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식” 에 대한 검색결과 2,08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57)

사전(334)

  • 아재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필사본. 이 책은 1899년(광무 3) 증손 창수(昌秀)와 현손 병묵(炳默)ㆍ신묵(愼默) 등이 필사하였다. 권두에 기우만(奇宇萬)의 서문과 권말에 변시연(邊時淵)의 발문이 있...
  • 근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권두에 전윤석(全胤錫)의 서문과 권말에 이언형(李彦馨)‧이병철(李炳喆)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7권 4책. 목판본. 영남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
  • 유윤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89(성종 20)∼?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선숙(善叔). 말손(末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계동(季潼)이고, 아버지는 식(軾)이다. 1509년(중종 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512년 사간원정...
    이칭별칭 선숙(善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화중(和仲). 빈(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의손(義孫)이고, 아버지는 장령(掌令) 계동(季潼)이며, 어머니는 정숙정(鄭淑精)의 딸이다. 1507년...
    이칭별칭 화중(和仲)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86(선조 19)∼1650(효종 1).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자경(子敬), 호는 덕곡(德谷). 아버지는 예빈시주부(禮賓寺主簿) 원영(元英)이며, 어머니는 현풍곽씨(玄風郭氏)로 진사 림(琳)의 딸이...
    이칭별칭 자경(子敬)| 덕곡(德谷)

고서·고문서(1,193)

  •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ws_00092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五 祭禮_時祭 이익(李瀷, 1681~1763) DRAC_5:2:1:14Q “”條, 以“如食間”《註》“一食 食: 《예설유편》에는 ‘飯’으로 되어 있다. 《儀禮注疏》ㆍ《星湖全集》에 따라 바로잡...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980 喪儀節要 卷二 ITKC_MP_0597A_0980_040_0080 乃。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
    권차명喪儀節要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sl_00084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四 喪禮_虞祭 說 이익(李瀷, 1681~1763) 說 DRAC_4:1:6:11 謹按, 《家禮ㆍ虞祭》條“執事者, 斟酒而不拜”, 無扱匙正筯之文. 《時祭》條“主人斟酒, 主婦扱匙正筯”, 《墓...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之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ws_00117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五 祭禮_時祭 之義 之義 이익(李瀷, 1681~1763) DRAC_5:2:1:39Q “”條, 來諭似然, 而猶未釋然. 所引“饋食”文, 亦未曉得. 蓋今之祭, 與祭尸者多不同, 且饋食, 食道也. 如尸...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物(옹물)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物, 紙裹而簏藏. 不啻深密, 却有黑小蟲透入. 翁曰: “苟其欲, 無所不入, 防之無術. 小人之陰伺逞志, 似矣.”
    서명관물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10)

  • 한 며느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설화를 마치고, 제보자가 이런 이야기도 할까 하면서 조사자의 의향을 떠 보려고 했다. 조사자가 어떠한 이야기라도 좋으니 해 보시고 권하자, 한시(漢詩)가 이야기 속에 낀 이 설화를 구술했다. 제보자는 이런 류의 사랑방 이야기를 즐겨 구술하려고 했다. 이야기 도중...
    조사일시1982-01-09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 제보자남길우
  • 한 며느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설화 28의 내용과 유사한 이것을, 앞 이야기가 끝나자 자청하여 시작하였다. *
    조사일시1980-08-10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군 사봉면 | 제보자심을순
  • 한 며느리 길들이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앞 설화에 이어서 구술했다.*
    조사일시1982-01-09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 제보자남길우
  • 무식한 형과 한 동생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지체 높은 사람을 골려주는 이야기에 이어서, 유식한 사람을 골려주는 이야기를 하나 했다. 같은 주제의 이야기가 계속되는 셈이다. 좌중의 웃음도 계속되었다. 피곤한 사람은 누워서 듣기도 했다. 이제 밤이 어지간히 깊었다. *
    조사일시1978-10-08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내남면 용장1리 | 제보자김경달
  • 무식한 사돈과 한 사돈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른 사람은 이야기를 하겠다고 나설 틈이 없다. 김경달씨가 계속해서 같은 주제의 이야기를 생각해 냈다. 그런데, 이 이야기가 끝난 뒤에는 밤이 너무 깊었으므로, 조사자 일행은 숙소로 돌아왔다. 이로써 내남면에서의 답사를 마쳤다. *
    조사일시1978-10-08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내남면 용장1리 | 제보자김경달

