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중교” 에 대한 검색결과 1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7)

사전(83)

  • 자양금(거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19세기의 학자 ()가 갖고 있던 7현의 거문고. [내용] 충청북도 민속자료 제9호. 1994년 12월에 지정되었다. 는 조선시대 고종 때의 학자로 자는 치정(致政), 호는 성재(省齋)이고 본관은 고흥(高興)이다...
  • 주용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게 입양되었으며, ()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세에 과장(科場)에서 시문으로 이름을 날리고, 향시(鄕試)와 성시(省試)에 연이어 합격하였으나, 국가가 점점 혼란스러워지자 벼슬을 포기하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1895년(고종 32) 장담(長潭)에서...
    이칭별칭 여중(汝中)| 입암(立菴)
  • 정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씨(陜川李氏) 재룡(在龍)의 딸이다. 아버지가 지리산(智異山)에서 기도해 낳았다고 한다. ()의 문인이다. 15세에 경전(經傳)을 통송하고, 해시(解試 : 향시)에 장원하였다. 일제의 침략이 있자 세상에 나가지 않고 학문하기를 결심, 이준식(李...
    이칭별칭 양지(揚之)| 원호(遠湖)|정진원(鄭鎭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湖洛論爭)에 버금가는 대논쟁이 이항로 문하에서 일어나게 되었다. 즉 는 심(心)을 기(氣)로 규정하고 이항로 및 김평묵은 심을 이(理)로 규정함으로써, 스승의 설과 정면충돌하게 되었다. 여기에 문인들이 두 갈래로 나누어져 논쟁은 더욱 확대되고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이칭별칭 치정(穉程)| 성재(省齋)| 문간(文簡)
  • 노정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49(헌종 15)∼1902. 조선 말기의 유학자. [내용] 본관은 광산(光山). 호는 연곡(蓮谷). 경기도 풍덕 출신. 경주 연곡(蓮谷)에서 성장하였다. 1871년(고종 8) 이후 가평에 거주하는 김평묵(金平默)과 ()에게...
    이칭별칭 연곡(蓮谷)

단행본(1)

  • 충청지역 재지사족의 학문과 활동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저자 :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 출판사 :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 출판일 : 2014.12.28
    분야생활 | 유형단행본
    세기 公州牧의 재정구조와 民役廳의 운영 임술민란기 省齋 의 三政論 崔益鉉의 定山 移住와 泰仁義兵 勉庵 崔益鉉 家의 古文書 考察 淵齋 宋秉璿家 所藏 文獻의 性格

논문(2)

고서·고문서(10)

  • 1910년 () 칙명(勅命)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관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관고
  • 1910년 () 칙명(勅命)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관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관고
  • 성재선생문집(省齋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1901년 신석휴(申錫休)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901년 5월 6일에 신석휴(申錫休)가 기우만(奇宇萬)에게 올린 편지이다. 자신은 독학하는 것이 가르침과 차이가 있을까 두려워서 기호(畿湖)에 가서 최익현(崔益鉉)과 유중돈() 그리고 송병선(宋秉璿)과 전우(田愚) 등 여러 어른을 차례로 방문하여 배운 것을 질...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 경헌유고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것이 아니며, 實과 穀은 모두 氣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 밖에 精爽과 血肉은 동일한 것이 아니라거나, 道心은 氣라고 주장하고 있다. 上省齋柳先生-丙子當在上- 1876. 에게 보내는 편지글로, 속세의 무리들과 어울려 다니는 것을 후회하여 두문불출하니,...
    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초학문(1)

  • ()(1821~1893)의 춘추대의, 위정척사, 중화, 소중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6
    68285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학사학회 2016 ()(1821~1893)의 춘추대의, 위정척사, 중화, 소중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주제어사전(9)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832∼1893). 김평묵과 함께 이항로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1852년 이항로의 명으로 《송원화동사합편강목》을 편수했다. 1876년에는 선공감가감역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1881년 척사위정의 소론이 일어나자 김평묵과 함께 춘추의리론을

  • 증시문서 / 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증규장각제학에게 '문간(文簡)'이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도덕박문왈문 일덕불해왈간'이라 적어 문간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 특증문서 / 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지평을 지낸 고 ()를 정2품 자헌대부, 규장각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 1910년 8월 25일《순종실록》기사에 의하면, 순종이 의 학문이 뛰어나서 온 세상의 사표가 되어 특증한다는 명이

  • 자양금 / 紫陽琴 [예술·체육/국악]

    조선시대 19세기의 학자 ()가 갖고 있던 7현의 거문고. 충청북도 민속문화재 제9호. 1994년 12월에 지정되었다. 는 조선시대 고종 때의 학자로 자는 치정(致政), 호는 성재(省齋)이고 본관은 고흥(高興)이다. 자양금은 성재의 후손인 유연호가 소

  • 괴원집 / 槐園集 [종교·철학/유학]

    축문·제문·행장·어록(語錄), 권13에 부록으로 유사·행장이 들어 있다.이 책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서(書)는 홍직필(洪直弼)에게 올린 글과 저자의 아버지 항로(恒老)의 문인 김평묵(金平默)·()·최익현(崔益鉉) 등과 주고받은 편지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