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08)
사전(58)
- 유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目)』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청선고(淸選考)』 유엄(1692-?) 1692(숙종 18)∼? . 조선 후기의...이칭별칭 사숙(思叔)| 성암(省庵)| 혜정(惠靖)
- 최유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239(고종 26)∼1331(충혜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충(冲)의 후손으로, 평장사(平章事) 자(滋)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270년(원종 11) 정조사(正朝使...이칭별칭 충헌(忠憲)
- 崔有渰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549 崔有渰 인물 恬退, 贊成事, 陪臣, 賢者, 應命, 世祿, 奴婢, 歷事, 四朝, 政丞 海州 太師滋, 忠烈王, 元帝, 忠憲 D_12_07_23 대동운부군옥 12권 7장 2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7장 2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崔有渰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972 崔有渰 인물 不求名譽, 恬退 麗史 D_13_06_31 대동운부군옥 13권 6장 3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6장 3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崔有渰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074 崔有渰 인물 歷事四朝 麗史 D_11_07_09 대동운부군옥 11권 7장 9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7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문집해제 17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저자 : 권진호(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이욱(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이상호(한국국학진흥... | 출판사 : 성심출판사 | 출판일 : 2010.06.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省吾堂集 晩翠逸稿 炊沙集 遜愚集 楡巖集 滄洲集 訥軒集 白隱集 梧山集 沙川集
고서·고문서(547)
- 유암집(楡巖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唐田游巖謝奉天營宮之日,不毁舊宅,牓其門曰隱士田游巖宅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40_0030 唐田游巖謝奉天營宮之日,不毁舊宅,牓其門曰隱士田游巖宅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飯後卒襲,唯掩ㆍ瑱ㆍ幎ㆍ握ㆍ屨。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970 喪儀節要 卷一 ITKC_MP_0597A_0970_030_0090 飯後卒襲,唯掩ㆍ瑱ㆍ幎ㆍ握ㆍ屨。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권차명喪儀節要 卷一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전유암산가서(田遊巖山家序)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금석문 | 형식분류고서-금석문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具滋亨을 流巖壇所 有司로 임명하는 망기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4249 2566_01 具滋亨을 流巖壇所 有司로 임명하는 망기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구봉령 종가, 사회관계, 공동체생활, 증빙류, 망기 한자 고문서 KBR123.JPG 具滋亨을 流巖壇所 有司로 임명하는 망기 망기 流巖壇...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신문·잡지(1)
- 연변조선족자치주공보_1960_02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67 延边朝鲜族自治州人民委員会关干轉发省人委关干油脂工业归口管理批复及我州对油厂接交事項的通知 267 中共吉林省委, 吉林省民委員会关干农村挂鋤期間...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60
기타자료(1)
- 최유암;崔柔巖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3825 북한 평남 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3-10 正義 창간호 1934―03―08 139면 1. 동창회원록;5) 제5회 졸업생 1927년도 합계 38명 최유암;崔柔巖 평양부 대찰리 2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유엄 / 柳儼 [역사/조선시대사]
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장운 증손, 할아버지는 관, 아버지는 정진, 어머니는 박태정의 딸이다. 1723년(경종 3)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에 정언이 되었다. 영조가 즉위하자 지평으로 등용되어 정언과 지평을 번갈아 하였다. 1728년(영조
-
유암집 / 楡巖集 [종교·철학/유학]
배유장의 시문집. 목활자본, 서:권연하(1883) 발:송석(1888), 3권1책. 권수에 권연하(1813~1896)의 서문, 권미에 송석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88제 90수의 시와 6통의 편지를 비롯하여 서 3, 기 2, 발 3, 상량문 2, 제문 9이 실려 있다.
-
순암집 / 順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병성의 시문집. 6권 3책. 활자본. 형 병연과 아들 도중이 수집한 것을 1741년(영조 17) 이질인 유엄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어유봉과 윤봉조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유수·유엄·유최기의 발문이 있다. 권1∼4에 시 718수, 권5·6에
-
신식 / 申湜 [종교·철학/유학]
1551(명종 6)∼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신숙주의 5대손, 광윤 증손, 할아버지는 서, 아버지는 중엄, 어머니는 유엄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76년(선조 9)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충청도관찰사, 동지중추부사, 강원도관차사 등을 역
-
동해1호터널 / 東海一號─ [경제·산업/교통]
m로 구성되어 있다. 방수처리를 위한 라이닝의 두께는 600㎜와 400㎜로 나누어 시공하였다. 두께 600㎜로 타설한 구간은 미분류암층(未分類巖層) 및 약한 지층인 경우와 터널입구의 보강구간(補强區間)에 적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400㎜로 타설한 구간은 경암층인 경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