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숙” 에 대한 검색결과 1,6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44)

사전(334)

  • TD_L14_D_2456 인물 不如走, 家人, 良馬, 死生有命 辛旽 麗史 D_12_04_78 대동운부군옥 12권 4장 7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4장 7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2677 인물 屛居, 涕泗, 當國, 國事, 他鄕, 作客, 頭渾白, 眼不靑, 淸夜, 滿窓月, 琵琶 靈光郡 辛旽 鄭瓜亭, 麗本史 D_13_04_115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11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11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4216 인물 惟卿所欲, 讒毁, 乞㱕 辛旽 史 D_18_02_32 대동운부군옥 18권 2장 3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2장 3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1557 인물 母病愈, 忠臣, 孝子, 名異實同, 事君, 事親, 東歸 元 麗史 D_10_01_38 대동운부군옥 10권 1장 3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1장 3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2102 인물 不受龍腦, 家人, 龍腦, 死生有命 辛旽 麗史 D_11_07_15 대동운부군옥 11권 7장 1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7장 1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164)

  • 宿東關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四 潘南朴趾源美齋著_映帶亭雜詠○詩 燕巖集 卷之四 潘南朴趾源美齋著 映帶亭雜詠○詩 宿東關 宿東 東 : 저본에는 ‘潼’으로 되어 있으나 신호열·김명호 옮김 『연암집』에 의거해 바로잡음. 신호열·김명호 옮김 『연암집』은 ‘潼關’은 陝西․山...
    대표표제어留宿東關 | 목차映帶亭雜詠○詩
  • “朋友之墓宿草。”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930 喪禮外編 卷一 ITKC_MP_0597A_0930_010_0080 “朋友之墓宿草。”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
    권차명喪禮外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678년 ()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수곡 전주유씨 무실 종가
  • 1678년 ()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수곡 전주유씨 무실 종가
  • 1684년 () 전중문기(傳重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안동 수곡 전주유씨 무실 종가

구술자료(6)

  • )가 나무를 하러 산에 갔는데, 눈보라가 너무 심하여 산속의 오두막에 하였다. 잠을 자던 아들이 깨어 옆을 보니 누워 있는 아버지 위에 하얀 기모노를 입은 여인이 올라 앉아 아버지 얼굴에 숨을 불고 있었다. 너무 무서워 얼어붙은 아들에게 여인은 그 일을 발설하면 죽
    국가일본 | 제보자노마치 유카 [일본, 여, 1974년생, 결혼이주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날 밤 어느 집에서 했는데 선비가 낮에 죽인 구렁이 집이었다. 암구렁이는 선비에게 자신과 함께 용으로 승천하려던 남편을 죽였으니 복수를 하겠다고 했다. 선비가 암구렁이에게 기회를 달라고 하자 암구렁이가 아침 해가 뜨기 전에 종소리가 들리면 살려주겠다고 했다. 선비가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김설화 [중국(한국계), 여, 1983년생, 유학 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산속에 사는 식인 할머니 야만바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기억에 의존하여 구연을 시작하였다. 제보자는 파편화된 기억의 조각을 어렵게 모아 한 편을 구성하였다. 오숙민 작가와 필리핀 국적의 수맘퐁엠마 제보자가 이야기판에 청자로 참여하였다. 깊은 산 속에 야만바가 혼자 살고 있었다. 한밤중에 한 나그네가 야만바를 찾아와
    국가일본 | 제보자모우에 히로꼬 [일본, 여, 1967년생, 결혼이주 1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참여하였다. 옛날 한 동자승이 산에 먹을 것을 찾으러 갔다. 주지스님이 동자승에게 야만바를 조심하라며 부적 세 장을 써주었다. 동자승이 산에서 길을 잃고 야만바 집에서 하였다. 동자승이 야만바가 무서운 외모로 변하여 칼을 가는 모습을 보고 화장실에 가겠다고 핑계를
    국가일본 | 제보자모우에 히로꼬 [일본, 여, 1967년생, 결혼이주 1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세 개를 내어주며 허락하였다. 깊은 산에 들어가 밤을 줍던 동자승은 어느덧 날이 어두워지자 숲 속에서 발견한 인가에 을 청하는데, 이는 야만바의 집이었다. 식사를 잘 대접받고 방에서 쉬던 동자승은 부엌에서 칼을 갈며 동자승을 잡아먹을 궁리 중인 야만바의 중얼거림을
    국가일본 | 제보자노마치 유카 [일본, 여, 1974년생, 결혼이주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6)

