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향소” 에 대한 검색결과 2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9)

사전(9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다. 의 이들 유향품관들은 품계상으로는 수령보다 높은 경우가 많았다. 더욱이 조선 건국 초에는 수령 대부분의 자질이 낮아서 그들이 수령을 능멸하는 일들이 자주 일어났다. 그리하여 중앙집권책의 일환으로 수령권이 강조되면서 1406년(태종 6)...
    이칭별칭향소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초기에 악질 향리를 규찰하고 향풍을 바로잡기 위해 지방의 품관들이 조직한 자치 기구
    정의조선 초기에 악질 향리를 규찰하고 향풍을 바로잡기 위해 지방의 품관들이 조직한 자치 기구 | 문광부표기Yuhyangso | MR표기Yuhyangs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와 조선 시대에, 지방의 수령을 보좌하던 자문 기관
    정의고려와 조선 시대에, 지방의 수령을 보좌하던 자문 기관 | 문광부표기Yuhyangso | MR표기Yuhyangs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폐금방절목(作弊禁防節目), 향규(鄕規), 향안(鄕案) 분경재소(分京在所), 풍헌당(風憲堂), 향사당(鄕射堂) 경재소(京在所), 사마소(司馬所), 유향품관(留鄕品官), 출향(黜鄕), 향리(鄕吏), 향유사...
    하위어유향소작폐금방절목(留鄕所作弊禁防節目), 향규(鄕規), 향안(鄕案) | 동의어분경재소(分京在所), 풍헌당(風憲堂), 향사당(鄕射堂) | 관련어경재소(京在所), 사마소(司馬所), 유향품관(留鄕品官), 출향(黜鄕), 향리(鄕吏), 향유사(鄕有司), 향청(鄕廳), 향소(鄕所)
  • 사마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 지방의 생원ㆍ진사들이 각 고을에 설립한 자체 협의기구. [내용] 16세기 초(성종말∼연산군) 훈구파(勳舊派)의 () 장악에 대한 반발로 사마시(司馬試) 출신의 젊은 유림들이 향권을 주도하기 위해 설립하게 되었다.

고서·고문서(159)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법제·행정]

    들은 예전처럼 계속 향촌의 주도권을 장악하려면 그들 자신이 중심이 된 기구를 만들어야 하였다. 이것이 바로 이다.

  • 수령 / 守令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 주·부·군·현의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의 총칭. 수령의 임무는 권농·호구 증식·군정·교육 장려·징세 조역·소송 간평·풍속 교정이었으며, 수령의 하부 행정 체계로서는 향리와 면리임(面里任)이 있고, 자문 및 보좌 기관으로 ()가 있

  • 사마소 / 司馬所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중기 지방의 생원·진사들이 각 고을에 설립한 자체 협의기구. 16세기 초(성종말∼연산군) 훈구파의 장악에 대한 반발로 사마시 출신의 젊은 유림들이 향권을 주도하기 위해 설립하게 되었다. 사마소는 대개 고을의 관아 근처에 있었는데 하나의 특수기관처럼 행세

  • 향약 / 鄕約 [사회/촌락]

    조선시대에 행해진 향촌의 자치규약. 모체를 이룬 것은 중국의 <여씨향약>이다. 고려말 주자학의 전래와 더불어 소개되었다. 조선 초 향촌사회에서 중앙권력과 향리의 폐해를 견제하기 위해 라는 자치단체를 만들었다. 1556년 이황, 1571년 이이는 조선만의 향약을

  • 공산지 / 公山誌 [지리/인문지리]

    기(祭器)·서책(書冊)·집물(汁物)·기명(器皿)·서원(書院)·재임(齋任)·부조사우(不祧祠宇)·단묘(壇廟)·능침(陵寢) 등으로 되어있다. 권2는 흥학(興學)·명석묘소(名碩墓所)·사찰(寺刹)·공해(公廨)·진보(鎭堡)·사마소(司馬所)·()·전결(田結)·장시(場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