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의칭가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유의칭가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국장 발인 의식에 사용되는 가마. 국왕이나 왕비의 부장품을 실은 가마는 소궤채여(筲櫃彩輿), 자기궤채여(磁器櫃彩輿), 악기궤표신궤채여(樂器櫃標信櫃彩輿), 변두궤연갑함채여(籩豆櫃硯匣函彩輿), 유의칭가자(遺衣稱架子), 복완함궤장궤채여(服玩函几杖櫃彩輿), 증옥증백구의명정함...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유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죽은 사람이 입던 옷.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에 의하면 정조의 유의(遺衣) 8칭(稱)을 붉은 비단 보자기[紅禾紬袱]로 싸서 유의함(遺衣函)에 담고 다시 붉은 비단 보자기로 싸서 유의칭가자(遺衣稱架子)에 담았다. 반차도에서 유의칭가자는 그 배안상(排案床)인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장족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아(兒)자는 다리를 견고하게 하고 장식하기 위해 붙여졌던 작은 당초문 조각 장식을 나타낸다. 肩輿假家四間每高十三尺長十尺廣十八尺素錦褚同入香亭子一遺衣稱架子一香坐兒一長足兒一以上假家二間每間長十五尺高十尺廣九尺, (국장1681/034ㄴ11~035ㄱ01)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주제어사전(1)
-
유의칭가자 / 遺衣稱架子 [정치·법제]
국장 발인 의식에 사용되는 가마. 국왕이나 왕비의 부장품을 실은 가마는 소궤채여, 자기궤채여, 악기궤표신궤채여, 변두궤연갑함채여, 유의칭가자, 복완함궤장궤채여, 증옥증백구의명정함채여, 애책채여 등이다. 이 중 유의칭가자는 국왕이나 왕비가 평상시 입던 옷을 실은 가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