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토면세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무토면세전
연구성과물(4)
사전(3)
- 유토면세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둔전을 설치해 독자적인 재정수입 기반을 구축하였다. 왕실의 각 궁방도 이에 따랐다. 유토면세전은 임진왜란 이후 주로 각 궁방이 입안절수(立案折受)의 형식으로 진황지를 불하받거나 민간의 농토를 사들여서 확대한 궁방의 사적 대토지이다. 해당 궁방이 절반 정도의 조(...
- 무토면세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자를 유토면세궁방전 혹은 영작궁둔(永作宮屯)이라 한 것과 대비된다. 유토면세전은 임진왜란 이후 주로 각 궁방이 입안절수(立案折受)의 형식으로 진황지(陳荒地)를 불하받거나 궁방의 사적인 대토지의 집적인 것이다. 이에 대하여, 무토면세전은 단순히 민전(民田),...
- 유토면세(有土免稅)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세 해택을 주도록 한 토지를 일컬었다. 토지 1결(結)당 부과되는 국가 세금은 전세(田稅) 4두(斗)와 대동미(大同米) 12두를 포함하여 쌀 23두였는데, 관례적으로 조(租) 100두가 면세되었다. [변천] 유토면세전(有土免稅田)은 그 기준에 의하면 모두 궁방이...상위어면세전(免稅田) | 관련어무토면세(無土免稅), 궁방전(宮房田), 둔전(屯田)
고서·고문서(1)
- 全羅道庄土文績_제16책 : 全羅南道長興郡所在庄土劉煥提出圖書文績類 1. 道光二十一年-辛丑-十一月日尹得俊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장권 75000결 전문 전문 850냥 수진궁 千在豊 300결의 반에 반반깃(1/4)/유토면세전답진기를 합하여 300결의 도장지임 중에 본궁 상납잔문 343냥 6전 5푼 급 요역 2냥 8전 6푼 19301_16.pdf자료명全羅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1)
-
유토면세전 / 有土免稅田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의 내수사전 등 왕실의 사유지와 대군·군·공주·옹주 등 왕족들의 사유지. 조선 후기의 궁방전은 왕실·왕족들이 직접 지배하는 사유지와 왕실·왕족들의 지배 하에 있는 일반 민전인 수조지가 있었다. 전자를 유토면세전 또는 영작궁전(永作宮田)이라 했고, 후자의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