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순정” 에 대한 검색결과 1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3)

사전(52)

  • TD_L7_D_0429 남자 人名, 魁科, 決策, 靖國, 領議政 晉州 智翁, 我成廟, 燕山, 成希顔, 朴元宗, 文定 D_07_02_43 대동운부군옥 7권 2장 4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2장 4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國朝榜目 海東名臣錄 國朝人物考 虛庵遺集 燃藜室記述 海東雜錄 영정 1459(세조 5)∼1512(중종 7). 조...
    이칭별칭 지옹(智翁)| 문정(文定)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6437 인물 () 1459 151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지옹(智翁), 호는 청천(菁川).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1487년 진사로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유형분류인물
  • 유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83(성종 14)∼1551(명종6). 조선 중기의 무신ㆍ반정 공신. [내용]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자연(子淵). 아버지는 영의정 순정(順汀)이며, 별좌(別坐) 권효충(權孝忠)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무예를 익혔으며, 1506...
    이칭별칭 자연(子淵)
  • 도원수(都元帥)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를 도원수로 임명하여 토벌토록 한 적이 있다. 1510년 삼포왜란(三浦倭亂)이 일어나자 ()을 도원수로 파견하여 난을 평정하였고, 1555년 왜구(倭寇)가 전라도에 침입하자 이준경(李浚慶)을 도원수로 삼아 토벌토록 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유형분류제도

고서·고문서(79)

  • 38349 B038349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中宗實錄 五年(1510) 六月 중종실록_10506011_003 ○啓曰: “帝釋谷、多大浦, 皆阨陜路險, 不合防禦。 兩鎭間有長習浦, 通望賊路, 援救亦便。 若於此浦設鎭, 移置多大浦, 革帝釋谷權管, 倂守備於此, 則防禦甚便...
    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8350 B038350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中宗實錄 五年(1510) 六月 중종실록_10506011_003 ○啓曰: “帝釋谷、多大浦, 皆阨陜路險, 不合防禦。 兩鎭間有長習浦, 通望賊路, 援救亦便。 若於此浦設鎭, 移置多大浦, 革帝釋谷權管, 倂守備於此, 則防禦甚便...
    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8554 B068554 동래 東萊 정치행정 中宗實錄 五年(1510) 四月 중종실록_10504029_003 ○都元帥, 將熊川、東萊、釜山浦等軍民物故及被傷人數, 開錄馳啓。 熊川五十八名, 薺浦五十三名, 釜山浦九十一名, 永登浦九十五名, 刃傷二十名。
    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而又築堤, 名曰德津, 創寺曰乾興, 其西又有小山, 名曰可連, 俱載《輿地勝覽》。 禁樵、禁耕, 其來已久, 至廢朝, 內嬖綠珠, 其乾止山內外渠、德津堤, 盡爲斫伐開墾。 反正後, 如舊還陳矣, 而其後菁川府院君, 以功臣田, 例受起耕, 御鄕鎭山, 終至濯濯, 一邑人民, 扼腕痛憤。 伏...
    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9533 B049533 덕진 德津 군사교통 中宗實錄 元年(1506) 九月 중종실록_10109002_001 ○戊寅朔 / 知中樞府事朴元宗、副司勇成希顔【曾以吏曹參判, 驟降】、吏曹判書等, 首謀建議, 乃與軍資副正辛允武、軍器寺僉正朴永文、水原府使張珽、司僕寺僉正洪景舟密約擧事...
    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일화를 소개한 글 박종원(朴元宗), 성희안(成希顔), 신윤무(辛允武), (), 박문영(朴永文), 홍경주(洪景舟), 김종직(金宗直), 허종(許琮), 진성대군(晉城大君), 이약동(李約東), 투갑연(投甲淵), 윤효손(尹孝孫), 박원형(朴元亨), 어유소(魚有沼)...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6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기타자료(1)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9899 북한 평남 숭실학교 3-05 회원명부(1938년 9월調) 牟義理 숭실교우회 1938―10―15 56면 1. 숭전·숭실 졸업생;2) 나, 라行部 ; 평양부 전구리 80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실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459(세조 5)∼1512(중종 7). 조선 중기의 문신. 이의 증손, 할아버지는 자해, 아버지는 양, 어머니는 정집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하에서 학업을 닦고 활을 잘 쏘아서 무인 중에서도 비교할 자가 드물었다. 1487년(성종 18) 진사로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

  • 반정공신 / 反正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반정을 이루는 데 세운 공으로 녹훈된 공신. 중종반정으로 인한 정국공신과 인조반정으로 인한 정사공신이 있다. 정국공신은 1506년 중종반정이 성공한 뒤 9월에 박원종·성희안·의 주도로 녹훈되었다.1등에 박원종·성희안·이 병충분의결책익운정국공신으로

  • 박원종 / 朴元宗 [종교·철학/유학]

    1467(세조 13)∼1510(중종 5). 조선 중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거소, 아버지는 중선, 어머니는 허곤의 딸이다. 선전관, 병조참지, 강원도관찰사,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1506년 성희안, 등과 함께 반정을 모의해 연산군을 폐하고 중종을 옹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