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장원” 에 대한 검색결과 1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9)

사전(6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4(경종 4)∼1796(정조 20).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숙원(叔遠), 호는 동암(東巖). 아버지는 관현(觀鉉)이다. 1769년(영조 45) 대산 이상정(李象靖)을 스승으로 섬겨 심학(心學)을 전수...
    이칭별칭 숙원(叔遠)| 동암(東巖)|호문삼로(湖門三老)
  • 유휘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73년(영조 49)∼1827(순조 27).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공회(公晦), 호는 호고와(好古窩). 아버지는 통덕랑 만휴(萬休)이며, 어머니는 의성김씨(義城金氏)로 현동(顯東)의 딸이다. (...
    이칭별칭 공회(公晦)| 호고와(好古窩)
  • 남경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동(元邱洞) 출생. 붕만(鵬萬)에게 입후되었으며, ()의 문인이다. 그는 이상정(李象靖)에게서 수학하려 했으나 그가 세상을 떠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이상정의 학문을 이어받은 으로부터 『대학(大學)』과 『중용(中庸)』을 배웠다. 그는 과거에 뜻을...
    이칭별칭 자여(自汝)| 구고헌(九皐軒)
  • 유치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게 입양됐다. 어머니는 한양 조씨(漢陽趙氏)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작은아버지인 낙문(洛文)에게 수학했다. 고문(古文)의 형식으로 글을 쓸 때는 거칠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문장은 막히는 것이 없었다고 한다. 그 뒤에 ()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이칭별칭 내봉(來鳳), 명녕(鳴寧), 명녕(鳴?)| 소은(小隱)
  • 소래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밤사이. 宵來僉況更何如, () 32-148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43)

  • 18세기 후반 () 상소(上疏)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상소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 현소장처안동 수곡 전주유씨 무실 종가
  • 1833년 () 방매(放賣) 시장문기(柴場文記)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33년(순조33)12월 28일에 유학(幼學) ()이 전라도 나주목 복암면 시목동(오늘날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일대로 추정)에 있는 시장(柴場)을 팔면서 작성해준 문서이다. 거래가격은 10냥이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시장문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시장문기 | 현소장처광주 광산구 김해김씨
  • 京畿道庄土文績_제60책 : 京畿道交河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38. 乾隆三十八年-癸巳-二月十三日第五女婿處許與成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6312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60책 : 京畿道交河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60-038 38. 乾隆三十八年-癸巳-二月十三日第五女婿處許與成文 분재기 1 44.3x49.9 한지, 관인 무, 수결, 배면 1장,...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831년 김상진(金尙振) 시장문기(柴場文記)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31년(순조31)12월 21일에 ()이 전라도 나주목 복암면 시목동(오늘날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일대로 추정)에 있는 시장을 김상진(金尙振)에게 팔면서 작성해준 시장거래문서이다. 거래가격은 4냥 5전이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시장문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시장문기 | 현소장처광주 광산구 김해김씨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기초학문(1)

  • 東巖 의 經學思想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병걸, 게재일 : 1989
    14243 안병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989 東巖 의 經學思想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
    유형논문 | 게재일1989

신문·잡지(85)

  • 경 리용익씨 향일에 어젼에셔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 리용익씨 향일에 어젼에셔 무삼 언를 잘못 알왼 닭에 미안 옵신 쳐분을 무러서 여러날 시무지 못다더니 궁부에셔 리씨 면본관미 합당 다고 상 쥬 엿다더라
    게재일1900년 2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독쇄관이 송파장과 평쟝의 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독쇄관이 송파장과 평쟝의 담와 눌욱감고를 리치만으로 차츌야 슈세다더라
    게재일1900년 3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경 리용릭씨 관삼 방일노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 리용릭씨 관삼 방일노 인쳔을 갓다더니 작일에 돌아왓다더라
    게재일1900년 4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츙쳥도 안군 연에 슈세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츙쳥도 안군 연에 슈세 에셔도 밧고 농상공부에셔도 밧 닭에 션인이 견슈 업다고 다더라
    게재일1900년 2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평안북도 곽산군 셩들이 에 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평안북도 곽산군 셩들이 에 호소기를 곽산군 사 김종하란쟈가 쥬셰 파원이라고 여 가지고 곽산 일군에 슐셰가 엽젼 삼쳔량 이라고 여러 슐 쟝에게 분여 노코 셩화 독봉니 인민의 칭원이 대단다고 혁파여 달나고 다더라
    게재일1899년 10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유관현의 아들이다. 1763년(영조 39) 사마시로 나아갔다. 풍의가 준엄하고 단정하였으며 도량이 넓었다. 덕행을 쌓고 부모에게 효성스러웠으며 친구에게는 신의가 있었다. 만년에 대산 이상정의 문하에 들어가서 고인들이 전하는 학문의 뜻을 터득하였다. 저서

  • 유치구 / 柳致球 [문학/한문학]

    은 막히는 것이 없었다고 한다. 그 뒤에 ()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깊이 배운 유건휴(柳建休)에게 배움을 청하는 글을 올렸다. 당시 유건휴를 가르쳤던 은 『퇴도서절요(退陶書節要)』10권을 쓰고 소퇴계(小退溪)라고 추앙받던 이상정(李象靖)의 뛰어난 제자였다

  • 괴애집 / 乖厓集 [종교·철학/유학]

    ()과 김대진(金岱鎭)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유형진(柳衡鎭)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28수, 소(疏) 4편, 계(啓) 12편, 사장(辭狀) 6편, 권2에 서(書) 69편, 권3에 잡저 7편, 제문 5편, 묘표 1편, 권4에 부록으로 사제문(賜祭文) 1편

  • 구고헌일고 / 九皐軒逸稿 [종교·철학/유학]

    2편, 권2에 잠 2편, 부록으로 행장·묘갈명·유사·애사 각 1편, 만사 9수, 제문 8편, 구고헌기 1편이 수록되어 있다.서(書)는 스승인 ()에게 『논어』에 나오는 ‘서(庶)’와 ‘가(加)’ 등에 대하여 문의한 것으로, 먼저 집주(集註)를 인용하여 원래의

  • 갈봉유고 / 葛峯遺稿 [종교·철학/유학]

    ()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권3에 시 567수, 권4에 서(書) 1편, 잡저 1편, 기 2편, 서(序) 2편, 발 2편, 제문 8편, 부록으로 만사 8편, 제문·행장·묘갈명·갈명후지(碣銘後誌)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