忽失不得 可歎, 이정영(李正英), 31-16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7월. 화(火)는 대화성(大火星 : 전갈자리 알파성. 안타레스). 5월에 대화성이 초혼(初昏)에 남중(南中)했다가 7월에는 서쪽으로 기울어진 데서 7월을 의미함. 『시경(詩經)』「빈풍(.風)」[칠월(七月)] “7월에 대화성이 서쪽으로 기우네(七月)”란 구절이 있음...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단행본(1)

  • 韓國學硏究論文集(一)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
    저자 : 김정배 외...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2.01.
    분야교육 | 유형단행본
    당악과 한국 사문학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불교어계 한자어에 대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표현 교수방안 日帝末期韓國文學과 地方主義 關於高句麗始祖朱蒙生母

고서·고문서(1,662)

  • 02545 잡가 韓國歌唱大系 12044 1976 李昌培 弘人文化社 李基玉 18,000원 山歌 [167] [①] 산혜(山兮) 산야 저 꽃 피어 농사(農事)일 시작하니, 저 꽃 지도록 필역(畢役)하세. 얼럴럴 상사디 이여...
    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류화진 이 남자 길림성(吉林省) 류하현(柳河县) 전승향(全胜乡) 조선족 소학교 3 2 류화진, 둘째아들, 사업, 생산,...
    대표표제어류화진 | 성씨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가(山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2748 잡가 가요집성(歌謠集成) 12045 1965 李昌培 弘仁文化社 李基玉 7000원 산가(山歌) [162] [①] 산혜(山兮) 산야 저 꽃 피어 농사일 시작하니 저 꽃 지도록 필역(畢役)하세 얼럴럴 상사디
    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 翁堦(옹계)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翁堦, 方其盛開, 悅之甚; 旣又憔悴, 惡之之心便萌. 翁曰: “物一也, 好惡俄遷, 豈物之過哉?”
    서명관물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22)

  • 가(山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산유화가는 백제시대부터 부여를 중심으로 한 이 지방 일대에 유포, 전승돼오는 역사깊은 농요로서 그 독특하고 정제된 노랫말, 가락, 짜임새, 가창방식 등 으로 해서 충남 지방의 무형 문화재로 지정될 만한 의의를 갖는 노래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으로 해서 산유화가에...
    조사일시1982-02-20 | 조사장소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 제보자박홍남
  • 부여 산가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부여 산가 음악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F-194 1610 충남 음악조사자료 1)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호인 산가의 음악조사자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홍남
  • 부여 산가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부여 산가 음악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F-194 1610 충남 음악조사자료 1)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호인 산가의 음악조사자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성용
  • 07_002 전북 전라북도 고창군 전라북도 고창군_산 15장 산 15장 십오장 논매기소리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가평리 1987.2.2 素87-2-2①A 임봉덕 임봉덕(1919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다수 받음구 류 멕받형 (선후창) 제1종: 에-이,응-
    녹음지역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가평리 | 녹음날짜1987.2.2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고구려를 건국한 주몽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차 조사를 기약하고 이야기판을 정리하였다. 강의 신 하백에게 세 딸이 있었다. 천상의 아들 해모수가 지상으로 내려와 채찍으로 집을 짓고 잔치를 벌였다. 하백의 세 딸이 이곳에서 술을 마시고 잠이 들었다가 중간에 두 딸이 깨어 돌아가고 만 남았다. 해모수와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김설화 [중국(한국계), 여, 1983년생, 유학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99)

  • 出土文獻中的其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윤옥, 게재일 : 2006
    03595 강윤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문자학회 2006 出土文獻中的其厥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220ff4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금융자의 정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석진, 게재일 : 2005
    14071 유석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05 금융자의 정치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기본 감정 표현의 은 양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2
    46250 한국연구재단 한국어학회 2002 기본 감정 표현의 은 양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통감부 시기 황실시설의 조사와 국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규철, 게재일 : 2013
    57399 이규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건축역사학회 2013 통감부 시기 황실시설의 조사와 국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금융자와 불평등의 국제정치경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변영학, 게재일 : 2013
    58735 변영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013 금융자와 불평등의 국제정치경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1,063)

  • 展覽會 (자전람회)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自由畵展覽會 | 기사명_한글자유화전람회 | 부제_원문來る卄三日から五日間本社來靑閣で開催 | 부제_한글오는 23일부터 5일간 본사 내청각에서 개최 | 게재일19230611 | 게재판 | 게재면02 | 게재단6-7
  • 展大繁昌 (자전대번창)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自由畵展大繁昌 | 기사명_한글자유화전대번창 | 부제_원문日曜日の三越 | 게재일19231105 | 게재판 | 게재면02 | 게재단7-9
  • 外國兒童の自 (외국아동의 자)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外國兒童の自由畵 | 기사명_한글외국아동의 자유화 | 부제_원문三越樓上に陳列 | 게재일19231106 | 게재판 | 게재면02 | 게재단8
  • 展を見で (仁□洞) (자전을 보다 (인□동))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自由畵展を見で (仁□洞) | 기사명_한글자유화전을 보다 (인□동) | 게재일19231111 | 게재판 | 게재면04 | 게재단3-4
  • 家が多い (여류화가가 많다)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女流畵家が多い | 기사명_한글여류화가가 많다 | 부제_원문今年の二科會 | 부제_한글금년의 이과회 | 게재일19180909 | 게재판 | 게재면04 | 게재단3-4

