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응부” 에 대한 검색결과 1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5)

사전(94)

  • TD_L14_D_2688 인물 生無所庇, 宰相, 食無一肉, 絶粮, 妻子, 死之日, 死得奇禍, 揮涕 於陵 本傳 D_13_04_123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12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12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1638 인물 苫席遮戶, 宰相 於陵 仲子 本傳 D_10_01_94 대동운부군옥 10권 1장 9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1장 9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2297 인물 徐待鐵冷, 烙之刑, 顔色, 不變, 灼鐵, 不服 本傳 D_12_02_23 대동운부군옥 12권 2장 2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2장 2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0924 인물 衆中奮拳, 勇敢, 長槍, 大劒 韓某, 權某, 明澮, 擥 本傳 D_05_01_131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13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13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1000 인물 油火並煎, 闕庭, 灼鐵, 顔色不變 本傳 D_05_01_51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5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5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40)

  • 人事門9_室女寡婦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室女寡婦 古人, 七歲男女不同席, 蒙稚無知之時, 別嫌如此. 疑若太早, 然外內狎處, 因循習熟, 戱褻之間, 其漸不可遏也. 又寡婦之子, 非有見焉, 不與爲友, 此亦避嫌之過. 然人家帷薄有謗者, 必在寡婦與室女, 此皆無配之身故也. 其謗也, 不必有實迹可罪, 而稍見親昵, 人輒置疑...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人事門9_閻羅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勢位翕忽. 然其人何嘗得至此耶? 只緣遊魂所接, 其人已死, 無由驗其眞否. 故愚氓信惑, 眞有是事, 而儒紳者, 亦往往筆之於書, 可笑.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新撰初等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等이 上王의 位를 復코져ᄒᆞ다가 發覺된지라 上이 親히 鞫ᄒᆞ사 曰汝等이 엇지ᄒᆞ야 我를 叛ᄒᆞ나뇨 三問이 曰舊主를 復位코져ᄒᆞᆷ이라ᄒᆞᆫ대 上이 六臣을 戮ᄒᆞ시다
    서명新撰初等歷史 | 자료명本朝紀續第一課
  • 初等大韓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初等大韓歷史 卷一 初等大韓歷史_卷一 第四篇 現世 第一章 本朝 第二十五節 撰成寶鑑 정인호 1908 옥호서림 국회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世祖[諱瑈字粹之]元年에 成三問,,等六人이 被誅ᄒᆞ고 二...
    서명初等大韓歷史 | 자료명第四篇 現世 第一章 本朝 第二十五節 撰成寶鑑
  • 初等大韓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嬪을 삼고 朴世采ᄅᆞᆯ 擢ᄒᆞ야 爲相ᄒᆞ다 二十四年에 端宗大王과 王后,宋氏位號ᄅᆞᆯ 復ᄒᆞ시고 成三問과 朴彭年과 柳誠源과 河緯地와 李塏와 ,等六臣의 官을 復ᄒᆞ시다
    서명初等大韓歷史 | 자료명第四篇 現世 第一章 本朝 第八十三節 端宗,復位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유학]

    , 행동책은 로서, 이 세 사람이 한 일을 삼주역으로 부각시켰다.

  • 창절서원 / 彰節書院 [교육/교육]

    源)·하위지(河緯地)·() 등 사육신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사우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사우에는 박팽년·성삼문·이개·유성원·하위지· 등 사육신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매년 봄·가을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 낙빈서원 / 洛濱書院 [교육/교육]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 있는 서원. 1679년(숙종 5)에 정구(鄭逑)와 장현광(張顯光) 등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팽년(朴彭年)·성삼문(成三問)·이개(李塏)·유성원(柳誠源)·하위지(河緯地)·() 등 사육신의 절의를 추모하기 위해 사우

  • 사육신 / 死六臣 [역사/조선시대사]

    1456년(세조 2)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발각되어 죽은 6명의 신하. 박팽년·성삼문·이개·하위지·유성원· 등 여섯 사람을 말한다. 사육신 사건으로 김문기·박쟁·권자신·성승·윤영손·허조 등 많은 사람이 연루되어 참혹한 죽음을 당하였다. 그리고 세조는 이 사건

  • 청강시화 / 淸江詩話 [문학/한문학]

    은 조선 전기 인물들의 시와 시화를 일화형식으로 기술한 것이다. 모두 6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책에서 거론된 인물들은 김시습(金時習)·정인지(鄭麟趾)·()·남효온(南孝溫)·이승소(李承召)·박상(朴祥)·신광한(申光漢)·홍유손(洪裕孫)·이행(李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