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한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
사전(17)
- 자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유한준(兪漢雋)의 시문집. [내용] 18권 7책. 필사본. 편집 경위와 필사 연도는 밝혀져 있지 않으며, 작자의 행장이나 발문도 없다. 권두에 이민보(李敏輔)‧박윤원(朴胤源)‧오재순(吳載純)‧성대중(成大中)‧남공철(南公...
- 유한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32(영조 8)∼1811(순조 11). 조선 후기의 문장가‧서화가. [내용] 본관은 기계(杞溪). 초명은 한경(漢炅). 자는 만청(曼倩) 또는 여성(汝成), 호는 저암(著菴) 또는 창애(蒼厓). 1768년(영조 44) 진사시에 합격한 ...이칭별칭 만청(曼?), 여성(汝成)| 저암(著菴), 창애(蒼厓)
- 저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유한준(兪漢雋)의 시문집. [내용] 필사본. 유한집의 시문집은 ‘저암집’과 ‘자저(自著)’라는 제목의 두 가지로 전한다. ‘저암집’ 쪽이 보다 후기의 것으로 보인다. ≪저암집≫은 권1에 부(賦), 권2에 가요(歌...
- 만경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허목(許穆)이 이곳에서 경치를 감상하고 감탄하여 정자 이름을 만경이라 하였다. 1786년(정조 10) 유한준(兪漢準)이 이곳에서 본 경치를 시로 읊어 현판에 남겼으며, 1872년(고종 9)에 중수하면서 이돈상(李敦相)이 현판을 쓰고 김원식(金元植)이 상량문...
- 오룡재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남명학(南溟學)의 시문집. [내용] 1책. 활자본. 1801년(순조 1) 아들 양룡(陽龍)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환기(宋煥箕)ㆍ윤행임(尹行恁)ㆍ유한준(兪漢儁) 등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
단행본(3)
- 저마다의 길 - 유한준 평전- [18세기 작가평전: 개인의 발견 | 고려대학교]저자 : 박경남 ... | 출판사 : 글항아리 | 출판일 : 20210531‘18세기 개인의 발견’ 시리즈는 신유한·조귀명·이용휴·유한준의 생애를 비평적 시각으로 조명한 것이다. 동아시아에서 ‘개인’과 ‘개체’에 대한 사유는 전국시대 양주楊朱 이래로 시대 전환기마다 비슷한 듯 다른 모습으로 강조점을 달리하며 출현해 왔다. 따라서 ‘근대’라는 ...
- 천하제일의 문장 -신유한 평전 - [18세기 작가평전: 개인의 발견 | 고려대학교]저자 : 하지영 ... | 출판사 : 글항아리 | 출판일 : 20210531‘18세기 개인의 발견’ 시리즈는 신유한·조귀명·이용휴·유한준의 생애를 비평적 시각으로 조명한 것이다. 동아시아에서 ‘개인’과 ‘개체’에 대한 사유는 전국시대 양주楊朱 이래로 시대 전환기마다 비슷한 듯 다른 모습으로 강조점을 달리하며 출현해 왔다. 따라서 ‘근대’라는 ...
- 기이한 나의 집 -이용휴 평전- [18세기 작가평전: 개인의 발견 | 고려대학교]저자 : 박동욱 ... | 출판사 : 글항아리 | 출판일 : 20220531‘18세기 개인의 발견’ 시리즈는 신유한·조귀명·이용휴·유한준의 생애를 비평적 시각으로 조명한 것이다. 동아시아에서 ‘개인’과 ‘개체’에 대한 사유는 전국시대 양주楊朱 이래로 시대 전환기마다 비슷한 듯 다른 모습으로 강조점을 달리하며 출현해 왔다. 따라서 ‘근대’라는 ...
