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원위” 에 대한 검색결과 10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4)

사전(3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토관(土官)의 서반(西班) 위령조직(衛領組織). [내용] 종성‧온성‧부령‧경흥 도호부에 설치되었다. 토관은 동반과 서반으로 구분되며, 동반은 지방행정의 실무를 맡고 서반은 군사(軍事)를 맡았다. 이 조직에는 정...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흥도호부(慶興都護府), 부령도호부(富寧都護府), 온성도호부(穩城都護府), 종성도호부(鍾城都護府)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세종~? 윤훈표 세종 ? ...
    관련어경흥도호부(慶興都護府), 부령도호부(富寧都護府), 온성도호부(穩城都護府), 종성도호부(鍾城都護府)
  • 여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주목의 진강위(鎭江衛)에 1인, 회령도호부‧경원도호부의 회원위(懷遠衛)에 각 1인, 종성도호부‧온성도호부‧부령도호부‧경흥도호부의 ()에 각 1인, 강계도호부의 진포위(鎭浦衛)에 1인을 두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초기...
  • 여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鎭江衛)에 1인, 회령도호부‧경성도호부의 회원위(懷遠衛)에 각 1인, 종성도호부‧온성도호부‧부령도호부‧경흥도호부의 ()에 각 1인, 강계도호부의 진포위(鎭浦衛)에 1인 등을 각각 두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초기(朝鮮初...
  • 건신대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여과(勵果)가 있었는데, 그것은 영흥부의 진북위(鎭北衛), 평양부의 진서위(鎭西衛), 영변의 진변위(鎭邊衛), 경성의 진봉위(鎭封衛)에 각각 2인씩, 의주의 진강위(鎭江衛), 회령‧경원의 회원위(懷遠衛), 종성‧온성‧부령‧경흥의 (), 강계의 진포위(鎭浦衛)...

고서·고문서(63)

  • 36071 B036071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22年 12月 19日_005 ... 碧沙察訪, 李重溫爲泰陵參奉, 李禹鉉爲永興府使, 金翰東爲承旨, 三陟府使朴孝成, 甲山府使趙岐相換, 甲山府使朴孝成, 北靑府使宋翼孝相換, 以朴漢城庶尹, 金魯範爲典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6278 B036278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5年 12月 2日_013 ○以趙榮進爲大司憲, 嚴璘爲大司諫, 尹師國爲執義, 李壽勛爲司諫, 金養心爲掌令, 柳薰爲持平, 李翼運爲正言, 徐弼善, 徐簡修爲刑曹正郞, 成光默爲監察, 金遵爲南海縣令, 金東...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9458 B049458 덕적첨사 德積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30年 12月 28日_016 ○兵曹親臨都目政事, 以金振彩爲五衛將, 洪訓戎僉使, 鄭翬良爲都摠管, 李萬齡·吉仁和爲同知, 曺廷參爲德積僉使, 閔趾烈爲都摠經歷, 李敬懋爲訓鍊副正, 李景說爲宣傳官, 李彥熙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9326 B049326 덕적첨사 德積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哲宗 4年 4月 2日_014 ○兵批, 判書金學性進。 以李寅臯爲同知, 閔致文·李副摠管, 李南軾·沈永奎爲宣傳官, 李敏吾·沈安泰·金順根·金應泰爲五衛將, 鄭修赫·安在鉉爲景福將, 元厚植·趙東元爲慶熙將, 申錫求...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9422 B049422 덕적첨사 德積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30年 12月 28日_016 ○兵曹親臨都目政事, 以金振彩爲五衛將, 洪訓戎僉使, 鄭翬良爲都摠管, 李萬齡·吉仁和爲同知, 曺廷參爲德積僉使, 閔趾烈爲都摠經歷, 李敬懋爲訓鍊副正, 李景說爲宣傳官, 李彥熙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토관의 서반 위령조직. 종성·온성·부령·경흥 도호부에 설치되었다. 토관은 동반과 서반으로 구분되며, 동반은 지방행정의 실무를 맡고 서반은 군사를 맡았다. 이 조직에는 정6품 여과(勵果) 1인, 종6품 부여과 1인, 정7품 여정(勵正) 1인, 종7품 부여정 1

  • 부여과 / 副勵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종6품의 토관직. 영흥부의 진북위에 2인, 평양부의 진서위에 2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에 2인, 경성도호부의 진봉위에 2인, 의주목의 진강위에 1인, 회령도호부·경원도호부의 회원위에 1인, 종성도호부·온성도호부·부령도호부·경흥도호부의 에 1인,

  • 부여맹 / 副勵猛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종8품의 토관직. 영흥부의 진북위에 3인, 평양부의 진서위에 4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에 3인, 경성도호부의 진봉위에 3인, 의주목의 진강위에 3인, 회령도호부·경원도호부의 회원위에 3인, 종성도호부·온성도호부·부령도호부·경흥도호부의 에 2인,

  • 부여용 / 副勵勇 [정치·법제/법제·행정]

    에 5인, 강계도호부의 진포위에 5인을 두었다.

  • 부여정 / 副勵正 [정치·법제/법제·행정]

    에 1인, 강계도호부의 진포위에 1인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