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옥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3)
- 유옥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교(有屋轎)이다. 取考謄錄則嬪自闕內詣別宮時有屋轎軍二十名例以衛將所擧行矣己卯嘉禮時以司僕寺軍人靑衣靑, (가례1762/094ㄴ01~02)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옥교(屋轎)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5992 물품도구 옥교(屋轎) 옥교 屋轎 덮개가 있어 벽체와 지붕이 가려져 있는 가마. 유옥교(有屋轎) ‧ 옥교자(屋轎子) ‧ 승옥교(乘屋轎)라고도 하였다. 통신사행 때 주로 삼사신(三使臣)이 탔다. 1624년 통신사행 때 통...유형분류물품도구
- 諧謔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 吊客, 木工, 成均館, 釋奠, 飮福, 司諫院, 吏僕, 正言, 鍾樓, 香亭子, 有屋轎, 咨文點馬, 紅箭門, 統軍, 浮碧, 書員, 天使, 辯才, 掌樂正, 簡姓, 求隱, 坐叟, 安姓, 印法, 羅姓, 夜月堂, 方言, 女國, 甘蔕, 彩轎, 國王, 尊貴, 病髓竭, 嗜酒, 三器...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6권 1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1)
- 갑진(甲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云。 連接文殊山城別將所報, 則以爲: ‘逆䄄一行, 有屋轎子四, 草轎子一, 別坐魯元秋領率來到山城。’ 云。 罪[ 人島 ...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갑진(甲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77 B003077 갑진 甲津 군사교통 正祖實錄 十年(1786) 十二月 정조실록_11012030_004 ... 山城別將所報, 則以爲: ‘逆䄄一行, 有屋轎子四, 草轎子一, 別坐魯元秋領率來到山城。’ 云。 罪人島置, 何等嚴重? 而初無王府之公文, 又無都事之押送, 只令一內...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治裝,其衣服ㆍ鞍馬,竝因其舊,不可新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色,或別之以銅鐵】 抑所宜也。雖違衆,不可素也。 有屋轎ㆍ靑翼帳,乃大夫之物,堂下官不可僭也。先朝禁令至嚴,未有犯者,近復襲謬,大非禮也。車ㆍ服以庸,王者之大柄。《周禮》車有六等,服有六等,隨其命數,以別尊ㆍ卑。有屋轎ㆍ靑翼帳之限品設禁,亦此遺意,不可犯也。漢法,唯長吏二千石,得皁蓋ㆍ朱旛。黃霸爲揚...권차명牧民心書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宮室ㆍ車乘ㆍ衣服ㆍ器用,其僭侈踰制者,悉宜嚴禁。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五寸。裏衣亦以此,遞減其分寸。” ○今氓隷下賤,皆著道袍,大袖長裾,儼如朝官,布帛日貴,紀綱日頹,非細憂也。然非有朝令,牧不可如何也。宜以時諄諄然戒之。 《經國大典》云:“宗親妻ㆍ女,堂上官母ㆍ妻ㆍ女ㆍ婦,有蔭新婦外,用有屋轎子者,杖八十。” ○京城三法司,禁亂條件,有乘轎之目。故三醫司ㆍ譯官ㆍ觀象...권차명牧民心書 卷八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七月丙辰。 今上卽位于勤政門, 是日成服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受百官賀, 尊王妃爲王大妃, 大赦。 王大妃垂簾同聽政。 上旣卽位, 動遵禮法。 前王時, 內班長番宦官甚多, 上命減其半, 常閉戶黙坐, 不與宦寺接言, 朝野想望聖德之成就焉。 上之乳母乘有屋轎, 入闕, 見上有所干白, 上不悅, 聞其乘轎, 乃叱曰: “汝豈可遽乘有屋轎耶?” 命黜之。 乳母...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주제어사전(1)
-
유옥교 / 有屋轎 [생활/주생활]
왕비를 제외한 왕실 여성이 사용하는 지붕 있는 가마의 범칭. 왕실의 공주, 옹주 등 여성이 타는 지붕과 벽체가 있는 가마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말이다. 공주 및 옹주가 타고 다니는 가마는 덩이라 칭하기도 했다. 왕비의 혼례 및 책봉 이전에 사용하는 가마도 유옥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