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심춘” 에 대한 검색결과 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1)

사전(3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62(영조 38)∼1834(순조 34).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상원(象遠), 호는 강고(江皐). 유성룡(柳成龍)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광수(光洙)이다. 큰아버지 발(潑)에게 입양되었다. ...
    이칭별칭 상원(象元)| 강고(江皐)
  • 과성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과거 합격 소식. 科聲想非久有聞 果誰爲之也, (), 32-16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소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잠시 동안 외출함. 頃於三孫便 伏承下覆書 其歸也 適値小出 未爲上書, (), 32-16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시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돌림병. 外甥自虎坪還 侍.數日 而親候常在沈淹中 籬底有時氣之慮 奉避數旬 幸得還, (), 32-16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도암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북도 장수군 장계면 송천리에 있는 서원. [내용] 1815년(순조 15)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경광(李絅光)‧이성구(李聖求)‧()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사우(祠宇)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

고서·고문서(32)

주제어사전(19)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62-1834). 학행으로 천거되어 세자익위사익찬을 거쳐 익위가 되었다. 1830년(순조 30) 왕의 하교로 3대가 과거에 급제한 것을 치하하고 도정에 임명하였고, 1854년(철종 4) 통정대부에 올랐다.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시문에도 능하였

  • 조목수 / 趙沐洙 [종교·철학/유학]

    1736년(영조 12)∼1807년(순조 7). 조선 후기 유학자. 시문집으로 문인 과 아들 조술지가 편찬하고 간행한 10권 5책의《구당선생문집》이 전한다. 문집은 시·가·서·사적·제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박재집 / 璞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 김뉴의 시문집. 5권 4책. 목활자본. 권두에 의 서문이 있다. 권1∼4에 시 396수, 권5에 서 3편, 제문 7편, 행장 2편, 묘지명 1편, 발문 4편, 잡저 3편이 실려 있고, 부록에 저자의 묘갈명 및 신천서원과 이양서원의 봉안문·상량문

  • 옥계유고 / 玉溪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강봉문의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손자 주복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야순의 서문, 권말에 ·박시원·유상조의 발문이 있다.권1에 시 5수, 서 2편, 기 1편, 제문 8편, 권2에 부록으로 행장 1편, 묘갈명·묘지명 각 1편, 제문

  • 이시수 / 李蓍秀 [종교·철학/유학]

    1790년(정조 14) 7월 15일∼1849년(헌종 15).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이헌복, 조부는 이홍저. 부친 이주령과 모친 권학도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정윤희의 딸이다. 종조숙부 이종휴의 문하에서 배웠다. · 이인행·유휘문 등과 교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