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언호” 에 대한 검색결과 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3)

사전(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忠文)이다. 英祖實錄 正祖實錄 純祖實錄 國朝榜目 明義錄 恩坡散稿 영정 1730(영조 6)-1796(정조 20). 조선 후기의...
    이칭별칭 사경(士京)| 칙지헌(則止軒)| 충문(忠文)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6445 인물 () 1706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자용(子容). 1742년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을 제수받고, 이후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지냈다. 17...
    유형분류인물
  • 유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4(숙종 40)∼1783(정조 7).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사호(士鎬), 호는 대재(大齋). 아버지는 한성부우윤 직기(直基)이며, 어머니는 좌참찬 김유경(金有慶)의 딸이다. 정조 때 영돈녕부사에 오르...
    이칭별칭 사호(士鎬)| 대재(大齋)
  • 김익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판중추부사 ()의 방면을 상소하였다가 순흥부사로 좌천되었다. 당시는 소론과 노론의 파쟁이 심하였던 때였으므로 이들의 행위도 정쟁의 한 결과였다. 즉, 는 1736년(영조 12)에 서원을 불법적으로 많이 설치되는 폐단을 상소하였다가 노론의 탄핵을...
    이칭별칭 형보(衡甫)
  • 무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광이 하늘에 뻗쳤으며, 사리 1과를 얻어 부도를 세워 안치하였다. 이듬해 규장각제학(奎章閣提學) ()의 글을 받아 신흥사에 비를 세웠다. 저서로는 『대원당문집(大圓堂文集)』 1권이 있다. 『건봉사본말사지(乾鳳寺本末寺誌)』...
    이칭별칭 대원(大圓)

고서·고문서(72)

  • 치제문(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1764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764년 12월 20일에 가 양응수에게 보낸 서간으로,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임지에서 감기로 고생하고 있다고 소식을 전하고 있다. 또한 달력과 두 통의 편지를 보낸다고 하였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전주 송천 남원양씨가
  • 1766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766년 12월 2일에 가 양응수에게 보낸 서간으로,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심신이 모두 피곤하여 거의 하루도 편할 날이 없으며 교정을 보는 고생으로 편지 쓸 겨를도 없었다고 하였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전주 송천 남원양씨가
  • 상 입관일 치제문(喪入棺日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46275 B046275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12年 12月 5日_028 ○趙衍德, 以義禁府言啓曰, 罪人, 絶島圍籬安置事, 命下矣。 罪人, 全羅道濟州牧大靜縣, 圍籬安置, 而以承傳內辭意, 具罪目, 卽爲發遣府都事, 押送配所, 與地方官, 眼同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0∼1796). 1761년(영조 37)에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두루 역임하였다. 정조 등극 후에는《명의록》 편찬을 담당하였으며, 정조의 탕평책에 옹호하였다. 문학으로 이름이 있었으며, 외유내강의 인물로서 평가된다. 저서로《칙지헌집》이

  • 연호궁상시죽책문 / 延祜宮上諡竹冊文 [역사/조선시대사]

    책문 제술관 , 서사관 김익, 은인전문서사관 황인점에게 상을 내리도록 전교했다는 기록이 있어 이들이 죽책문의 제작에 참여했음을 추측케 한다. 또한 의 문집 ≪연석(燕石)≫ 책4에 이 책문이 <연호궁상시죽책문>이라는 이름으로 실려 있다.

  • 남해문견록 / 南海聞見錄 [문학/고전산문]

    , 남해도민들의 생활습속, 효자 이성삼의 이야기, 열녀 김연대의 이야기, 남해지방 토속어, 여거사(女居士)들의 폐단, 현지의 교리(校理) ()와 지낸 일, 본토남자들이 본가를 버리고 이 섬에 와서 현지 여자들과 새살림을 차리는 나쁜 풍습에 관한 이야기, 하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