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토궁방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유토궁방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던 사유지로서 주로 사거나 개간에 의하여 형성되었는데, 1결당 조 200두 수준의 지대가 부과되었다. 1807년(순조 7)경 전국에 약 1만 1,000여 결의 유토궁방전이 있었는데, 이들 토지는 대개 궁방-지주-소작인이라는 중층적 구조하에서 병작제에 의거하여 경작되었...
- 무토궁방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민전(民田) 위에 설치되었던 수조지(收租地). [내용] 유토궁방전(有土宮房田)에 대비되는 말로 일명 원결궁둔(元結宮屯)이라고도 하였다. 대체로 민전(民田) 위에 설치된 것이었으므로 궁방이 토지에 대한 수조권만을 지닌 토지였다....이칭별칭원결궁둔(元結宮屯)
- 절수(折受)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절수 절수 折受 입안(立案), 궁방전(宮房田), 직전법(職田法), 유토궁방전(有土宮房田), 무토궁방전(無土宮房田) 경제재정/양전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오인택 [정의] 조선시대...관련어입안(立案), 궁방전(宮房田), 직전법(職田法), 유토궁방전(有土宮房田), 무토궁방전(無土宮房田)
- 능원묘위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부근에 있는 경우도 있으나 멀리 떨어져 있거나 여러 곳에 산재해 있기도 하였다. 대체로 경기도 일대의 토지가 지급되었으나 황해도‧평안도‧전라도‧충청도 등지에도 보인다. 위전은 수조 액수는 잘 알 수 없다. 그러나 대체로 유토궁방전(有土宮房田)의 경우처럼 부당(負...
- 궁방전(宮房田)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수조자·지주)-기주(起主)·중답주·도장(지주)-작인(전호)의 구조를 이루는 장토가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유토궁방전에서의 이중 소유 구조는 민인들의 소유권 성장에 따른 결과이며, 궁방의 사적 지주로서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유토 내에서 기주·중답주는 실질적...동의어궁장토(宮庄土), 궁둔(宮屯), 사궁장토(司宮庄土) | 관련어영작궁둔(永作宮屯), 둔전(屯田), 을해정식(乙亥定式), 절수(折受), 급가매득(給價買得), 민결면세(民結免稅), 유토(有土), 무토(無土), 병신정식(丙申定式)
주제어사전(1)
-
유토궁방전 / 有土宮房田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민전 위에 설정된 나누어 주거나 하사한 토지. 유토면세지(有土免稅地)와 영작궁둔(永作宮屯)의 두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모두 면세의 특권이 주어졌다. 유토면세지는 무토궁방전(無土宮房田)과 마찬가지로 민전 위에 설정된 것으로서 주로 나누어 주거나 하사한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