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태형” 에 대한 검색결과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2)

  • 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85(선조 18)∼1651(효종 2).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용여(用汝), 호는 백석(白石). 아버지는 형조좌랑 태형(泰亨)이며, 어머니는 한양조씨(漢陽趙氏)로 승지에 증직된 유정(惟精)의 딸이다. ...
    이칭별칭 용여(用汝)| 백석(白石)
  • 구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천거하려 하였으나 극력 사양하였고, 1626년(인조 4) 처음으로 활인서 별좌를 배수받았다. 이듬해 정묘호란이 일어나 인조가 강화로 대가(大駕)를 옮기려 하자 ()과 더불어 묘당에서 부당함을 역설하여 그치게 하였으며, 곧 체찰사 이원익(李元翼)...
    이칭별칭 영연(瑩然)| 죽유(竹?)

고서·고문서(17)

  • 甲戌,我惟征徐戎,峙乃糗糧,無敢不逮。汝則。魯人三郊ㆍ三遂,峙乃楨幹。甲戍,我惟築,無敢不供。汝則有無餘刑非殺。魯人三郊ㆍ三遂,峙乃芻茭,無敢不多。汝則。”【《史記》,遂爲隧,其餘文句,刪沒不全。《說文》,糗爲餱】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60 尙書古訓 卷七 ITKC_MP_0597A_0560_030_0060 甲戌,我惟征徐戎,峙乃糗糧,無敢不逮。汝則。魯人三郊ㆍ三遂,峙乃楨幹。甲戍,我惟築,無敢不供。汝則有無餘刑非殺。魯人三郊ㆍ三遂,峙乃芻茭,無敢不多。汝則。”【《史記...
    권차명尙書古訓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江原道庄土文績_제2책 : 江原道原州郡彌乃面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積類 3. 康熙伍拾陸年-丁酉-正月十五日李生員宅奴莫山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답주 李生員奴莫先 奴 답주 李生員宅奴莫山 奴 李生員宅奴莫山 奴 私奴於龍/金海徵 강원 원주 彌乃 北坪 ...
    자료명江原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大功勳於王室者 得賜功臣號及諡 時寖冗濫失實 在中書時 安南請佛書 乞以九經賜之 使高麗 不受禮遺 為尚書 貧不能自給 故特賜是諡 贈漳州萬戶府知事闞文興英毅侯 妻王氏貞烈夫人 廟號雙節 몽고정세, 사신왕래, 元統 2년은 충숙왕 후3년(1334)에 해당하므로, 충숙왕 후3...
    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충숙왕(忠肅王)  후3
  • , 鄭永澤爲厚昌郡守, 李道振爲景慕宮令, 金慶漢爲氷庫主簿, 以爲社稷令, 趙炳大爲平巿主簿, 黃厚淵爲司饔主簿, 任大準爲典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金思準爲健元陵參奉, 成鍾永爲厚陵參奉, 丁大三爲英陵參奉, 尹秉觀爲光陵參奉, 尹瑗爲昌陵參奉, 李鍾協爲順陵參奉, 爲溫陵參奉, 李喬宰爲穆陵參奉, 趙賢植爲章陵參奉, 李鳳賢爲寧陵參奉, 吳友善爲惠陵參奉, 南廷哲爲健陵參奉, 李冕相爲睿陵參奉, 權仁國爲昭寧園守奉官, 金信圭爲肇慶廟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3417 남한 경성 휘문중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37면 ; 충남 천안군 성거면 송남리;朝鮮金融組合 忠南支部 제2회 1940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568∼1642. 조선 중기 문신. 부친은 유덕신이다. 은 김장생의 문인이다. 인조 조에 학행으로 참봉에 제수되어, 한성부참군, 별제좌랑을 지냈으며, 관계는 통훈대부에 이르렀다. 아들로는 유도, 유상, 유합을 두었다. 우암 송시열의 6세손인 강재 송치규가 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