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주목” 에 대한 검색결과 1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9)

사전(2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크게 진작시켰다. [저서] 은 성리학‧예학‧역사학‧보학에 두루 통달했으며, 문장과 서법에도 상당한 조예가 있었다. 『전례유집(全禮類輯)』은 사례(四禮)‧오례(五禮)‧사상례(士相禮)‧거가잡의(居家雜儀)를 두루 참고해 완성한 예학의 집대성이다. 『사칠논...
    이칭별칭 숙빈(叔斌)| 계당(溪堂), 간곡거사(澗谷居士), 노시산인(老柴散人)
  • 연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농사. 向以還穀之太多爲憂 至之請 今則年事大侵 將欲取用於京中 故曾姑徐之關 其已傳去否, 이인엽(李寅燁), 21(禮)-282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대침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큰 흉년. 向以還穀之太多爲憂 至之請 今則年事大侵 將欲取用於京中 故曾姑徐之關 其已傳去否, 이인엽(李寅燁), 21(禮)-282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작목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곡물로 징수하는 전세(田稅)를 무명으로 대체하도록 함. 向以還穀之太多爲憂 至之請 今則年事大侵 將欲取用於京中 故曾姑徐之關 其已傳去否, 이인엽(李寅燁), 21(禮)-282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남고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었다. 권두에 1870년 ()이 쓴 서문과 권말에 1871년 6세손 경태(慶泰), 7세손 시원이 쓴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앞에 세계(世系)‧연보가 실려 있고, 권1∼4에 시 520수, 권5에 사(辭) 1편, 서(書) 5편, 서(序) 1편...

고서·고문서(91)

  • 무진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1862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62년 12월 27일에 이 김낙주에게 보낸 편지이다. 보내준 편지를 받아 상대방과 집 어른들이 편안하게 지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기쁘다고 하였다. 자신은 부모님이 평안하여 다행스럽지만 전염병이 유행해서 걱정스럽다고 하면서 상대 마을은 어떠한지 물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62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62년 2월 20일에 이 김낙주에게 보낸 편지이다. 보내준 편지를 받아 상대방과 식구들의 안부를 전해 들었다고 하면서 자신을 비롯한 어버이의 근황을 전했다. 그리고 상대방이 아들을 가르쳐 달라고 요청한 일을 언급하면서 상대방 아들인 김병황이 단정하고 영특하기...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67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67년 6월 14일에 이 김두흠에게 보낸 편지이다. 내용에는 먼저 상대방이 보내준 답장을 받아 읽고서 근래 상중에 있는 상대방과 그 자제들의 안부를 알게 되어 위안이 되었다고 하였다. 자신은 어머니의 문안을 근래 계속 듣고 있어서 매우 다행스럽다고 하였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67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67년 12월 27일에 이 김낙주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은 상대방의 삼촌이 별세했다는 부고를 받고서 놀라고 슬펐던 마음을 전하고, 상대방과 어른들의 슬픈 심정을 위로하고 있다. 자신이 부고를 받던 날 문상과 위문편지를 하지 못했는데 먼저 편지를 보내...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신문·잡지(2)

  • 장원길, 문정자, 림점순, 강명환, 곽윤현, 최□림, 정숙자, 채륜, 리문감, 리종문, 최순경, 한내자, 한성인, 김광수, 한헌수, 정신영, 김순옥, 박종하, 로영호, 리진범, , 임만평, 김태연, 김명곤, 남철, 문춘, 리명회, 림종환, 리홍렬, 김금일, 김기열...
    대표표제어승리의길_1951_1228_01
  • 이 우렁찬 박수 속에 등단하였다. 주석단이 등단하자 각□□ □□들로부터 오늘 대회에 드리는 꽃다발 증정이 있었다. 개회는 부정치지대장 동무의 간단한 개회사로서 개막되었다. 개회사에 이어 4지대장 동지로부터 오늘 국제 국내적으로 첨예화하고 있는 정치 군사정세를 분...
    대표표제어승리의길_1952_0505_02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1813년(순조 13) ∼1872년(고종 9). 조선 후기 유학자·의병장. 유성룡의 후손, 증조는 유광수, 조부는 유심춘이다. 1835년(헌종 1) 한성시에, 1842년(헌종 8) 향시에 합격하였으나 회시에 낙방한 뒤 과거를 단념하고 돌아와 계당을 짓고 학문에 전념하

  • 괴재문집 / 愧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배상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9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859년 도천서원(道川書院)에서 간행되었다. 권두에 ()의 서문과 권말에 유치명(柳致明)·이수용(李秀容)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 국담문집 / 菊潭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하진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0년대 초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저자의 손자인 치룡(致龍)에 의해 편집되었던 것을 1900년대 초 현손 황원(滉源)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내석(鄭來錫)·()·이만각(李晩慤) 및 저자의 생

  • 남계문집 / 南溪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강응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1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41년 후손 만원(萬元)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의 서문 및 저자의 연보가 있고, 권말에 만원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 남주문집 / 南洲文集 [종교·철학/유학]

    의 양은 많지 않으나 우수작이 많다는 평을 듣는다. 서(書)는 ()·이진백(李振伯)·김진기(金鎭麒)·이수만(李壽萬)·홍종선(洪鍾善)·박상우(朴尙友)·유연즙(柳淵楫)·이상호(李祥鎬) 등과 학문과 시사에 관하여 문답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