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운룡” 에 대한 검색결과 5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5)

사전(2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39(중종 34)∼1601(선조 34).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응현(應見), 호는 겸암(謙菴). 아버지는 중영(仲郢)이며, 어머니는 안동김씨(安東金氏)로 진사 광수(光粹)의 딸이다. 성룡(成龍)의...
    이칭별칭 응견(應見)| 겸암(謙菴)
  • 하회겸암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 에 있는 조선 중기의 정사. [내용] 중요민속자료 제89호. 유성룡(柳成龍)의 맏형인 운룡(雲龍)이 1564년(명종 19)에 지었다고 한다. 위치는 하회마을 북쪽 화천(...
    이칭별칭겸암정사 | 연계항목하회겸암정사(河回謙菴精舍)
  • 화천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786년(정종 1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원지(柳元之)‧김윤안(金允安)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당시의 경내의...
  • 유중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응삼(應參)의 딸이며, 부인 영천이씨는 이현보(李賢輔)의 증손녀이다. 약관의 나이에 이황의 문하에 나아가 종질 ㆍ성룡과 함께 동문수학하였다. 이황에게 성인의 말씀가운데 일생토록 행할 만한 치심(治心)ㆍ행기(行己)의 요점을 질문하여 스승의 기대를 한 몸에...
    이칭별칭 경문(景文)| 파산(巴山)
  • 지주중류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구미시 오태동에 있는 비석. [내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67호. 1587년(선조 20)에 인동현감 ()이 고려말의 충신이며 삼은(三隱)의 한 사람인 야은(冶隱) 길재(吉再)의 높은 충절을 기리기 위하...
    연계항목지주중류비(砥柱中流碑)

고서·고문서(28)

  • 겸암(謙菴)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661년 () 동원록(洞員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1834년 시호서경완의(諡號署經完議)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완의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완의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양진당
  • 1834년 시호서경완의(諡號署經完議)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완의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완의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양진당
  • 1830년 추증교지(追贈敎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양진당

구술자료(1)

  • 이인 겸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가 끝나고 지난 번 조사 때에 제대로 녹음되지 않았던 겸암의 이야기를 청하였더니 다음을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0년 3월 20일(토) | 조사장소임실군 임실읍 신안리 485-1번지 정촌 마을회관 | 제보자한준석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539(중종 34)∼1601(선조 34).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중영, 어머니는 김광수의 딸이다. 성룡의 형으로 이황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내자시주부, 진보현감, 풍기군수, 원주목사를 역임하였다. 학문에서는 이기설이나 사칠논변은 이황의 이기이원론에 근거를

  • 안동화천서원 / 安東花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에 있는 서원. 경상북도 기념물 제163호. 1786년(정조 1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원지(柳元之)·김윤안(金允安)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당시의 경내의 건물로는 경덕사(景德祠)·강당·신

  • 겸암집 / 謙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43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4책. 목판본. 1743년(영조 19) 그의 6대손 유영민(柳永民)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광정(李光庭)·정종로(鄭宗魯)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응조(金應祖)와 후손 유원지(柳元之)의 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