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태좌” 에 대한 검색결과 3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7)

사전(2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63-1837) 1763(영조 39)∼1837(헌종 3). 조선 후기의 학자. 글씨는 ≪한국역대명인필적≫에서.
    이칭별칭 사현(士鉉)| 학서(鶴棲)
  • 김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처음에 유심춘(柳尋春)의 문하에서 수업하였으며, 뒤에 ()의 문인이 되어 강마(講劘)와 논변(論辨)으로 학문을 성취시켰다. 당시의 석학인 이한응(李漢膺)ㆍ이휘령(李彙寧)ㆍ유치명(柳致明) 등과 교유가 두터웠다. 권엽(權曄)의 유문(遺文)을 편집, 간행하...
    이칭별칭 순백(純伯)| 외암(畏庵)
  • 쌍벽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작자 이씨는 예조판서 지억(之憶)의 차녀로 유성룡(柳成龍)의 8세손인 사춘(師春)에게 출가하였으며, 초계문신(抄啓文臣) ()의 어머니이다. [내용] 이 가사는 이씨가 58세 때 안동 하회(河回)에서 지은 것으로, 맏아들 태좌와 큰조카...
  • 덕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이석경(李碩慶)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831년(순조 31) 후손 인준(寅峻)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과 권말에 이경유(李敬儒)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
  • 속은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수(尹東壽)ㆍ금영택(琴英澤) 등의 시에 화운(和韻)하였다. 서(書)는 순조 초반 영남 지방의 향교를 둘러싼 향전(鄕戰)에 대해 이의수(李宜秀) 등과 의견을 주고받은 것, 향현사(鄕賢祠) 이봉(移奉)을 둘러싼 의견의 대립을 조정하기 위해 ()와 오천김...

고서·고문서(282)

기초학문(1)

  • 鶴棲 의 삶과 문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수현, 게재일 : 2016
    62804 김수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학연구원 2016 鶴棲 의 삶과 문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유학]

    1763(영조 39)∼1837(헌종 3).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사춘, 어머니는 이억지의 딸이다. 1794년(정조 18)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정원가주서가 되고 주자서 3책을 하사받았다. 이후 우승지, 호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학서문집> 20

  • 덕암문집 / 德巖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이석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1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831년(순조 31) 후손 인준(寅峻)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과 권말에 이경유(李敬儒)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첫머리

  • 나졸재집 / 懶拙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산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3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33년(순조 33) 영남사림들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장서각 도서·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영종대

  • 남고집 / 南皐集 [종교·철학/유학]

    아보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묘사한 작품이 들어 있다. 또한, 정종로(鄭宗魯)·유상조(柳相祚)·()·황찬희(黃贊熙)·김상원(金尙元)·유치목(柳致睦) 등 당시 유명인사에 대한 만시가 많이 들어 있다. 소에는 스승인 정종로를 포증(褒贈)하여줄 것을 청하는 상소가 있

  • 쌍벽가 / 雙璧歌 [문학/고전시가]

    의 8세손인 사춘(師春)에게 출가하였으며, 초계문신(抄啓文臣) ()의 어머니이다. 이 가사는 이씨가 58세 때 안동 하회(河回)에서 지은 것으로, 맏아들 태좌와 큰조카 상조(相祚) 형제가 동년동학(同年同學)으로 함께 과거에 급제함에, 정조가 장질을 인견(引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