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중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
사전(27)
- 유중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의관(醫官). [내용]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대이(大而), 호는 문성(文城). 숙종 때의 두의(痘醫)였던 상(瑺)의 후손이다. 영조 때에 태의원의약(太醫院醫藥)을 지냈다. 1766년(영조...이칭별칭 대이(大而)| 문성(文城)
- 增補山林經濟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0_O_0020 增補山林經濟 학문 기타 文城柳氏譜 中國, 西河 屠隆, 柳重臨, 田汝成, 高深夫, 徐四佳居正, 柳重臨, 任希聖 山林經濟, 增補山林經濟, 居家必用, 遵生八牋, 臞仙神隱, 山居四要, 萬寶全書, 齊民要術, 山林經濟增補 O_16...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6권 2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감저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66년(영조 42) 강필리(姜必履)가 고구마의 재배ㆍ이용법에 관하여 기술한 책. [내용] 우리 나라 최초로 고구마의 재배ㆍ이용법을 기술한 책이다. 조선 후기 문헌에 인용되고 있는 『강씨감저보(姜氏甘藷譜)』를 가리킨다. 유중림(...
- 홍만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書) 발간에 기여가 컸다. 유형원(柳馨遠)과 동시대의 인물로서 주자학에 반기를 들고 실용후생(實用厚生)의 학풍을 일으켜 실학발전의 선구적 인물로 평가된다. 유중림(柳重臨)‧서유구(徐有榘) 등 학자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숙...이칭별칭 사중(士中)| 유암(流巖)
- 증보산림경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66년(영조 42)에 유중림(柳重臨)이 『산림경제』를 증보하여 엮은 농서. [내용] 16권 12책. 필사본. 홍만선(洪萬選)의 『산림경제』가 판본으로 간행되지 못하여 권질이 드물어지고 또 내용이 백과사전식으로 되어 있어 농림방면에 이...
고서·고문서(10)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891 B049891 덕진 德津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38年 1月 16日_007 ... , 柳重臨爲注文僉使, 鄭世柱爲都摠經歷, 李完基爲訓鍊主簿, 李性玉爲訓鍊主簿, 李鎭相爲訓鍊主簿, 趙垸爲永宗僉使, 李國賢爲慶尙右兵使, 邊慶遇爲武兼, 金宗澤爲景福將, 尹在復爲武兼,...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5388 B035388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5年 5月 30日_008 聖上封爵回甲稱慶陳賀, 諸道所封箋文開拆看審, 則京畿水使南正五, 驪州牧使李吉儒, 長湍府使李摘, 漣川縣監柳重臨, 淸州牧使金聖梓, 全羅左水使李潤德, 羅州牧使洪櫟, 慶州府尹尹學東, 熊川...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5425 B035425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5年 5月 30日_008 聖上封爵回甲稱慶陳賀, 諸道所封箋文開拆看審, 則京畿水使南正五, 驪州牧使李吉儒, 長湍府使李摘, 漣川縣監柳重臨, 淸州牧使金聖梓, 全羅左水使李潤德, 羅州牧使洪櫟, 慶州府尹尹學東, 熊川...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聃, 今加嘉善, 金夢翼·吳允恒·孫世榮, 今加通政, 醫官玄起鵬, 今加崇祿, 金壽煃, 今加崇政, 方泰輿·玄載鼎·金履亨, 今加嘉善, 鄭纘修·柳重臨·辛世翊·高挺參, 今加通政。 已上加資事, 承傳。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爲公州營將, 權伋爲三陟營將, 金海柱爲訓鍊正, 尹性淵爲都摠經歷, 申大謙爲訓鍊僉正, 具明謙爲滿浦僉使, 鄭雲濟爲忠翊將, 柳重臨爲知事, 李禧泰爲德津萬戶, 姜文翼爲靑水萬戶, 孫大亨爲仇寧萬戶, 張元徽爲在德萬戶, 金聲輝爲造山萬戶, 李泰遠爲訓鍊副正, 韓尙儀爲僉正, 吳澤·申光道爲判官,...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민족단결_1994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치는 걸출한 소수민족기업가들(2) 류중림 8 국경개방도시계렬보도(7)-서려 리소림 11 국경개방도시계렬보도(7)-원정 리소림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4
주제어사전(4)
-
유중림 / 柳重臨 [과학기술/의약학]
조선 후기의 의관(?∼?). 유상의 후손이다. 영조 때에 태의원의약을 지냈고, 1766년(영조 42)에《증보산림경제》를 편찬하였다. 그 뒤 태의원내의가 되어 서반의 녹, 즉 군직의 녹을 받으면서 의무에 종사하였다.
-
홍만선 / 洪萬選 [종교·철학/유학]
경제서이다.유중림·서유구 등 학자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
감저보 / 甘藷譜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강필리가 고구마의 재배·이용에 관하여 1766년에 저술한 농업서. 우리 나라 최초로 고구마의 재배·이용법을 기술한 책이다. 조선 후기 문헌에 인용되고 있는 『강씨감저보(姜氏甘藷譜)』를 가리킨다.유중림(柳重臨)의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권1 치농(
-
증보산림경제 / 增補山林經濟 [경제·산업]
1766년(영조 42)에 유중림이 『산림경제』를 증보한 농서. 16권 12책. 필사본. 항목은 복거·치농·종수·양화·양잠·목양·치포·섭생·치선상·치선하·구황·가정상·가정하·구사상·구사하·구급·증보사시찬요·사가점후·선택·잡방·동국산수록·남사고십승보신지·동국승구록 등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