고서·고문서(12)
- 달신(達新)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9575 B039575 달신 達新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11年 6月 22日_020 李東鉉爲軍器主簿, 金致說爲司圃別提, 李顯忠爲典獄主簿, 兪漢純爲濟用主簿。 八度, 以洪大淵爲氷庫別提, 任希澤爲引儀, 朴趾源爲監役, 李?爲監察, 宗簿主簿單南必錫, 典籍三單池德斌·金良倜...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금(貸金)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서기 암산덕병위(岩山德兵衛), 서기 통역 겸무 임광우(林光宇), 서기 대월무(大越務) 유한준(劉漢俊) 경성(京城) 중부(中部) 장통방(長通坊) 동곡(東谷) 10통 8호 영정도충(永井道忠) 함남극(咸南極) 경성(京城) 중부(中部) 장통방(長通坊) 염동...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1부 | 판결일자1909년 05월 14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대금(貸金)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서기 암산덕병위(岩山德兵衛), 서기 통역 겸무 임광우(林光宇) 유한준(劉漢俊) 경성(京城) 중부(中部) 장통방(長通坊) 동곡(東谷) 10통 8호 영정도충(永井道忠) 함남극(咸南極) 경성(京城) 중부(中部) 장통방(長通坊) 염동(鹽洞) 19통 1호 ...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1부 | 판결일자1909년 05월 26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上曰, 下去善爲之, 可也。 延安府使洪仁謨進前奏職姓名, 上曰, 下去善爲之, 可也。 仍敎曰, 延安水土, 何如耶? 仁謨曰, 土疾則無之云矣。 定山縣監兪漢純, 明川府使李光永, 瑞山郡守鄭煥宗, 南海縣令蔡翼永等, 以次進前奏職姓名。 上曰, 下去善爲之, 可也。 萬頃縣令李周虎進前奏職姓名...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1 第七十一統統首崔翼坤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生鳴宇祖老職通政大夫學信 曾祖學生漢樞外祖學生김致宅本김海妻林氏年貳拾參丙申本平澤 父及第廷檜祖折衝將軍龍驤衛副護軍有大曾祖學生泰寅外祖學 生兪漢俊本慶州等乙卯戶口相准 第四戶 寡김姓年參拾玖庚辰本김海父莫石乙祖憲男曾祖光之外祖김順 男本慶州女年拾玖庚子等乙卯戶口相准 第五戶 城丁鰥夫姜莫大...연도_면이름1858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二南洞里
구술자료(1)
- 유한준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유한준 유한준 역사 인물 현대 황해도 송화군 구술자료 1. 초도에서의 학교생활과 초도에 대구술자유한준 | 직업이북오도민회 진도지회 총무 | 지역황해도
기초학문(2)
- 兪漢雋 문학의 실학적 면모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61945 한국연구재단 한국실학학회 2013 兪漢雋 문학의 실학적 면모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유형논문 | 게재일2013
- 兪漢雋의 諺記와 조선후기 漢譯 俗談集 편찬의 재인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0557 한국연구재단 근역한문학회 2014 兪漢雋의 諺記와 조선후기 漢譯 俗談集 편찬의 재인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14
연구과제(1)
-
18세기 작가평전: 개인의 발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박경남 | 고려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4)
-
유한준 / 兪漢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장가·서화가(1732∼1811). 영조 때 김포군수와 형조참의를 지냈다. 당대에 뛰어난 문장가로 손꼽혔으며 저서로 《저암집》이 있다. 그림에 대한 재능이 있었다고 하며 당시 화가들의 그림에 제발문을 많이 썼다.
-
금석집 / 錦石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박준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6년에 간행한 시문집. 1816년(순조 16) 박준원의 아들 박종보(朴宗輔)에 의해 편집·간행되었다. 권두에 유한준(兪漢雋)의 서문이 있다. 권1∼4에 부(賦) 1편, 시 560여수, 권5∼7에 서(書) 99편,
-
저암집 / 著菴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유한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87년에 영인한 시문집. 『저암집』은 권1에 부(賦), 권2에 가요(歌謠), 권3∼10에 시, 권11∼12에 전(傳), 권13∼15에 서(序), 권16∼17에 기(記), 권18에 제발(題跋)과 명찬(銘贊)·송(頌), 권1
-
낙애유고 / 洛涯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김안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1년에 간행한 시문집. 1801년(순조 1) 김안절의 6대손 김제묵(金濟默) 등이 유고를 정리해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한준(兪漢雋)의 서문과 권말에 김제묵과 김근순(金近淳)의 발문이 있다. 2권 1책. 목활자본. 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