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학” 에 대한 검색결과 25,5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993)

사전(4,27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상이나 훌륭한 신인(神人)들의 신주(神主)ㆍ위판(位版)ㆍ영정(影幀)ㆍ소상(塑像) 등을 모신 사당. [내용] 묘당(廟堂)ㆍ사우(祠宇)라고도 하며, 민가에서는 가묘(家廟)라고도 한다. 제왕의 조상을 제향하는 종묘(宗廟)ㆍ태묘(太廟) 제도에서...
    이칭별칭묘당(廟堂)|사우(祠宇)|가묘(家廟)
  • 명명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주(註)에서 “명덕이란 하늘로부터 얻은 것으로 허령불매(虛靈不昧)하여 뭇 이치를 갖추어서(具衆理) 만사에 응하는 것(應萬事者)”이라고 주석하였다. 조선시대 선유(先儒)들은 주희가 주한 명덕의 주석에 대해 여러 각도로 분석해 해설했고, 중국 자들의 설명을 비판...
  • 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에서 강조하는 임금이 행하여야 할 도리. [내용] 공자는 ‘군군신신(君君臣臣)’이라 하여 정명사상(正名思想)을 주창했는데, 그 내용은 임금은 임금다워야 하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한다는 것이다. 임금다운 임금이란 백성들이 좋아하는...
  • 구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에서 말하는 군자로서 가지고 있어야 할 아홉 가지 생각. [내용] 『논어』에 나오는 내용이다. 볼 때에는 밝게 볼 것을 생각하고(視思明), 말을 들을 때에는 총명할 것을 생각하고(聽思聰), 안색은 온순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色思溫),...
  • 홀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항을 간단히 적어서 잊어버리지 않도록 비망하는 것이었다. 신분에 따라 규격과 색채와 질이 정해져서 중국에서는 옥‧상아‧서각(犀角) 등이 사용되었다.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온 우리나라에도 이 제도는 오래 전에 도입되었다. 조선조가 창건되어 이 국교로 채택되...

단행본(17)

  • 계몽의 주체로서 근대 지식인과 [한국 근현대의 학문 형성과 계몽 운동의 가치 | 단국대학교]
    저자 : 허재영 김혜련 윤금선 서민정 ... | 출판사 : 경진 | 출판일 : 20190210
    이 책은 계몽운동의 주체로서 근대 지식인과 유학생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근대 지식인 유형과 유학생의 담론, 근대 유학생의 역사, 그들의 성격과 활동, 일제 강점기 유학 담론의 변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 한국 전통과학의 배경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
    저자 : 김영식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10319
    한국 전통과학의 형성ㆍ변화ㆍ발전과 사상적ㆍ사회적 요소의 상호관계를 살펴보다 한국 전통과학과 관련하여, 이른바 과학의 ‘배경’이 과학에 영향을 미치거나 ‘배경’의 변화가 과학의 변화를 일으키거나 한 것은 아니다. ‘배경’과 과학은 상호작용했으며, 거꾸로 과학이 ‘배...
  • 저자 : 홍성덕 ... | 출판사 :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 출판일 : 20150414
    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
  • 말레이시아: 이민전략을 통해 본 한인 사회 형성과 그 미래 [동남아시아의 한인과 한인사회: 도전과 정착, 그리고 미래 | 한국동남아연구소]
    저자 : 홍석준 ... | 출판사 : 도서출판 눌민 | 출판일 : 20220531
    이 책은 은퇴이민, 조기유학, 부동산 투자처로 각광받고 있는 말레이시아의 이민정책과 교육정책, 그리고 이러한 정책을 통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말레이시아 한인 사회를 분석한다. 말레이시아가 한국인들의 새로운 조기유학 대상지로 부상하게 된 주요 원인과 은퇴이민을 위한 M...
  • 백암 박은식 평전 [한국 근대 전환기 민족 지도자 연구 | 성균관대학교]
    저자 : 노관범 ... | 출판사 : 도서출판 이조 | 출판일 : 20210530
    박은식은 격동기의 거인이었다. 황해도 시골 선비로 태어나 서울 언론계에서 필설을 드날렸고 중국과 러시아에서 독립운동에 힘썼다. 생애 말년에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이끌었다. 언론인, 활동가, 혁명가의 삶이었다. 그의 삶 자체가 역동적인 한국 근대사이다. 인물에 관한 책...

