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호인” 에 대한 검색결과 1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3)

사전(51)

  • 하처난망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에 ()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오언율시 5수로, 『뇌계집(㵢溪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뇌계집』에는 제목 아래에 ‘효백낙천(效白樂天)’이란 세주(細註)가 있는데, 『동문선』 권10에는 이 세주까지를 제...
    이칭별칭하처난망주효백낙천
  • TD_L14_D_2134 인물 丐外進詩稾, 好文, 儒林, 文章, 魁傑之士, 玉署, 北望, 君臣, 不忘君 成廟, 好仁 龍泉談寂記 D_11_07_34 대동운부군옥 11권 7장 3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7장 3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0374 인물 克己, 高靈, 三絶, 玉堂 成廟朝 陜川 佔畢齋 D_03_01_46 대동운부군옥 3권 1장 4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3권 1장 4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거쳐 이듬해 『동국여지승람』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홍문관교리로 있다가 1488년 의성현령으로 나갔다. 1490년 『시고(詩藁)』를 편찬하여 왕으로부터 표리(表裏)를 하사받았다. 본래 글을 좋아하는 성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다. 1494년 장령을 거쳐...
    이칭별칭 극기(克己)| 임계(林溪), 뇌계(?溪)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문장왕국의 서리(胥吏)로, 키기 크고 몸은 마치 부처같이 생긴존자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56)

  • 6295 일본 고기록 일기 明月記 208 고종(高宗) 14 1227 8 12 明月記3 安貞元年八月 十二日 朝天間晴 晝後猶陰 法眼過談之次傳傳說 尊長法印曆書日記 [存外事歟] 件曆已在關東 人如明鏡云云 大炊助入道武士預了 又遠江[...
    국가일본 | 서명일기 | 왕대고종(高宗)  14
  • 人無異心惟知事一人不呼我爲賊死固吾分懷光使士臠食之皆曰烈士也可令快死以刀斷其頸德宗聞贈演芬兵部尙書賜其家錢三百萬斬成義於朔方 將軍摠統擅兵機與賊連和國事非唯無異志冀陳行在反相違 公負君王我負公惟知事上竭孤忠竟遭斷頸能全節千載爭欽烈士風
    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寄園記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足以砥礪鈍俗,高文麗藻,足以黼黻大猷,而刺史不以聞,有司不以薦,嶔㟢歷落,不能一致身於游從之末,羈旅漂瀟,如風葉荷珠,倐轉倐瀉,而莫肯相留,此寄之者也。我不敢知,彝敍之寄,由乎我邪,抑邪?由乎我,寄也。,亦寄也。我之自寄與人之寄我者,無適而非寄也。玆所謂自命其園者邪? 101...
    권차명文集 卷十四 | 문체雜著類|記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春 瑟海 慶興府 西水羅 造山 瑟海 행정 외교 ○北兵使趙相周馳啓以爲"適,出來江邊,呼問以烏羅·寧固塔兩處胡人,將爲移居後春地,然耶?答曰'然.江邊近處,雖云土沃,禁令至嚴,旣有毁家之擧,則不敢起耕,故後春陳荒處,及瑟海濱空虛之地...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海 瑟海 後春 瑟海 慶興府 胡 西水羅 造山 瑟海 행정 군사 ○北兵使趙相周馳啓以爲"適,出來江邊,呼問以烏羅·寧固塔兩處胡人,將爲移居後春地,然耶?答曰'然.江邊近處,雖云土沃,禁令至嚴,旣有毁家之擧,則...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구술자료(3)

  • 의 홍패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호인에 관한 일화가 두 가지가 전해지는데, 그 하나를 먼저 들려주었다. 함양의 자랑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굉장히 차분한 어조로 이야기를 구연해 주었다.
    조사일시2009.07.27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용평리 용평마을 | 제보자김성진(남,74세)
  • 임금에게 잉어를 바치러 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홍패이야기를 하고는 물론 이것도 지어낸 이야기라면서, 유호인의 잉어이야기가 있다면서 이어서 구연해 주었다. 굉장히 차분한 어조로 이야기 를 하였다.
    조사일시2009.07.27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용평리 용평마을 | 제보자김성진(남,74세)
  • 도둑바위에서 잉어를 잡아 임금께 올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앞에서 여러 이야기를 하던 중에 나왔던 유호인에 대한 이야기가 생각이 났는지 다음 이야기를 해주었다.
    조사일시2009.07.27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삼산리 뇌산마을 | 제보자김병오(남,75세)

신문·잡지(3)

  • 역정(驛亭)에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역정(驛亭)에서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 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_5호 驛亭 1907. 03. 01. 사조(詞藻) 123 354~355 서상호(徐相浩) 대한제국 (,1445∼1494) 조...
    잡지명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 | 호수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_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진 민주청년사 평양특별시 대환리 11번지 조선민주청년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 독일극장 백림에서 열린 제3차 세계청년학생 평화축전에서 세계각국의 예술공연은 실로 거대한 의의를 가졌다. 그것은 평화를 사랑하는 세계자유애호청년들의 친선적 우의와 단...
    대표표제어민주청년_1951_1011_04 | 책임주필리두진
  • 화 224 광고5 인부산의 요검 박원수, 송빈 화 238 의 원노릇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5

주제어사전(9)

  • / [종교·철학/유학]

    1445(세종 27)∼1494(성종 25). 조선 전기의 문신·문장가. 음의 아들, 김종직의 문인이다. 1462년(세조 8)에 생원, 1474년(성종 5)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봉상시부봉사를 거쳐, 1478년 사가독서한 뒤 1480년에 거창현감으로 부임하였다

  • 두류기행록 / 頭流記行錄 [문학/한문학]

    으로 되어 있다. 「두류기행록」이 지어진 시기는 김종직의 문집 속의 연보(年譜)에 의하면, 1472년 8월 15일이다. 「두류기행록」은 작자가 함양고을의 원으로 있던 1472년에 여름 조위(曺偉)의 제의를 받고, () 등의 4인이 14일부터 5일간 지리산을

  • 예양서원 / 汭陽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예양리에 있는 서원. 1620년(광해군 12)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색(李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8년에 신잠(申潛)과 김광원(金光遠)을 추가 배향하고 1681년에 남효온(南孝溫), 1683년에 (

  • 창계서원 / 滄溪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면 선창리에 있는 서원. 1695년(숙종 21)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황희(黃喜)·황수신(黃守身)·()·장응두(張應斗)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1868년(고종

  • 하처난망주 / 何處難忘酒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이 지은 한시. 오언율시 5수로, 『뇌계집(㵢溪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뇌계집』에는 제목 아래에 ‘효백낙천(效白樂天)’이란 세주(細註)가 있는데, 『동문선』 권10에는 이 세주까지를 제목으로 삼아 「하처난망주효백낙천(何處難忘酒效白樂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