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의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4)
- 화계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유의건(柳宜健)의 시문집. [내용] 11권 5책. 목활자본. 현손 기택(基澤)‧기정(基靖)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홍양호(洪良浩)의 서문, 권말에 이종상(李鍾祥)‧최세학(崔世鶴)의 후지(後識)가 있다. 규장각
- 유의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87(숙종 13)∼1760(영조 36).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서산(瑞山). 자는 순겸(順兼), 호는 화계(花溪)ㆍ정묵재(靜默齋). 경주 출생. 아버지는 기서(起瑞)이며, 어머니는 학성이씨(鶴城李氏)이다. 큰아버지인 태서...이칭별칭 순겸(順兼)| 화계(花溪), 정묵재(靜默齋)
- 남경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48(영조 24)∼1812(순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중은(仲殷), 호는 치암(癡菴). 할아버지는 국선(國先)이고, 아버지는 용만(龍萬)이며, 어머니는 유의건(柳宜健)의 딸이다. [내...이칭별칭 중은(仲殷)| 치암(癡菴)
- 관란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곡서원묘우상량문(智谷書院廟宇上樑文)‧상향축문(常享祝文)‧도연서원묘우상량문(道淵書院廟宇上樑文)‧도연서원기(道淵書院記)‧구맹대시(鷗盟臺詩)‧명(銘)‧가(歌), 권3은 세계도‧향교통문(鄕校通文)‧도통문(道通文)‧본향통자인문(本鄕通慈仁文), 권4는 정존겸(鄭存謙)‧유의건(柳宜...
고서·고문서(10)
- 1756년 유의건(柳宜健)(최인기(崔仁基)) 처사월성최공행장(處士月城崔公行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전기-행장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행장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1717년 유사순(柳師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상주 우산 진주정씨 산수헌
- 故誤之判 【因其妻不順,向妻而擲刀,誤中繼母不死 ○嘉慶】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周菊用刀向擲,維時周菊之繼母張氏,由廂房出視喝阻,不期誤中,致傷項頸。雖事出無心,並非有意干犯,旣因鬪誤傷,仍應依子毆父母律斬決,周王氏不順其夫,致釀重案,本屬不合,業已砍傷,應免置議等因。太學士奏云:“誤中致傷,于子毆父母律,稍覺有間,周菊著改爲斬監候,赴入秋審辦理。” ○按 擬律似過。 27...권차명欽欽新書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주역대전:需卦_효사-상효-소상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같이 보는 것도 좋다. 【유의건(柳宜健) 「독역의의(讀易疑義)‧독역해조(讀易解嘲)‧독역관규(讀易管窺)」】 需上六象曰, 雖不當位. 수괘(需卦䷄)의 상육 「상전」에서 “비록 자리는 마땅하지 않으나”라 하였다. 按, 上爻在卦外, 故曰不當位, 如乾上九, 貴而无位之意....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최영진 교수)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5장(第五章)_9절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하여서 밝힌다” 『周易‧繫辭傳』:神而明之, 存乎其人고 하였는데, 신묘하게 되는 까닭은 음양이 서로 밀어서 변동하고 머물지 않아서 얕은 마음으로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다. 아래 글에서는 “음양의 뜻은 일월에 배합한다” 『周易‧繫辭傳』고 하였다. 【유의건(柳宜健) 「독...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주제어사전(2)
-
유의건 / 柳宜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687∼1760). 과거에 나가지 않고 화계에 서당을 짓고 경사·자집을 두루 섭렵하여, 특히 성력 및 역학에 밝아 제자가 점점 많아지자 그 집을 문회실·난실이라 이름하고, 육영과 저술에만 전념하여〈괘변의의 〉를 남겼다. 저서로는《화계집》8권이 있다
-
화계문집 / 花溪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유의건의 시문집. 11권 5책. 목활자본. 현손 기택·기정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홍양호의 서문, 권말에 이종상·최세학의 후지가 있다. 권1∼6은 시 806수, 권7은 시 17수, 가사 11편, 잠 2편, 명 5편, 찬 3편, 행장 2편, 상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