논문(11)

  • 20世纪初朝鲜人的曲阜旅行记录研究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중국 내 최고 수준의 한국학 선도대학 재건 프로젝트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최해연 | 게재정보 : 东疆学刊 
    유형논문
  • 조선 초기 사상 분화와 당파싸움의 기원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중국 내 최고 수준의 한국학 선도대학 재건 프로젝트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윤현철, 류우지궈 | 게재정보 : 연변대학학보 
    유형논문
  • 국내 거주 베트남 생의 한국학 교육 경험과 문화적응의 관계 [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 인하대학교]
    저자 : 박미화 | 게재정보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 高丽中期的心性论倾向研究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金哲洙(延邊大學) | 게재정보 : 연변대학학보 , 게재일 : 2013.6
    고려중기유학의 심성논경향연구 (김철수) 본 논문은 고려중기 유학의 심성학에 대한 중시는 사학교육에서부터 유래하고 있음을 제시하면서, 이는 무엇보다 송나라와 고려시기 사신들과 유생들 간의 교류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음을 논증하고 있다. 특히 북송 신유학이 고려유학과 ...
    유형논문
  • 고려중기의 심성논경향연구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김철수 | 게재정보 : 연변대학학보 
    유형논문

고서·고문서(14,026)

구술자료(681)

  • 강벌태와 정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변인태 이야기 중에 강벌태 이야기가 나왔으나 조사자가 의도적으로 변인태 <page id="392"></page> 이야기를 계속하도록 하였다. 이야기가 끝난 후 그 강벌태 이야기를 부탁하였다. ?
    조사일시1981-01-21 | 조사장소제주도 서귀포시 영천동 | 제보자정원선
  • 베트남 생애담 한국 생활 2017. 11. 02(목) 오전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 융티탄프엉 [베트남, 여, 1988년생, 3년차] 백옥장 [베트남, 여, 1982년생, 10년차] 조사자 3인 오정미, 한상효, 엄희수 〈의붓자매
    국가베트남 | 제보자융티탄프엉 [베트남, 여, 1988년생, 유학 3년차] 백옥장 [베트남, 여, 1982년생, 유학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홍콩 생애담 온 이유와 꿈 2018. 12. 14(금) 오전 서울시 광진구 화양동 채가오 [홍콩, 여, 1993년생, 4년차] 조사자 3인 오정미, 신동흔, 한상효 조사자 3명은 제보자와 조사자의 연구실에서 만났다. 조사자가 제보자의 이름과 신상을
    국가홍콩 | 제보자채가오 [홍콩, 여, 1993년생, 유학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한국으로 온 사연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네팔 생애담 한국으로 온 사연 2018. 03. 10(토) 오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현천동 한국항공대학교 비멀 [네팔, 남, 1987년생, 10년차] 조사자 3인 오정미, 한상효, 엄희수 조사팀은 진주에서 만난 스레스탄졸티의 추천을 받아 고양시에 있는
    국가네팔 | 제보자비멀 [네팔, 남, 1987년생, 유학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베트남 생애담 생으로서의 삶 2017. 11. 02(목) 오전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 융티탄프엉 [베트남, 여, 1988년생, 3년차] 조사자 3인 오정미, 한상효, 엄희수 조사자와 제보자가 처음 만났다. 인하대의 강의실에서 조사를 진행하며 제보자의
    국가베트남 | 제보자융티탄프엉 [베트남, 여, 1988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439)

  • 볼프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종수, 게재일 : 2001
    05374 안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철학회 2001 볼프와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a1f9beb01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과 자유주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5
    36501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05 과 자유주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의 歷史觀과 社會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종일, 게재일 : 2000
    09805 오종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공자학회 2000 의 歷史觀과 社會觀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a1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梁漱溟의 現代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중기, 게재일 : 1999
    11211 강중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철학연구회 1999 梁漱溟의 現代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a016e
    유형논문 | 게재일1999
  • 공맹의 도덕 감정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용환, 게재일 : 2013
    52815 정용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철학회 2013 공맹의 도덕 감정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1,037)

  • 貴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현임각대신의 졔와 기타화죡가의 질즁으로 슈십인을 션야 관비로 일본에파견야 삼월을 케일로 쳐분을나리셧 그격에 불합도 운동이대단야 은근이 분경이되 즁이라더라
    게재일1907년 2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日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대신 리지용씨의 뎨 젼셰마 리츙씨와 그일가 부쥬 리대용씨등 삼인이 일본에 로 쟝발다 그류학년한은 오년으로 작졍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9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上海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칙임비셔승 민츙식씨가 쳥국상에 로 발다더니 작일상오에 경인텰도 뎨일번 륜거로 발뎡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5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학교학도들을 일톄단발식힌다일로 학도들이 퇴학려자 만타 쟉일 학부협판 리근상씨가 각학교에 슌하야 져져히 효유하얏다더라
    게재일1905년 6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淸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쳥국에셔 춍명뎨로 이십여인을 모집야 일본으로 파송야 각학문을 여오기로 다더니 본월일일에 일본대판에 득달야 박람회를 구경고 동경으로 갓다더라
    게재일1903년 4월 9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49)

