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영립” 에 대한 검색결과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37(중종 32)∼1599(선조 32).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입지(立之). 헌(軒)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세구(世龜)이고, 아버지는 사인 감(堪)이며, 어머니는 창녕조씨(昌寧曺氏)로 동지돈녕부사(同...
    이칭별칭 입지(立之)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선조 최양규 이범직 2011 입지(立之) 양반 남자 1537년(중종 32) 159...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6448 인물 () 1537 1599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입지(立之). 임진왜란이 일어날 당시 함경감사(咸鏡監事)였는데 산 속으로 피신하였다가 가토 기요마사(...
    유형분류인물
  • 유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61(명종 16)∼1621(광해군 13).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유(子有), 호는 사호(沙湖). 세구(世龜)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감(堪)이고, 아버지는 관찰사 영립(永立)이며, 어머니는 이기(李夔...
    이칭별칭 자유(子有)| 사호(沙湖)
  • 최내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83(선조 16)∼1649(인조 27).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대(子大). 업(嶪)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수준(秀俊)이고, 아버지는 부사 기남(起南)이며, 어머니는 ()의 딸이다. 영의...
    이칭별칭 자대(子大)

고서·고문서(18)

  • 26073 B026073 곡포 曲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仁祖 6年 2月 16日_003 ○禁府, 圍籬罪人濟州 柳正立·朴自凝, 大靜 柳時立, 旌義 , 巨濟 柳命立, 南海曲浦 柳孝立, 平山浦 柳中立, 巨濟 知世浦 柳顯立, 熊川 朴自全, 南海 柳鼎立, 彌助項 朴自天,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6075 B026075 곡포 曲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仁祖 6年 2月 16日_003 ○禁府, 圍籬罪人濟州 柳正立·朴自凝, 大靜 柳時立, 旌義 , 巨濟 柳命立, 南海曲浦 柳孝立, 平山浦 柳中立, 巨濟 知世浦 柳顯立, 熊川 朴自全, 南海 柳鼎立, 彌助項 朴自天,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2837 B042837 대정 大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6年 2月 16日_003 ○禁府, 圍籬罪人濟州 柳正立·朴自凝, 大靜 柳時立, 旌義 , 巨濟 柳命立, 南海曲浦 柳孝立, 平山浦 柳中立, 巨濟 知世浦 柳顯立, 熊川 朴自全, 南海 柳鼎立, 彌助項 朴自天,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2847 B042847 대정 大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6年 2月 16日_003 ○禁府, 圍籬罪人濟州 柳正立·朴自凝, 大靜 柳時立, 旌義 , 巨濟 柳命立, 南海曲浦 柳孝立, 平山浦 柳中立, 巨濟 知世浦 柳顯立, 熊川 朴自全, 南海 柳鼎立, 彌助項 朴自天,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縣監任堂, 伊川縣監崔孝述, 鎭安縣監李義徵, 豐基郡守, 戶曹佐郞洪受疇, 活人別提趙重鼎, 郭山郡守金世紀, 德山縣監鄭世杓, 黃澗縣監李世亨, 坡州牧使鄭載岱, 報恩縣監嚴纘, 昆陽郡守崔元泰, 巨濟縣令白如圭, 咸平縣監南弼星, 兵曹佐郞李后定, 丑山萬戶崔柏, 奉常判官柳時蕃, 敦寧...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623년(인조 1)∼1686년(숙종 12).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유형, 조부는 유란. 부친 유인무와 모친 광주안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7형제가 있다. 부인은 홍문관교리 나이준의 딸이다. 1663년(현종 4) 식년시 병과 12위로 급제하였다. 태학관박사·장흥고주부

  • 최명길 / 崔鳴吉 [종교·철학/유학]

    1586(선조 19)∼1647(인조 25). 조선 후기의 문신. 업 증손, 할아버지는 수준, 아버지는 기남이다. 어머니는 의 딸이다. 이항복 문하에서 이시백·장유 등과 함께 수학한 바 있다. 이조판서, 우의정,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지천집≫ 19권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