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의양” 에 대한 검색결과 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1)

사전(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계방(季方)ㆍ자장(子章), 호는 후송(後松). 성(宬)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승지 태명(泰明)이고, 아버지는 무(懋)이며, 어머니는 한중희(韓重熙)의 딸이다...
    이칭별칭 계방(季方), 자장(子章)| 후송(後松)
  • 남해문견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71년(영조 47)에 ()이 지은 유배기행록. [구성 및 형식] 1책. 국문필사본. 그의 나이 54세 때 남해로 귀양가서 6개월을 지내고 돌아와 이 글을 지었다. 표제는 한문으로만 되어 있고, 내제는 ‘남문견...
  • 시강원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84년(정조 8) 공조참판 ()이 왕명으로 편찬해 올린 책. [내용] 6권 6책. 필사본. 각 권의 분량은 80장 내외이며, 처음의 제목은 『춘방지(春坊志)』였다. 내용은 왕세자의 교육을 담당한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관...
  • 춘관통고(春官通考)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8563 문헌 춘관통고(春官通考) 춘관통고 春官通考 1788년경 ()이 왕명을 받아 예조(禮曹)에서 관장하는 모든 예제와 예무를 오례로 나누어 정리 편찬한 책. 96권 62책. 필사본. 예조에 소관되는 각종 예제와 연혁...
    유형분류문헌
  • 근대신어 : 관할구역(管轄區域)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3955 관할구역 가항 管轄區域 他種事보다比較的管轄區域이廣大者ㅣ니 다른 종류의 영사보다 비교적 관할구역이 넓은 것이니 石鎭衡 平時國際公法 미상 1907추정 343 행정
    출전平時國際公法[미상] | 계통분류 [정치경제] 행정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67)

  • 35731 B035731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7年 2月 17日_033 ○以承傳色口傳下敎曰, 鄭象仁·趙昌逵, 永刊仕版, , 爲庶民, 三人皆三倍道, 放逐南海縣, 趙榮進, 亟施削版之典。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5918 B035918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英祖實錄 五十一年(1775) 正月 영조실록_15101009_004 ○命平澤縣監兪漢章南海縣定配。 初因趙思忠之所陳, 命廉察, 多有黃口充丁, 故有是命。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5435 B035435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7年 2月 17日_033 ○以承傳色口傳下敎曰, 鄭象仁·趙昌逵, 永刊仕版, , 爲庶民, 三人皆三倍道, 放逐南海縣, 趙榮進, 亟施削版之典。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1019 B07101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卽位年 6月 17日_015 ○備忘記, 傳于申大升曰, 東萊府使金悌行, 予不知其何狀, 而雖以繡衣時事言之, 罷出云云之說, 至登前筵席。 先朝屢勤下詢, 畢竟褒啓, 此亦奉使不實之一段, 而在悌行廬隅, 宜思自處...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1022 B07102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卽位年 6月 17日_015 升曰, 東萊府使金悌行, 予不知其何狀, 而雖以繡衣時事言之, 罷出云云之說, 至登前筵席。 先朝屢勤下詢, 畢竟褒啓, 此亦奉使不實之一段, 而在悌行廬隅, 宜思自處之道。 尙今蹲冒,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

  • 여주 영릉 재실유적–여주 세종대왕박물관 건립예정부지 내 재실유적 발굴조사-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조선 정조 13년(1789)에 ()이 저술한 『춘관통고(春官通考)』를 통해 그 편린을 살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전사청, 제기고, 안향청, 재실(재방), 연지 등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의 기록이 18세기 말에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세종대...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재)기호문화재연구원/문화재청 세종대왕유적관리소 | 발굴지역경기도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8∼?). 대사간·공조참판·부총관 등을 지냈다. 집의 때 백관들의 안일함을 논핵하였다.《춘관지》·《영희전지》를 편찬,《동국문헌비고》수정,《국조오례의》를 보집하였다. 저서로《춘방지》·《춘관통고》가 있다.

  • 남해문견록 / 南海聞見錄 [문학/고전산문]

    1771년(영조 47)에 ()이 지은 유배기행록. 1책. 국문필사본. 주요내용으로는 노량나루와 이순신(李舜臣), 남해읍 마애비(磨崖碑), 친분 있는 유배객의 만남, 죄인으로 생활비를 마련하던 일, 금산(錦山)의 아름다운 경치, 남해섬에서 나는 물산(物産)

  • 북관노정록 / 北關路程錄 [문학/고전산문]

    1773년(영조 49)에 ()이 지은 기행수필. 필사본. 원래는 4권 4책이나 현재 전하고 있는 것은 제1권 1책이 결실된 제2∼4권의 3권 3책이다. 제2권에서는 북청읍(北靑邑)-단천읍(端川邑)-마천령(摩天嶺)-성진참(城津站)-길주읍(吉州邑)-명천읍(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