멀티미디어(92)

  • 통제와 _ 제5공화국 시기의 문화와 일상_8주차_1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한국전쟁 그리고 전후 남한의 대중문화 6주차. 개발독재시대 대중문화의 빛과 그림자 7주차. ‘겨울공화국’의 일상과문화통제 8주차. 통제와 _ 제5공화국 시기의 문화와 일상 9주차. 세계화 시대 문화 환경의 변화와 소비 문화 10주차. ‘K-Culture’와 글로벌문
    강좌제목세계화와 근현대 한국의 대중문화 | 강의자이화진 교수
  • 통제와 _ 제5공화국 시기의 문화와 일상_8주차_2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한국전쟁 그리고 전후 남한의 대중문화 6주차. 개발독재시대 대중문화의 빛과 그림자 7주차. ‘겨울공화국’의 일상과문화통제 8주차. 통제와 _ 제5공화국 시기의 문화와 일상 9주차. 세계화 시대 문화 환경의 변화와 소비 문화 10주차. ‘K-Culture’와 글로벌문
    강좌제목세계화와 근현대 한국의 대중문화 | 강의자이화진 교수
  • 통제와 _ 제5공화국 시기의 문화와 일상_8주차_3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한국전쟁 그리고 전후 남한의 대중문화 6주차. 개발독재시대 대중문화의 빛과 그림자 7주차. ‘겨울공화국’의 일상과문화통제 8주차. 통제와 _ 제5공화국 시기의 문화와 일상 9주차. 세계화 시대 문화 환경의 변화와 소비 문화 10주차. ‘K-Culture’와 글로벌문
    강좌제목세계화와 근현대 한국의 대중문화 | 강의자이화진 교수
  • 통제와 _ 제5공화국 시기의 문화와 일상_8주차_4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한국전쟁 그리고 전후 남한의 대중문화 6주차. 개발독재시대 대중문화의 빛과 그림자 7주차. ‘겨울공화국’의 일상과문화통제 8주차. 통제와 _ 제5공화국 시기의 문화와 일상 9주차. 세계화 시대 문화 환경의 변화와 소비 문화 10주차. ‘K-Culture’와 글로벌문
    강좌제목세계화와 근현대 한국의 대중문화 | 강의자이화진 교수
  • 중화학공업화의 안정화와 경제자_9주차_1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푸쉬 8주차. 기술기능인력의 양성 9주차. 중화학공업화의 안정화와 경제자 10주차. 조선공업의 발전 11주차. 자동차공업의 발전 12주차. 전자공업의 발전 주익종 교수 1. 학력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석사) 서울대학교 경제
    강좌제목경제개발기 한국의 공업화 | 강의자주익종 교수

기타자료(133)

  • 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3953 북한 경기 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3-13 好鐘 제10호 1937―12―20 146면 (2) 졸업생일람 봉;鳳 인천부 서경정 56 고보7회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9868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7 102면 38. 졸업생;6) 1911년 졸업생 (27명) 전;田 (원적)경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5926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1 151면 46. 졸업생;6) 1911년 졸업생 (27명) 전;田 (원적)경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8446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5 96면 37. 졸업생;6) 1911년 졸업생 (27명) 전;田 (원적)경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6770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2 151면 9. 졸업생;6) 1911년 졸업생 (27명) 전;田 (원적)경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주제어사전(56)

  • / [종교·철학/유학]

    1691년(숙종 17)∼1757년(영조 33). 조선 후기 문신. 증조부는 유희사, 조부는 유영회, 아버지는 유동민이다. 외조부는 소명국이다. 집안은 대대로 사관 벼슬을 지냈다. 1732년(영조 8)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사헌부전적, 예조정랑, 보령현감,

  • / 裵 [종교·철학/유학]

    1611(광해군 3)∼1673(현종 14). 조선 중기의 학자. 상익 아들, 어머니는 김용의 딸이다. 1648년(인조 26) 사마시에 합격, 성균관에 들어가서 학문을 연구하였다. 1667년(현종 8) 김천찰방을 거쳐 종부시직장, 1672년 의금부도사를 지냈다. 시와 그

  • 기몽 / 奇夢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활자본. 목판본·필사본은 발견되지 않고 1918년에 보급서관(普及書館)에서 발행한 활자본만 전한다. 영웅소설의 일종으로, 주인공의 출생과정이 특이한 10회 장회소설(章回小說)이다. 이 작품은 1회부터 5회까지는 주인공의 비정상적인 탄생과

  • 고인류화석 / 古人 [역사/선사시대사]

    현대인의 조상인 고인류의 화석. 인류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Australopithecus)에서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와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의 단계를 거쳐 진화해왔다. 보통 고인류화석이라 할 때는 약 500만 년 전 등장한 최초의 고인류

  • 여천선 / 麗川線 [지리/인문지리]

    G석학·GS칼텍스·금호석학·한화케미칼·롯데케미칼(구 호남석학)·삼남석학 등지의 화물 수송을 담당하고 있다. 2015년 기준으로 모두 71만 3203톤의 화물을 운송하였는데, 이는 2010년의 112만 9897톤에 비해 감소한 것이다. 주요 품목으로는 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