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유숭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
사전(39)
- 유숭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52(문종 2)∼1513(중종 8).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완산(完山). 자는 종효(宗孝), 호는 진일재(眞一齋). 이조판서 빈(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경손(敬孫)이고, 아버지는 서령 지성(之盛)이며, 어머니는 권득...이칭별칭 종효(宗孝)| 진일재(眞一齋)| 문목(文穆)
- 柳崇祖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623 柳崇祖 인물 登第, 同知成均館事, 精通, 經學, 誨人, 陵儀, 立主, 訃聞, 王諡, 古證, 合禮, 傅會, 不經, 請, 罷職 全州, 上國 宗孝, 眞一齋, 燕山, 柳子光, 李繼孟 D_10_01_83 대동운부군옥 10권...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1장 8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柳崇祖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S_0306 柳崇祖 인물 丁卯 上國 燕山, 柳參議崇祖, 太甲, 幽厲, 前王, 柳子光, 柳眉庵, 沈貞, 金克成, 南衮, 趙光祖, 李長吉, 朴元宗, 盧公弼, 柳子光, 沈貞 S_25_01_106 성호사설 25권 1장 106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5권 1장 10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불선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이만 줄임. 餘適有客擾 不宣 伏惟崇照 拜謝狀上, 김성탁(金聖鐸), 44-50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숭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헤아림. ‘숭(崇)’은 상대방을 높이는 말. 不宣 伏惟崇照謹謝狀上, 이천보(李天輔), 06-66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2)
- 經史門8_柳崇祖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柳崇祖 燕山之廢, 上欲別送衣物, 大臣啓曰: “臣等, 大義已絶, 不敢向心, 使僅免饑寒, 足矣.” 及其葬也, 命以厚禮, 又啓曰: “不可停朝市、定墓直.” 向爲君臣, 雖使失德而廢, 何至若此薄耶? 是可忍, 孰不可忍? 柳參議 崇祖之疏曰: “太甲未悛而崩, 則喪葬之禮, 當何以處之?...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篇八]論史門五_柳崇祖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柳崇祖 燕山之廢, 上欲別送衣物, 大臣啓曰: “臣等, 大義已絶, 不敢向心, 使僅免飢寒, 足矣.” 及其葬也, 命以厚禮, 又啓曰: “不可停朝市、定墓直.” 向爲君臣, 雖使失德而廢, 何至若 若: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없다. 此薄耶? 是可忍 忍: 미의회도서관본ㆍ아단문고본(...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진일재선생유집 (眞一齋先生遺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성리연원촬요(性理淵源撮要)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김일주가 한원진가에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筵 忙忙徑歸云此事歸虛且無論 自家去就恐未免顚遽之歸歎 如之何 豈精義有存而愚見有所未到耶 要之所商者姑徐以待日後之會 更無長策也 奈何奈何 允友不知見留何處 久喫旅酸亦無期 故頃勸其從近復路 未知竟作如何計也家兄近信連安只是艱食去愈甚 而無可救之策 實爲悶迫 奈何 餘非信楮可悉 不備伏惟崇照 丁巳...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7)
-
유숭조 / 柳崇祖 [종교·철학/유학]
1452(문종 2)∼1513(중종 8). 조선 중기의 문신. 빈 증손, 할아버지는 경손, 아버지는 지성, 어머니는 권득의 딸이다. 1489년(성종 20)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교서관정자에 발탁되고 사유록에 들었다. 그 뒤 공조참의, 경연관, 성균관대사성, 동지중추
-
송천서원 / 松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해저리에 있던 서원. 1823년(순조 23)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숭조(柳崇祖)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1년 (고종 8)에 훼철되어 복원
-
신종옥 / 申從沃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관리. 조부는 신숙주, 부친은 신주이다. 관직은 파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헌납 경세창 또한 문제를 삼았지만 임금이 들어주지 않았다. 이후에도 장령 유숭조‧유희철과 정언 서후가 관직을 주는 것이 합당하지 못하다고 재차 아뢰었으나, 모두 들어
-
용고서원 / 龍皐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원동에 있는 서원. 1795년(정조 1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의손(柳義孫)·유분(柳坋)·유숭조(柳崇祖)·유헌(柳軒)·송진문(宋振門)·이익렬(李翊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
칠서언해 / 七書諺解 [언어/언어/문자]
지 못하였고, 성종 때도 유숭조(柳崇祖)가 구결(口訣) 또는 토(吐)만을 달아놓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