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양잡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7)
사전(105)
- 유양잡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단성식(段成式, ?-863)이 지은 중국 당(唐)나라 때의 수필집.정의단성식(段成式, ?-863)이 지은 중국 당(唐)나라 때의 수필집.[두산백과] | 문광부표기Yuyang japjo | MR표기Yuyang chapch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五月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9_J_0045 五月 언어 上屋, 人蛻, 見影, 魂當去 酉陽雜俎 J_16_01_02 지봉유설 16권 1장 2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6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精衛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R1_S_0090 精衛 동물 木石, 燕, 烏, 鬼魅 唐貞元 四海, 漢, 藍田, 烏城 臨江王, 田緖, 李納 漢書, 酉陽雜爼 S_06_01_75 성호사설 6권 1장 75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6권 1장 7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食忌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O0_O_0003 食忌 음식 기타 殺人, 黃精, 萎㽔, 梅實, 同食, 殺人, 大毒, 害人, 誤食, 中毒, 多食 酉陽雜俎 O_08_13_02 오주연문장전산고 8권 13장 2절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8권 13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目瞤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9_J_0043 目瞤 언어 鵲巢, 上梁, 必貴, 下頤, 癢搔, 異味, 酒食, 燈火, 錢財, 瞤, 瞬 酉陽雜俎, 西京雜記 J_16_01_02 지봉유설 16권 1장 2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6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32)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4280 B034280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太平廣記 卷第四百七 草木二 _ 桄榔樹 古南海縣有桄榔樹,峰頭生葉,有面。大者出面,乃至百斛。以牛乳啖之,甚美。(出《酉陽雜俎》)古代南海縣有一種桄榔樹,最頂上生葉。樹葉上有面。一棵大一點的桄榔樹,出的面可達一百斛。這面和牛奶一起吃,特別好吃...출처전거太平廣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4281 B034281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太平廣記 卷第四百七 草木二 _ 桄榔樹 古南海縣有桄榔樹,峰頭生葉,有面。大者出面,乃至百斛。以牛乳啖之,甚美。(出《酉陽雜俎》)古代南海縣有一種桄榔樹,最頂上生葉。樹葉上有面。一棵大一點的桄榔樹,出的面可達一百斛。這面和牛奶一起吃,特別好吃...출처전거太平廣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계신잡식_癸辛雜識 前集 松五粒 凡松葉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739 중국 필기 계신잡식 001 기타 癸辛雜識 前集 松五粒 凡松葉皆雙股 故世以爲松釵 獨栝松毎穗三鬚 而髙麗所産毎穗乃五鬛焉今所謂華山松是也 李賀有五粒小松歌陸龜蒙詩云松齋一夜懷貞白霜外空聞五粒風李義山詩松暄翠粒新劉夢得詩翠粒㸃晴露皆以粒言松也 酉陽雜俎云국가중국 | 서명계신잡식 | 왕대기타
- 송패유초_宋稗類鈔35 草木 凡松葉皆雙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言松也 酉陽雜俎云 五粒者 當言鬛 自有一種名五粒 皮無鱗而結實多 新羅所種云 然則所謂粒者鬛也 [凡欲松偃葢 栽時當去松中大根 惟留四傍鬚根 則無不偃葢] 외교일반, 5대ㆍ송, 외국정세,국가중국 | 서명송패유초 | 왕대기타
- 거오(車螯)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吻外緘,非金人之愼。不榮不悴,曾草木之不若;無馨無臭,與瓦礫而何異。故宜長充庖廚,永爲口實。(出《酉陽雜俎》) 何胤在飮食上非常奢侈,每次吃飯都必須擺上極爲豐盛的菜肴。后來,稍稍節儉一點,還是經常吃白魚 ...출처전거太平廣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5)
-
유양잡조 / 酉陽雜俎 [언론·출판]
저자 단성식(803-863). 필사본. <유양잡조>는 20권 4책이며, 각 책은 원, 형, 리, 정으로 분권되어 있다. 원책에는 권1-5, 형책에는 권6-12, 리책에는 권13-16, 정책에는 권17-20으로 편재되어 있다. <당단소경유양잡조>도 속집이 없는 20권
-
방이설화 / [문학/구비문학]
착한 방이는 보물 방망이를 얻어 잘되고, 악한 동생은 형을 본뜨다 망했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응보담(應報譚)과 주보담(呪寶譚)에 속한다. 9세기 중국 문헌인 단성식(段成式)의 『유양잡조(酉陽雜俎)』에 신라의 이야기로 소개되어 전하며, 그 뒤 『유양잡조
-
변씨열행 / 卞氏烈行 [문학/고전산문]
여귀에게 곤혹을 당하자 도사의 파리채가 요술을 부린다. 왕생이 악귀에게 죽자 악귀는 다시 도사에게 보복을 당한다. 왕생을 살려내기 위한 변씨의 열행은 극진하며, 악귀가 연기로 변하고 조화의 파리채로 악귀를 쫓는 것은 『수신기(搜神記)』나 『유양잡조(酉陽雜俎)』속의 많은
-
청개구리설화 / 靑─說話 [문학/구비문학]
청개구리가 비가 올 때면 우는 이유를 설명한 설화. 동물담(動物譚) 중 유래담(由來譚)에 속한다. 중국 당나라 이석(李石)의 『속박물지(續博物志)』 권9, 은성식(殷成式)의 『유양잡조속집(酉陽雜俎續集)』 권4, 10세기말 송나라 때에 나온 『태평광기(太平廣記)』 권3
-
가지 / 茄子 [과학/식물]
가짓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원산지는 인도로 추정되며 우리나라에는 중국을 통하여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해동역사』에는 당나라 때의 문헌인 『유양잡조』와 송나라 때의 문헌인 『본초연의』를 인용하여, 신라에서 재배되는 가지는 꼭지가 길쭉하고 끝은 달걀모양인데, 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