  • 여말선초 자들_2주차_1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한국유교철학자들 한국유교철학자들 한국유교의 대표적인 철학자들을 살펴봄으로서, 한국유교가 어떤 식으로 발전해왔는지 그 흐름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강좌제목한국유교철학자들 | 강의자최영진 외 9인
  • 여말선초 자들_2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한국유교철학자들 한국유교철학자들 한국유교의 대표적인 철학자들을 살펴봄으로서, 한국유교가 어떤 식으로 발전해왔는지 그 흐름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강좌제목한국유교철학자들 | 강의자최영진 외 9인
  • 여말선초 자들_2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한국유교철학자들 한국유교철학자들 한국유교의 대표적인 철학자들을 살펴봄으로서, 한국유교가 어떤 식으로 발전해왔는지 그 흐름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강좌제목한국유교철학자들 | 강의자최영진 외 9인
  • 여말선초 자들_2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한국유교철학자들 한국유교철학자들 한국유교의 대표적인 철학자들을 살펴봄으로서, 한국유교가 어떤 식으로 발전해왔는지 그 흐름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강좌제목한국유교철학자들 | 강의자최영진 외 9인
  • 여말선초 자들_2주차_5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한국유교철학자들 한국유교철학자들 한국유교의 대표적인 철학자들을 살펴봄으로서, 한국유교가 어떤 식으로 발전해왔는지 그 흐름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강좌제목한국유교철학자들 | 강의자최영진 외 9인

연구결과보고서(1)

기타자료(3,854)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2866 일본 東京 東京音樂學校 東京音樂學校一覽 昭和9年~昭和10年 1935―02―25 146면 김;金 조선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音樂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2874 일본 東京 東京音樂學校 東京音樂學校一覽 昭和10年~昭和11年 1936―03―15 147면 김;金 조선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音樂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2884 일본 東京 東京音樂學校 東京音樂學校一覽 昭和11年~昭和12年 1937―03―15 161면 김;金 조선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音樂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2898 일본 東京 東京音樂學校 東京音樂學校一覽 昭和12年~昭和13年 1938―03―15 168면 김;金 조선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音樂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2912 일본 東京 東京音樂學校 東京音樂學校一覽 昭和13年~昭和14年 1939―03―15 98면 김;金 조선 1938년 9월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音樂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43)

주제어사전(498)

  • / [종교·철학/유학]

    공자의 학설을 받드는 유가의 학문. 조선시대에는 유교를 지배사상으로 삼고 있었기 때문에 십학 중에 가장 우위에 있었다. 조선시대의 을 가르치는 교육기관으로는 서울의 성균관·사학과 지방의 향교가 있었다.『경국대전』에 의하면 성균관유생(成均館儒生) 200, 사학유

  • 유교 / 儒敎 [종교·철학/유학]

    공자에 의해 창시된 종교. 유교의 근본사상은 인이다. 유교에서는 사람의 본성을 착한 것으로 보는 성선설이 주된 흐름을 이루고 있다. 유교의 인간관은 군자를 이상적 인간의 모델로 삼고 있다. 유교는 인간간의 관계, 인륜을 가장 중시하므로 윤리사상이 발전되어 있다.

  • 경학대장 / 經學隊仗 [종교·철학/유학]

    남북국시대 통일신라학자 최치원이 경학의 내용을 종목별로 기록한 서. 최치원(崔致遠)의 저작이라고 한다. 18세기 말엽에 최치원의 후손 최치덕(崔致德)이 가전(家傳)의 낡은 상자에서 처음 발견하여 필사하여둔 것을 1950년대에 경주서악서원(西岳書院)에서 대동보(大同

  • 박장현 / 朴章鉉 [종교·철학/유학]

    1908년(융희 2)∼1940년. 일제 강점기 자·사학자. 부친 박재범과 모친 창녕성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송준필 등의 선대자들에게 가르침을 구한 뒤, 유교의 재건을 목표로 학문에 진력하였다. 1939년 일본 이송학사전문학교에서 하면서, 우찌다[內

  • 안향 / 安珦 [종교·철학/유학]

    1243-1306. 고려 충렬왕때의 자. 우리나라에 주자학을 최초로 도입하였다. 1290년 원나라에 가서 <주자전서>을 보고 에 심취하여 돌아왔다. 그후 주자학 연구에 몰도하였다. 그러나 당시의 은 원나라 허형의 학풍이었다. 유교의 효, 충, 신,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