기초학문(53)

  • 현륭의 사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4
    63231 한국연구재단 불교학연구회 2014 현륭의 사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오중관(五重觀)에 대한 고찰- 법상의 핵심교리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재용, 게재일 : 2016
    17827 박재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불교문화연구원 2016 오중관(五重觀)에 대한 고찰- 법상의 핵심교리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圓測의 學에 대한 혜초의 비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영근, 게재일 : 2002
    07725 정영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태동고전연구소 2002 圓測의 學에 대한 혜초의 비판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조선시대 정자건축의 공간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상협, 게재일 : 2009
    43547 김상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건축학회 2009 조선시대 정자건축의 공간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학파의 중도 개념 재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수영, 게재일 : 2017
    63844 남수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도철학회 2017 학파의 중도 개념 재검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424)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금일벽에 월식이되엿더라
    게재일1902년 4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오후다셧시에 일식엿더라
    게재일1902년 11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日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음력 구월 십륙일에 월식이 될터인 젼역에 이 도들에 월식이 되고로 보기가 어렵다하고 음력 십월 초일일은 일식이 될터이라더라
    게재일1901년 6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결(決) 결 유통서지 決 3 勝莊 增補諸宗章疏 동아시아 한국불교사료-일본문헌편(김영태 엮음, 서울: 동...
    대표표제어유식결(唯識決) | 대표서명唯識決 | 한글서명유식결 | 서지형태유통서지
  •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결택(決擇) 決擇 결택 유통서지 決擇 1 太賢 增補諸宗章疏 동아시아 한국불교사료-일본문헌편(김영태 엮음,
    대표표제어유식결택(唯識決擇) | 대표서명唯識決擇 | 한글서명유식결택 | 서지형태유통서지

멀티미디어(1)

  • 삼국 통일신라의 불교인물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 동국대학교]
    효 7주차. 해동화엄의 개조, 의상 8주차. 동아시아 학자, 원측과 태현 9주차. 점찰과 풍수, 진표와 도선 10주차. 기록상의 비구니와여성불자 고영섭 소속│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학력│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철학박사 전공분야│한국불교, 동아시아불교 htt

기타자료(42)

  • ;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1671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창간호 1933―06―25 104면 정;鄭 평북 철산군 鐵山面 東部洞 213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2207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20면 정;鄭 평북 철산군 鐵山面 東部洞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7127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6면 렬;烈 경성부 寬勳町 197-9 1920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4880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5면 렬;烈 경성부 寬勳洞 197-9 1920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6936 남한 경성 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 1-22 曉 제1호 1926―12―15 165면 본과생 신;申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8)

  • / [종교·철학/유학]

    1755년(영조 31)∼1822년(순조 22). 조선 후기 학자. 부친은 유승원, 생부 유필원과 생모 김이형의 딸 사이에서 2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유환이 있다. 입재 정종로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90년(정조 14) 증광시 진사 2등 18위로 합격하였으나

  • / 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688∼1768). 아버지는 후갑, 어머니는 김담령의 딸이다. 1726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정자를 제수 받고, 사정·전적·사헌부감찰·이조좌랑 등을 거쳐서 무안현감·영양현감을 역임하였으며, 1762년 통정대부로서 호군이 되었다. 관직에서 물

  • 간정성론단과 / 刊定成論單科 [종교·철학/불교]

    고려전기 승려 의천이 『성론』의 과문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원래 3권이었으나 현재는 서문만 전한다. 해인사에서 간행된 목판본 서문에 따르면,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과 『성론(成論)』의 두 논서는 각각 성종(性宗)과 상종(相宗)의 대표적 논서이지만

  • 년사마방목 / 乙年司馬榜目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정법류(政法類) 편자미상, 금속활자본(임진자), 불분권 1책(32장). 표제는 을유사마방목(乙酉司馬榜目)이다. 1765년(영조 41) 설행된 생원, 진사시 합격자 명단이다.

  • 광석본모송 / 廣釋本母頌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태현이 인도 학자 호법의 『성론』을 해석한 불교서.불교주석서. 현재 산실되어 전하지 않지만, 전체 3권으로 구성된 책이다. 현존하는 태현의 유일한 저작인 『성론학기(成論學記)』에 일부 내용이 인용되어 있다.『광석본모송(廣釋本母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