  • 16세기 후반 일본의 對外政策과 對外認識 : 秀吉의 대륙정복계획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유숙, 게재일 : 2005
    11682 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화사학회 2005 16세기 후반 일본의 對外政策과 對外認識 : 秀吉의 대륙정복계획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대학 기숙사의 실내 색채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숙희, 게재일 : 2013
    14420 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대학 기숙사의 실내 색채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 분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한국, 스웨덴, 독일의 성매매 정책 결정과정 비교분석 : 성매매관련 공공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숙란, 게재일 : 2007
    23231 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여성학회 2007 한국, 스웨덴, 독일의 성매매 정책 결정과정 비교분석 : 성매매관련 공공 논쟁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17세기 朝日間 일본제 무기류의 교역과 밀매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유숙, 게재일 : 2008
    30036 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학연구회 2008 17세기 朝日間 일본제 무기류의 교역과 밀매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오사카(大阪) 이카이노(猪飼野)의 여류시인 종추월(宗秋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숙자, 게재일 : 2003
    37342 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회 2003 오사카(大阪) 이카이노(猪飼野)의 여류시인 종추월(宗秋月)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63)

  • 巴城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리쥰용씨가 작야에 남문외 졍거장에셔 야심야 불편을 인인지 바로이현 파셩관으로 들어가 류슉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7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三氏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대신 임션쥰 시죵원경 민병셕 궁대신 리윤용씨등은 작야에 진고 일본인구락부에가셔 춍리대신 리완용씨를 방문후 그 곳에에셔 류슉고 작일오젼야 각각 퇴귀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8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各大臣宿闕內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춍리 이하 각 대신은 작일 오후오시에 일졔히 로 이졉 각에 회동야 무삼항을 협의고 그즁에 몃몃대신은 동 팔시경에 퇴궐고 몃몃대신은 인야 궐에셔 류슉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7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保安旅館) 서울 李 保安旅館 通義町 3 여숙업 - 여관(旅舘) - 31.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裕淑(保安旅館) | 지역서울 | 품목여숙업 | 영업종목여관(旅舘)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本人이陰九月初七日相洞入用票三千七百五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이陰九月初七日相洞入用票三千七百五十三兩四錢票紙를侍二隊營門役所房에셔宿다가夜半見失엿시니 誰某拾得와도休紙施行오 梨峴 金鶴鎭 告白
    게재일1902년 10월 20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61)

  • 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922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09면 준;濬 제9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5185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90면 1. 제12. 졸업생;36) 법과 제4회 졸업생 (1926년 3월 (19일) 23인 준;濬 부여군 窺岩面 咸陽...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습과에 입학하여 졸업한 자 이;李 (현주소)경북 대구女普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2146 남한 경성 이화여자전문학교 1-39 이화여자전문이화보육학교일람 1937 100면 1. 제7. 생도;1) 생도 성명, 원적 및 출신학교명;(1) 문과 예과 김;金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7018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90면 2. 제8. 졸업자;36) 제19회 법과 23인 (1926년 3월 (19일) 준;濬 (원적)충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5)

  • /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36(인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 충관의 증손, 할아버지는 당, 아버지는 몽표, 어머니는 이택의 딸이다. 부인은 채천경의 딸이다. 1597년(선조 30)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병조참지, 동부승지, 대사간, 부제학, 병조참판 등을 역

  • 조진관 / 趙鎭寬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9∼1808). 조엄의 아들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고, 홍국영에게 아버지가 무고 당하자 신문고를 치고, 옥중에서 자살을 기도하며 항거하고, 소를 올려 마침내 원을 풀었다. 대사간·병조·이조판서·대사헌이 되었고, 호조판서 때 영동·관서의 재해

  • 대쾌도 / 大快圖 [예술·체육/회화]

    조선 말기의 화가 ()이 그린 것으로 전하는 풍속화. 종이 바탕에 채색으로 그렸고 크기는 세로 105㎝, 가로 54㎝이며, 서울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씨름하는 동자들과 그것을 구경하는 사람들을 조감(鳥瞰)에 가까운 시점으로 그렸다. 이 그림은 화면의 왼

  • 성암서원 / 聖巖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서산시 읍내동에 있는 서원. 1719년(숙종 4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과 김홍욱(金弘郁)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21년(경종 1)에 ‘성암(聖巖)’이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그

  • 하숙 / 下宿 [생활/주생활]

    간판을 내건 전문 하숙집이 생기게 되어 20여 개의 방을 갖춘 곳도 있었다. 이와는 조금 다르게 지방에서 출장을 왔거나 혹은 고급사원 등이 1개월 정도의 짧은 (宿)을 할 경우 이들을 대상으로 여관에서 하숙업을 하는 곳도 있었다. 1960년대 후반부터는 식사는 하